홍인숙의 문학서재




오늘:
7
어제:
47
전체:
458,125


시인 세계
2004.09.09 04:06

시집 ' 내 안의 바다 ' 서문 / 황패강

조회 수 1073 추천 수 15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시집 ' 내 안의 바다 ' 서문
                      

                     序 言



                     황 패 강          < 국문학자 >




어언 30년의 세월이 흘렀다.
민족상잔의 끔찍한 전란을 거치고, 서울 시내 모 여자고등학교 국어과 교사로 직을
옮기면서 필자는 학교 문예반의 지도를 담당하고, 문예지 출판을 위한 갖가지 행사
를 주관하면서 문학을 사랑하는 제자들과 동지적 결속을 맺은 듯이 꽤나 친숙하게
지냈다.
문학을 통해 맺어진 정이란 좀처럼 쉽게 식어 없어지는 것은 아닌 듯하다. 지금도
간간 소식 전하여 오는 옛 제자들이 있다.
"행복이라는 섬"을 노래한 그레이스 홍인숙- 그는 고국을 멀리 떠나 미국땅 샌프란
시스코에서 思鄕의 노래('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를 詩語로 옮겨 노래불렀다.

      내 생애/ 최초의 기억으로/ 남아 있는 노래//..(중략)..그 땐 몰랐지/
      그것이 눈물 절절 밴/ 내 민족의 구슬픈 가락인 줄은//..(생략)

우리의 자랑스러운 시인 홍인숙은 일찍이 중학교 3학년 때 실시한 교내 백일장에서
시 '窓'으로 중, 고교 전체 장원 입상한 바 있다. 홍 시인은 지금도 부단히 시를 쓴
다.

      어둠 짙은 하늘에/ 편지를 쓴다// 흩뿌려진/ 별들을 모아/ 꼭꼭 눌러 쓴 편지  
      // 마지막 별에 실어/ 먼 나라/ 석양 깃든 강변으로 띄우면// 너는 별을 새기  
      고/ 나는 네 눈빛을 새기고// 어이하려나/ 네가 있어 더욱 깊은/ 이 밤의 쓸  
      쓸함을 ('마지막별 '전문)

홍 시인의 자기성찰은 '裸木의 외침'에서도 냉철하게 전개되고 있다.

     너희는/ 나의 황홀했던 날을 기억하는가/ 나의 그늘 아래 행복했던 날을 기억  
     하는가/ 비워낸 만큼 충만한 나의 가슴을 만질 수 있는가// 보여지는 것에 아  
     름다워 하지 말라/ 보여지는 것에 슬퍼하지도 말라// 나는 다만 때가 되어/ 척  
     박한 대지를 딛고 / 저 깊은 겨울을 향해 묵묵히 서 있을 뿐// 슬기로운 자는  
     들으리/ 내 안에서 소생하는 욕망의 소리를/ 갈 곳 없는 새들을 키우고/ 새 계  
     절 맞이할 숨결을 준비하는/ 모성(母性)의 소리를//

홍 시인은 연로한 양친의 삶을 고요히 관조한다.

     저기 저 바람/ 그리움 가득 안고 오는 바람/ 봄 내내 꽃망울 피우지 못한/ 정  
     원의 그늘진 한숨 뒤로/ 수국 한 다발 소담스레 피워 올리시고/ 하얗게 웃고  
     계신 어머니 ('어머니의 미소' 전문)


     70kg 체중을 받아 안는다/ 85년 세월이 말없이 실려온다// 침묵하는 상념의  
     보따리를 짊어지고/ 한 발자국씩 내딛는 굽은 다리를/ 묵묵히 반겨주는 검은  
     단장// 12월 바람도 햇살 뒤로 숨은 날/ 조심조심 세 발로 새 세상을 향한 날/  
     고집스레 거부하던 단장을 짚고/ "난 이제 멋쟁이 노신사다"/ 헛웃음에 발걸음  
     모아보지만// 늙는다는 건/ 햇살 뒤로 숨은 섣달 바람 같은 것/ 아버지 눈동자  
     에 담겨진/ 쓸쓸한 노을 같은 것  ('아버지의 短杖' 전문)

애착에 대상이기도 한 양친의 노화현상을 대하는 홍 시인의 태도는 부친의 노화현
상의 당위를 수용하던 데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시인은 양친의 노화를 두고 당
황하거나 있을 수 없는 일인 듯이 대응하지 않는다.
홍인숙 시인의 두 번 째 시집 출간을 축하하며 앞으로도 아름다운 시세계를 꾸준히
가꾸어 나가기를 바란다.


2004. 5.





?

  1. ★ 홍인숙(Grace)의 인사 ★

    Date2004.08.20 By그레이스 Views1601
    read more
  2. 쓸쓸한 여름

    Date2006.08.26 Category By홍인숙(그레이스) Views843
    Read More
  3. 신기한 요술베개

    Date2004.07.05 Category By홍인숙 Views1165
    Read More
  4. 시집 '사랑이라 부르는 고운 이름 하나' 서문 / 황금찬

    Date2004.07.30 Category시인 세계 By홍인숙 Views981
    Read More
  5. 시집 ' 내 안의 바다 ' 서문 / 황패강

    Date2004.09.09 Category시인 세계 By홍인숙(그레이스) Views1073
    Read More
  6. 시집 <사랑이라 부르는 고운 이름 하나> 시평 / 나그네의 향수, 존재의 소외 - 박이도

    Date2004.07.30 Category시인 세계 By홍인숙 Views1108
    Read More
  7. 시인과 열 두 송이의 노랑 장미

    Date2003.06.26 Category시와 에세이 By홍인숙 Views1031
    Read More
  8. 시심 (詩心)

    Date2004.06.29 Category By홍인숙 Views468
    Read More
  9. 시를 보내며

    Date2006.03.04 Category By홍인숙(그레이스) Views721
    Read More
  10. 슬픔대신 희망으로

    Date2016.11.07 Category수필 By홍인숙(Grace) Views46
    Read More
  11. 슬픈 첨단시대

    Date2004.07.31 Category수필 By홍인숙 Views903
    Read More
  12. 슬픈 사람에게

    Date2008.09.10 Category By홍인숙(그레이스) Views901
    Read More
  13. 스무 살의 우산

    Date2010.09.23 Category By그레이스 Views1229
    Read More
  14. 쉽게 씌어진 시 / 윤동주

    Date2006.01.04 Category시와 에세이 By홍인숙(그레이스) Views1440
    Read More
  15. 수필시대 [미국에서 쓰는 한국문학] 연재

    Date2017.01.12 Category시인 세계 By홍인숙(Grace) Views185
    Read More
  16. 수술실에서

    Date2002.11.14 Category By홍인숙 Views451
    Read More
  17. 수국(水菊) / 어머니의 미소

    Date2003.08.07 Category시와 에세이 By홍인숙 Views1157
    Read More
  18. 손을 씻으며

    Date2006.01.05 Category By그레이스 Views681
    Read More
  19. 소통에 대하여  

    Date2017.01.12 Category수필 By홍인숙(Grace) Views380
    Read More
  20. 소용돌이 속에서

    Date2005.07.31 Category By홍인숙(그레이스) Views542
    Read More
  21. 소나기 

    Date2016.11.10 Category수필 By홍인숙(Grace) Views11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7 Next
/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