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인숙의 문학서재




오늘:
0
어제:
11
전체:
458,345


요한복음 서론

2005.12.03 02:17

그레이스 조회 수:101 추천:18

 

 


    요한복음 서론



   본서에는 저자의 이름이 직접 밝혀있지 않으나, 본문을 살펴보면 저자는 다음과 같은 사람임

 을 알 수 있다.

 1. 팔레스타인에 거주한 유대인이었다

 이것은 그가 유대인의 절기와 풍습에 익숙하다는 점, 그리고 그가 팔레스타인 지형에 대해 상

 세히 알고 있었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

  2. 본서에 기록된 사건의 목격자였다

 그 자신이 목격자임을 스스로 증언하고 있으며(1:14, 19:35, 21:24), 발생시기를 정확하게 기

 억하고 있다.

 3 열두 제자중 한 사람이었다

 그가 예수님의 최후의 만찬에 참여했다는 사실(13:23-25)과 베드로의 친한 동료였다는 사실(1:

 35-42, 13:23,24)이 이를 말해 준다. 이러한 사실에 근거해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해보면, 

 본서의 저자는 사도 요한임이 드러난다

   일반적으로 학자들은 요한이 에베소에서 설교하고 저작활동을 했던 때부터 밧모섬으로 유배

 당하기 이전인 A.D. 80-90년 경에 에베소에서 본서가 기록된 것으로 보고 있다.

 요한은 20:30, 31에서 "예수께서 제자들 앞에서 이 책에 기록되지 아니한 다른 표적도 많이

 행하셨으나 오직 이것을 기록함은, 너희로 예수께서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이심을 믿게 하려

 함이요, 또 너희로 믿고 그 이름을 힘입어 생명을 얻게 하려 함이니라"는 말로 본서의 저작 

 목적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나아가 주석자들은 몇 가지 부수적인 저자 목적도 지적한다. 먼저 공관복음을 보충하기 위한

 목적이다. 즉 예수님의 생애와 활동에 관한 외적인 사실을 취급한 복음서들이 이미 쓰여졌지

 만 요한은 이것들보다 더 깊은 '영적인 복음'(이는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가 한 말임)을 쓰

 려고 했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케린투스의 오류를 논박하기 위한 목적을 들 수 있다. 케린투스는 사도 요한의 시대

 에 살았던 인물로서, 성령으로 인한 예수님의 초 자연적인 출생과 부활, 곧 신성을 부정하였다.

 이런 까닭에 사도 요한은 예수님이 바로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시오, 완전한 신성을 입으셨다

 는 사실을 강조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세례 요한에 관한 그릇된 견해를 바로잡기 위한 목적도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요한복음은 그의 존재 의미는 오직 예수님을 증거하는데 있었음을 강

 조한다. (참조 1:19-23, 25-27, 29, 36, 3:27-36)

   요한복음은 여러 가지 면에서 공관복음과 다르다 그 중 중요한 것 몇 가지를 지적하면 다음

 과 같다 

 (1) 장소와 시간을 들 수 가 있다. 예수님이 활동하신 장소에 대해 마지막 주간만 제외하고

 공관 복음에서는 주로 갈릴리 사역을 다루고 있으나 요한복음에서는 유대 지방에서의 사역이

 강조되었다. 시간상으로도 공관복음은 한 번의 유월절만 언급하여 예수님의 공생에 기간이 1년

 인 것 같은 인상을 주는데 반해, 요한복음은 세 번 내지 네 번 언급하여 공생애 기간이 3년 이

 상이었음을 암시해 주고 있다.

 (2) 언어상의 용법을 들 수 있다. 공관복음에서 특징적인 표현 형식은 비유이며, 또한 여기에

 서 교훈적인 진술을 가미한 짧고 생생한 구절들과 쉽게 기억될 수 있는 간단한 사건들이 많이

 나타난다. 반면에 요한복음에 기록된 예수님의 교훈은 긴 강론 형식으로 되어 있다.

 (3) 관점을 들 수 있다. 공관복음에서는 예수님의 가르침이 '하나님의 나라' 에 중점을 두고 

 있는데 반해, 요한복음에 강론들은 대부분이 예수님 자신에 관한 것과 예수님과 하나님의 관계
 
 그리고 특별히 영생이라는 주제에 집중되고 있다.

 (4) 전체 구조를 들 수 있다. 공관복음에 나타나는 예수님 교훈의 기본적인 구조가 '오는 시대

 (the age to come)가 되면 현재의 역사가 종지부를 찍고 하나님의 나라가 세워질 것이라는 

 시간적인 선적(線的)구조를 들 수 있다. 즉 공관복음이 제시하는 세계와 역사의 구조는 이 세대

 와 오는 세대, 현재와 미래 사이의 종말론적인 이중구조로 대치되어 있다. 즉 현재와 미래의 긴

 장 대신에 위와 아래, 하늘과 땅, 하나님의 영역과 세상의 영역 사이의 긴장이 존재하고 있다.

   요한복음은 매우 순수하고 간결한 헬라어로 기록되어 있지만 그 속에 담긴 신학적인 통찰력은

 대단히 무게가 있고 심오하다. 본서는 영원한 아들, 곧 로고스(말씀)로서의 예수님을 주제로 삼

 고 있는데, 그분은 세상이 창조되기 전에 하나님과 함께 계셨으며, 세상이 창조될 때 하나님과

 함께 일하셨다 (1:3). 

 본서 전체에는 '나는....이니라'는 말씀이 일곱 번 반복되어 나온다. 즉, 1. 생명의 떡 (6:35)

 2. 세상의 빛(8:12) 3. 양의 문 (10:7) 4. 선한 목자 (10:11) 5. 부활이요 생명 (11:5) 

 6. 길이요 진리 생명 (14:6) 7. 참 포도나무(15:1) 등이다.

 그런데 '나는 ....이니라'는 말씀은 구약에서 매우 중요한 구절이다. 이 말은 불타는 가시덤불

 속에서 모세에게 나타나셨던 하나님이 자신을 표현하는 형식으로서(참조 출3:14), 신성을 표현

 하는 말이다 (참조 창 17;1. 출15:26) 또한 요한복음은 예수님이 행하신 놀라운 기적들을 '표적

'으로 이해하고 있는 유일한 복음이다.

 나아가 요한은 유일하게 보혜사, 곧 성령님에 대해 이야기한다. 다락방에서 최후의 만찬을 나눌

 때, 예수님은 앞으로 오실 성령님에 대해 말씀해주셨다. 예수님은 성령님이 자신에 대해 증인이

 될 것이지만, 성령님의 사역은 예수님이 세상을 떠나시고 나서 시작될 것이라고 하셨다.

 1. 서언 : 하나님의 말씀이신 아들로서의 영광 (1:1-18)

 2. 예수님의 사역의 시작 (1:19-51)

 3. 예수님의 공적 사역 : 표적과 강론 (2:1-11:57)

 4. 수난 주간에 예수님 (12:1-19:42)

 5. 부활하심 (20:1-29)

 6. 요한복음의 목적을 진술함(20:30-31)

 7. 갈릴리에 나타나심 (21:1-2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성경 읽기, 알려드립니다 ☆ 홍인숙(Grace) 2015.11.08 99
공지 구약시대의 성경지도 그레이스 2005.06.11 11724
공지 신약시대의 성경지도 [1] 그레이스 2005.06.11 5429
공지 ☆ 기도를 부탁드립니다 ☆ [1] 그레이스 2005.05.30 915
1045 요한복음 11장 - 나사로의 죽음 그레이스 2005.12.04 112
1044 요한복음 10장 - 죽음을 이김 그레이스 2005.12.04 91
1043 요한복음 9장 - 보는 것과 믿는 것 그레이스 2005.12.04 105
1042 요한복음 8장 - 아브라함의 참 자손 그레이스 2005.12.03 102
1041 요한복음 7장 - 바리새인과의 큰 논쟁 그레이스 2005.12.03 91
1040 요한복음 6장 - 하늘의 양식 그레이스 2005.12.03 97
1039 요한복음 5장 그레이스 2005.12.03 81
1038 요한복음 4장 - 사마리아 여자와의 대화 그레이스 2005.12.03 89
1037 요한복음 3장 - 니고데모와의 대화 그레이스 2005.12.03 90
1036 요한복음 2장 - 표적들과 말씀 그레이스 2005.12.03 110
1035 요한복음 1장 - 메시야의 오심 그레이스 2005.12.03 90
» 요한복음 서론 그레이스 2005.12.03 101
1033 누가복음 24장 - 예수의 부활 그레이스 2005.12.02 84
1032 누가복음 23장 - 십자가에 못박히심 그레이스 2005.12.02 81
1031 누가복음 22장 - 최후의 만찬 그레이스 2005.12.02 90
1030 누가복음 21장 - 종말에 대한 경고 그레이스 2005.12.01 107
1029 누가복음 20장 그레이스 2005.12.01 92
1028 누가복음 19장 - 예루살렘의 입성 그레이스 2005.12.01 94
1027 누가복음 18장 - 끈질긴 기도의 필요성 그레이스 2005.11.30 87
1026 누가복음 17장 - 하나님의 나라가 임하는 시기 그레이스 2005.11.30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