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눈 내리는 마을

2012.09.16 02:36

노기제 조회 수:785 추천:176

20120916        
                흰눈 내리는 마을(雪村)

        “자고로 문인은 호가 있어야 하는데 “로 시작 된 이멜을 지난 7월 5일에 받았다. 문학에 있어 대 선배이신 정용진 시인님께서 친히 지어 주시겠다며 둘 중 마음에 좋은 것으로 골라 사용하라셨다.  내겐 해당사항 아닌 듯 하여 아직은 이라고 머뭇거리는 답멜을 드린지 두 달이 지났다.          

        문득 무엇이라 하셨더라 생각이 나질 않아 메일을 뒤적였다.  문인으로 입문한 지 12년이다. 스스로 문인이라 일컫기를 자신 없어하는 내 마음가짐 때문에 책 한 권 출간하잔 생각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호를 지어 이름 앞에 붙여 쓰다니?

        우연히 청탁을 받고 수필 한 편을 보냈던 호주문학에서 내 글이 실린 호주문학 제5집을 보내 왔다. 놀랍게도 호주에 거주하는 문인들은 대부분 호를 이름과 함께 쓰고 있다. 필명이라 했지만 바로 호가 아닌가.  순간 스치는 생각이 나도 호를 가질 수 있다는 확신이었다.

        지어 보내신  雪村(설촌)은 흰눈 내리는 마을이란 뜻이며 정결과 순수를 의미한다셨고 다른 하나  星林(성림)은 별이 내리는 숲이란 뜻에 희망과 평화를 상징한다는 주를 다셨다. 읽고 또 읽어도 둘 다 좋은 뜻이며 내가 좋아하는 단어라 하나를 택하기가 아까웠다. 둘 다 갖고 싶은 욕심이다. 나는 나를 잘 모르지만 선배 시인님이 보시는 나는 바로 흰눈 내리는 마을이나 별이 내리는 숲이었다 생각하니 새삼 내가 사랑스러워 진다.

        어릴적, 눈이라도 내리는 날이면 대문 밖 골목길을 좋아라 뛰어 다니는 내게 누가 개띠 아니랄가봐 저리 눈을 좋아하느냐던 큰오빠 음성이 들려 온다.  환갑을 지난지도 여섯 해, 아직도 난 눈밭을 찾아 다니며 스키를 즐긴다. 그렇담 별 보다는 흰눈이 나와 연이 깊다. 그렇다. 선배님이 정확하게 나를 보셨고 가장 적합한 호를 지어 주신 것이다.

        이렇게 해서 갖게 된 나의 호는 흰눈 내리는 마을 설촌이다.

        호가 뜻하는 바, 정결과 순수함을 나타내는 글을 쓸 것이다.  글은 작가를 나타낸다. 내 글이 보이는 정결과 순수함이 곧 나의 인격이다. 나의 사람 됨됨이는 추호도 어긋남 없는 정결한 인간, 순수한 인간이어야 한다.

        호와 함께 새롭게 태어난 문인으로 글을 쓰면서, 호를 지어주신 선배님께도 작가에게 꼭 맞는 호를 지어 주심에 기쁨과 감사함을 글마다에 버므려 넣어 오래도록 전해 드려야겠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들러주시고 글 읽어 주시는 분들께 [2] 노기제 2022.12.01 44
220 포개진 추억 노기제 2003.07.17 497
219 파도의 연정 노기제 2003.03.23 499
218 사랑의 회복 노기제 2004.01.05 499
217 악몽 노기제 2003.02.16 500
216 길목 노기제 2007.07.29 500
215 전화 노기제 2007.04.03 502
214 마음 노기제 2007.04.08 502
213 내게도 조국이 file 노기제 2003.02.02 504
212 완전히 개판 노기제 2003.02.16 506
211 돌아올 수 있는 자리 노기제 2003.02.16 507
210 내 생애 최고의 선물 노기제 2006.12.26 512
209 인라인 클럽, 그 3년 후 노기제 2007.06.20 512
208 고치세요 노기제 2004.05.02 513
207 늦은 깨달음 노기제 2007.03.19 513
206 한번쯤은 노기제 2004.03.25 517
205 지나가는 고난 노기제 2007.02.19 519
204 밤 산책길 노기제 2007.04.03 521
203 내사랑 이루어지길 노기제 2007.02.06 524
202 마주 보는 나 노기제 2007.01.02 525
201 L.A. 댄싱 퀸 file 노 기제 2015.07.31 529

회원:
0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0
어제:
1
전체:
96,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