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설 수 없다는 두려움

2012.10.03 03:23

노기제 조회 수:787 추천:172

20120917                  돌아설 수 없다는 두려움



             클래식 등반을 한다. 즉 바위 타고 정상까지 올라가,  올라간 바위 뒷길을 걸어서 출발 지점으로 돌아오는 암벽등반을 한다는 뜻이다. 선등자가 확보 해 준 로프를 따라 올라갔다 그 로프로 다시 내려 오던 등반보다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또한 중간 쯤에서 힘 떨어져 더는 못 하겠다고 돌아 설 수도 없는 등반 형식이다.

             짧게 한 피치 올랐다가 하강 해서 출발지점으로 오던 등반은 비교적 쉽다.  두 피치 등반을 한 번 해 봤으니 그런 거겠지 생각하고 특별한 마음 준비 없이 클래식 등반에 임했던 9월 8일 등반은 암벽등반의 무서운 묘미를 내게 가르쳐 줬다. 크랙을 따라 비교적 힘 안들이고 올라 간다는 느낌이었는데 가도 가도 끝이 없다. 높이 올라 갈수록 온 몸에서 힘이 빠지고 있다. 선등해서 빌레이를 보고 있는 분들의 얼굴이 안 보인다. 그만큼 첫 피치가 길다. 백 미터는 족히 될 것이라 짐작했다.

             로프 한 동이 짧아 두 동을 이어 쓰니 매듭 있는 부분이 자꾸 크랙 어딘가에 낀다. 다음 등반자에게 던져 준 로프가 아래까지 도달하지 못한다. 말 등에 앉아 로프를 돌리는 카우보이 처럼, 로프를 춤추게 하며 몇 번이나 끼인 로프를 빼 보려해도 어디선가 또 걸려서 내려 오지 못하니 선등해서 등반자들 확보 해 주는 대장이 맨발로 오르락 내리락 매듭 부분을 찾아 그 험한 바위를 뛰어 다닌다. 등반 차례를 기다리며 그 모습을 볼 땐, 저 정도라면 올라가기는 수월 한 곳이려니 편한 마음이었다.

             막상 바위에 붙고 보니 첫 발 부터 쉽게 딛고 일어서기가 안된다. 경사를 묻는다면 아마 85도는 될거라고 자신있게 대답할 것이다. 슬슬 가슴이 답답해진다. 그만돌아설가?   요리조리 딛어 보고 그래도 포기는 아니다 싶어 이를 악물었다.

             먼저 지우,민우 두 아이가 올라 가고 내 차례까지 한 시간 반 이상 기다린 후라  이미 지쳐 있었던 모양이다.  선등한 대장의 등반 준비 완료 후, 등반 시작 시간이 늦었던 관계로 내 차례가 되었을 땐, 점심 때가 훌쩍 지난 시간이었다. 그렇다고 등반 전에 점심을 먹을 순 없다. 불안하기 때문이다. 배고픔도 못 느낀다. 어떻게든 올라가는 것만이 최 우선이다.

             슬랩등반 보다는 크랙등반을 선호하지만 워낙 긴 등반으로 힘이 딸려옴에 올라 온 거리를 뒤 돌아 보니 까마득히 출발점이 보이지도 않는다. 위를 올려다 보니 빌레이 봐 주는 유대장도 원배님도 안 보인다. 죽어도 올라가야 한다. 아무도 내게 거기 딛고 조기 잡고 해 보라 할 사람 없다. 나 스스로 잡을 곳, 발 디딜 곳 찾아 올라가야 한다. 간신히 잡을 곳 디딜 곳 찾아 올라 서려면 팔 다리에 힘이 안 들어간다.

   언제까지 여기 매달려 있을 순 없지 않은가. 위에서 기다리는 사람들, 나 다음으로 등반 해야 할 영규씨, 윤애씨가 아직 아래에 있다. 아무도 안 보인다. 소리를 쳐 도움을 청할 수도 없다. 그들이 내 지점을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이 좋은 운동도 오늘이 마지막 이겠다. 역시 나이는 안 되는구나. 이렇게 힘을 못 쓴다면 할 수 없는 운동이다.

   혼자 단편소설 한 편 쓰고는 다시 이를 악물었다. 하늘이 도우시면 난 할 수 있다. 언젠 내 힘으로 살았나. 하나님 나 좀 안아서 올려 주세요. 딴 사람들 너무 기다리게 하면 안 되니까요. 나도 배가 고파 죽을 지경에요. 빨리 올라가서 밥 먹을래요.

   끝이 코앞인데 도저히 잡을 곳이 안 보인다. 거기 슬링 잡고 올라 오세요. 유대장이 코치한다. 어? 그런 거 잡아도 되요? 그런 거 잡으면 반칙 아녜요? 반칙이 어딨어요. 올라오는 게 대수지.

   내 딴엔 양심적으로 바위만 더듬어서 올라서야 한다는 개뿔같은 자존심이 있었다. 잘못 심겨진 상식이다. 등산학교에서 안 가르친 부분이다. 폼도 잊어라. 올라서는 게 대수다. 그렇게 하면 훨신 쉽게 오를 수 있을 것 같다.

   막상 올라서 아래를 보니 이 백 미터는 올라 온 듯 아찔하다. 먼저 올라 와 기다리는 지우, 민우와 내 식량을 나눠 먹었다. 오후 세 시가 지났다. 유대장과 원배씨를 지나 안전한 곳으로 자리해 확보한 상태라 동선이 짧다. 두 분도 배가 고플텐데.

   누구든지 암벽등반을 준비할 땐, 작은 백팩에 비상식량을 항상 준비해아 겠다. 언제 무슨 이유로 혼자 바위에 매달려 얼마나 긴 시간을 있어야 할지 모르는 일이다. 기운이 떨어지면 위험하다. 자신의 기호 식품을 준비해야 먹을 수 있다. 남이 주는 식품이 입맛에 안 맞으면 못 먹는다. 죽어도 안 먹힌다.  

   길고 긴 첫째, 둘째 피치 죽을 힘을 다해 올라 또 두어 시간 기다렸다. 대원 둘 더 올라오고 빌레이 보신분들 장비 철수해서 다음 피치 준비하는 시간이다. 기다리면서도 기운은 솔솔 빠져 나가고 있다. 산길로 걸어 먼저 정상에서 기다리는 영선씨가 우릴 부른다. 곧 정상이다.

   짧게 보인 마지막 한 피치. 로프 없이 걸어서도 뛸 수 있을 것 처럼 보였다. 이 무슨 자만? 사방천지에 다 잡을 곳 디딜 곳이 보이는데, 안 된다. 잡고 버틸 힘이 없다. 딛고 일어 서 지질 않는다. 결국 유대장이 끌어서 오르게 했다.

   다섯시가 지나서 대원들 모두 바위 정상에서 늦은 점심들 나눠 먹으며 서로 고맙다 하고 서로 애썼다 하며 온통 바위산인 하산길에 들어섰다. 바위를 타던 출발점으로 돌아 가 남긴 배낭 챙겨 해가 꼴딱 지기 전에 캠프장으로 돌아가야 한다. 모두 함께 시작해서 모두 함께 돌아가는 길에 감사함이 넘친다. 어느 누구하나 힘들지 않은 사람 없다. 12세, 14세 민우 지우도 힘들어 한다. 물론 나이도 내 체력도 문제가 아니다. 다 똑같이 모두에게 힘든 운동인 암벽등반을 난 계속 할 것이다.

   끝도 모르는 길을 끝까지 가기만 해야 한다면 얼마나 두려울까. 내가 시작했던 곳으로 돌아 올 수 있음은 얼마나 다행인가. 성취감도 자신감도 충분히 맛 볼 수 있는 멋진 암벽등반을 누구에게나 권하고 싶다. 호락호락 쉽지 않은 인생을 바위에 붙어 있는 짧은 시간에 살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끝내는, 도전자가 승리 한다는 이 철칙을 직접 느껴보게 하고 싶다.

댓글 0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들러주시고 글 읽어 주시는 분들께 [2] 노기제 2022.12.01 42
340 애인 노기제 2007.08.08 2432
339 쎅스폰 부는 가슴 노기제 2007.01.16 1477
338 짜증나는 세상, 잘 살아내자 노 기제 2016.12.26 1238
337 현창이 영전에 노기제 2009.12.20 1079
336 단편소설, 사랑, 그 이파리들 (첫번째 이파리) 노기제 2010.12.05 1069
335 엄마 생각 (시) 노기제 2011.09.06 1042
334 아름다운 몸매 노기제 2004.02.03 1025
333 타교로 간 17회 엘에이 3인방의 변 노기제 2013.12.09 1020
332 소설, 사랑, 그 이파리들 (네 번째 이파리) 노기제 2010.12.05 1005
331 나의 발렌타인이 되어주세요 노기제 2004.05.02 1003
330 여자는 물과 같거든 노기제 2004.11.21 986
329 편지 노기제 2007.05.20 967
328 사회자 필요하세요? 노기제 2008.02.10 964
327 구름 한 점 노기제 2007.05.20 963
326 소설, 사랑, 그 이파리들 (두번째 이파리) 노기제 2010.12.05 961
325 잊은 줄 알았는데 노기제 2008.08.20 959
324 소설, 사랑, 그 이파리들(세번째 이파리) 노기제 2010.12.05 941
323 소라의 회복 노기제 2010.09.02 935
322 속옷까지 벗어 준 노기제 2007.06.29 935
321 첫느낌이 그대로 남아 있는 사람 노기제 2006.05.04 9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