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재에 방문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박정순의 문학서재






오늘:
0
어제:
0
전체:
39,129

이달의 작가

Re..additonal

2004.03.25 05:17

박정순 조회 수:169 추천:7

사실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를 보고 있으면, 굳이 ‘종교영화’에서 이런 잔인한 장면이 필요할까란, 의문이 든다. 하지만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는 일반적인 영화의 평가기준이나 취향이 통용될 수 없는 영화다. 이 영화를 관통하는 것은 재현에의 열망이고, 그 열망의 근원에는 절대적인 신앙이 있다. 멜 깁슨은 12년 전 신앙의 위기를 겪었다고 한다. 자신의 믿음을 돌아보며 고통과 용서, 죄를 사하는 것의 진정한 의미를 구하던 멜 깁슨은 예수의 수난을 둘러싼 성서와 역사적 사건을 연구하게 되었고, 그것을 영화로 만들어야겠다고 결심했다. “나는 예수 그리스도 희생의 잔혹성과 함께 그 위대함을 표현하고 싶었다. 동시에 진정한 서정성과 아름다움, 그리고 오래 지속되는 사랑이라는 감정과 함께 믿음, 희망에 관한 이야기도 하고 싶었다. 이것이야말로 우리가 전할 수 있는 가장 위대한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그 잔혹한 희생을 인간의 육체로 겪으면서, 이 땅에 존재하지 않는 왕국의 왕으로서 죽어갔던 예수를 그리는 것이 멜 깁슨의 유일한 목표였다. 잔혹함은, 결코 멜 깁슨이 피해갈 수 없는, 아니 정면으로 응시해야만 하는 주제였다.



멜 깁슨은 모든 것을 철저한 재현으로 일관한다. 모든 인물과 사건은 ‘극사실주의’로 묘사된다. 보통의 영화라면, 외국이라도 영어를 쓰는 것이 다반사다. 하지만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는 그 시대의 분위기를 재현하기 위하여 모두 당대에 쓰였던 언어로 대화한다. 예수와 제자들 그리고 유대인은 아람어로, 로마인들은 ‘거리의 라틴어’를 사용한다. 애초에 멜 깁슨은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를 자막없이, 그대로 상영하려고 계획하기도 했다. 철회하기는 했지만, 멜 깁슨의 의도는 어떤 특정의 대사나 상황을 전달하여 관객을 끌어들이거나 공감을 주는 것이 아니다. 국교가 아니라도, 서구인이라면 누구나 기독교적인 바탕에서 태어나고, 성장한다. 그들에게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의 이야기는 익히 알고 있는 것이고, 어린 시절부터 교회에 다녔다면 이미 상세하게 알고 있다. 멜 깁슨은, 모든 것이 아람어로 진행되어도 관객은 그 상황이 무엇인지, 그 의미가 무엇인지 충분히 안다고 믿었을 것이다.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는 성서가 진리라 믿는 멜 깁슨이, 그 진리가 무엇인지를 자신의 관점에서 그린 영화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1 결혼생활 만족도 박정순 2004.06.01 845
50 수연낙명 박정순 2004.04.15 753
49 가난과 데모…어정쩡한 시대의 ‘허리’ 박정순 2004.04.16 649
48 기도 박정순 2006.04.12 558
47 재미작가 이창래 박정순 2004.04.10 556
46 흐르는 물 과 몰두 박정순 2004.04.20 530
45 목표의식을 가져라 박정순 2004.04.15 441
44 축복에 관해서 박정순 2004.04.10 438
43 임보의 세한도 박정순 2004.01.20 434
42 한걸음만 먼저 박정순 2004.04.15 390
41 부부대화 박정순 2004.04.15 377
40 행복 리스트 박정순 2004.04.15 373
39 빌게이츠의 인생충고 박정순 2004.04.14 358
38 탓하지 마라 박정순 2004.04.10 341
37 주말경영성공법칙 박정순 2004.04.15 330
36 세계사의 음모론 박정순 2004.04.10 330
35 아름다운 만남 박정순 2004.04.14 302
34 인내 박정순 2004.04.10 302
33 두여인의 눈물 박정순 2004.02.14 300
32 영화 <예수의 수난> 박정순 2004.03.24 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