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르시즘

2011.02.26 08:56

서용덕 조회 수:803 추천:64



'시를 찾는 여인'은 나르시즘이 아니라 나르시즘으로 보여주고 있다. 나르시즘이란? 그리스 신화의 나르시스(나르키소스의 프랑스어명)에서 유래된 개념. 나르시즘이라고도 한다. 나르시스는 매우 아름다운 소년이었는데 연인의 구애에도 귀를 기울이지 않고 수면에 비친 자기 모습에 반해 그 자리에서 떠나지 못하고 죽어 버린다. 이 때문에 자기애•자기도취의 의미로 쓰이는데, 독일의 정신과의사 P. 네케에 의해 1899년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 Narcissus 라는 요정이 산길을 걷고 있었는데, Narcissus 를 우연히 처음 보게된 Echo는 그 요정의 아름다움에 반해서 계속 뒤를 쫒아 다녔다. Echo 가 뒤를 따라오든말든 Narcissus는 관심조차 없었다. Narcissus 요정이 산길을 가다가 맑은 샘물을 발견하고 갈증을 느끼던차에 물을 마시려고 샘물 가까이 얼굴을 드리대었다. 샘물에 얼굴을 가까이 하는순간 Narcissus 는 깜짝 놀랐다. 맑은물에 비치는 얼굴이 그렇게 아름다울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물론 Narcissus는 물속에 비치는 얼굴이 자기 얼굴인줄은 까맣게 모르는체.. 물속에 비치는 얼굴에 반해 Narcissus 는 그 자리를 떠날수 없었다. 하루종일 식음을 전폐한체 물속에 비치는 얼굴만 바라다 보고 있었다. 그러다 그 자리에서 Narcissus 는 죽었다. 죽은곳에 한송이 꽃이 피었다. 그꽃이 바로 수선화(Narcissus)다. Narcissism 이란 자기도취란 의미다. Narcissus 는 자기 얼굴에 도취되어 있었던것이다. Narcissus 를 따라다니던 Echo 도 지쳐 쓰러져서 죽었는데 죽고난후 목소리만 남았다 . 우리가 높은산에 올라가서 '야호!'라고 소리치면 그 소리가 반대편 산에 부치쳐서 똑같은 소리가 야호 하고 난다. 즉 메아리 (echo)다. Echo는 죽어서도 Narcissus 를 못잊어 목소리만 남아 지금도 애타게 부르고 있는것이다. 지금도 수선화는 피고있고, 메아리는 남아있다. 참 아름다운 이야기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1 10만 방문자 돌파 기념 file 서용덕 2014.09.23 233
60 또 다른 모습 file 서용덕 2013.06.12 259
59 생각하는 의미지 file 서용덕 2013.06.12 269
58 Brown Bear Family file 서용덕 2010.07.24 287
57 화산 1 file 서용덕 2010.07.24 302
56 心마음 가르킨 생각 제5시집 file 서용덕 2013.06.12 314
55 수필토방 참석 및 강의 file 지산 2012.11.24 321
54 제3시집 '떠나도 지키리' file 서용덕 2009.11.15 347
53 Griffith Observatory Park에서 file 서용덕 2013.06.12 347
52 화산 2 file 서용덕 2010.07.24 355
51 해돋이 file 서용덕 2010.07.24 371
50 어떤풍경 file 미문이 2007.11.25 376
49 방문하여 주신 5만 애독자님께 file 서용덕 2011.12.21 379
48 폴라베어 file 서용덕 2010.09.29 384
47 대문 file 서용덕 2010.07.24 385
46 수필토방 참석 및 수강 file 지산 2012.11.24 387
45 기다림 file 서용덕 2010.07.24 391
44 38년만에 만난 얼굴들 file 서용덕 2008.06.09 396
43 빙하 file 서용덕 2010.09.29 398
42 선인장 꽃 file 서용덕 2010.09.29 400

회원:
0
새 글:
0
등록일:
2015.06.19

오늘:
4
어제:
0
전체:
68,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