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말과 남한말

2007.12.13 04:01

나은 조회 수:562 추천:21

북한말과 남한말



                                                                나은




남북한이 사용하는 말이 각기 다르다. 비교하여 검토해보자. 북한에서는 여성, 노동을 ‘녀성, 로동으로 기록한다. 또 냇가, 빗발을 내가, 비발로 적고 있다. 북한에서는 구경꾼, 일꾼을 구경군, 일군으로 기록하고, 빛깔, 맛깔을 빛갈, 덧니, 톱니’를 덧이, 톱이로 기록한다.

또 발음은 같은 일부 이음말끝으로 이어진다. -어를 -여로 하는가 하면 비어, 내어, 베어여, 되어, 쉬어를 ‘비여와 내여, 베여, 되여, 쉬여로 각 각 기록한다.

맺음말 끝 -ㄹ까, -ㄹ쏘냐를 -ㄹ가, -ㄹ소냐로 기록한다. 또 폐허, 화폐는 페허, 화페로 적는다. 이런 맞춤법에 딸린 것 말고, 개별낱말에 달리 적는 것들이 있다.

달리적는 토박이 낱말부터 알아보자. 남/북을 좌우로 비교해보자.  날짜/날자, 나부끼다/나붓기다, 넋두리/넉두리, 눈썹/눈섭, 물꼬/물고, 섣불리/서뿔리, 손뼉/손벽, 아리땁다/아릿답다, 안간힘/안깐힘, 치다꺼리/치닥거리, 올-바르다/옳-바르다 …. 북의 바르다는 올이 곧바르다를 이르고, 마음씨가 바르고 곱다를 이르는 올곧다’는 남북이 일치한다. 잠깐을 북에서는 한자말 ‘잠간’(暫間)으로 다룬다.

따로 기록하는 한자말에 이런 것들이 있다.  남/북을 좌우로 비교해보자. 개전(改悛)/개준. 개전, 객혈. 각혈(咯血)/각혈, 갹출(醵出)/거출, 만끽(滿喫)/만긱, 발체(拔萃)/발취․발췌, 사주(使嗾)/사촉, 알력(軋轢)/알륵, 오류(誤謬)/표식, 휴게소(休憩所)/휴계소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9 세상 바라보기 / 서용덕 석정희 2013.02.26 156
48 2007년 `자기기인'(自欺欺人) 선정 서용덕 2007.12.24 158
47 지어 나은 2007.12.12 160
46 축구 나은 2008.01.09 221
45 성공은 단 3분에 결정된다 서용덕 2007.12.04 265
44 무엇이 쓰레기인가 서용덕 2007.12.04 284
43 욕심없는 삶 서용덕 2007.12.04 294
42 우상 숭배’에 빠진 교인들 서용덕 2007.12.10 306
41 ․ 바깥에서 먹는 밥. 나은 2008.02.21 316
40 조선일보 태안 유류사고 체험 기고문 나은 2007.12.16 317
39 꽃망을 터치다 나은 2007.12.23 317
38 당신때문입니다 썬파워 2010.04.13 317
37 월드컵 나은 2008.01.08 324
36 일밥 나은 2008.02.28 335
35 장대비 썬파워 2009.07.25 337
34 그대와 나 썬파워 2009.08.03 358
33 ․ 밥짓는 분량에 따른 명칭 나은 2008.03.09 359
32 ․ 신불에 올리는 밥 나은 2008.03.02 363
31 여행의 목적 서용덕 2007.12.04 369
30 행복 썬파워 2009.05.31 384

회원:
0
새 글:
0
등록일:
2015.06.19

오늘:
0
어제:
7
전체:
67,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