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와 교포

2007.12.29 08:28

나은 조회 수:481 추천:17

동포와 교포는?



                                                                나은




우리나라를 벗어나 외국에 살고있는 동포(교포)는 약 1천만명이다. 낯선 외국에 나가있지만 늘 한국인임을 자랑스럽게 여기고 산다고 한다. 외국에 거주하는 동포들의 애국심은 월드컵 같은 국제경기 때 잘 나타난다고 한다.

여기에서 동포와 교포를 혼용하고 있다. ‘동포(同胞)’는 같은 핏줄을 이어받은 민족들이다. 동일한 민족의식을 가진 민족을 말한다. 반면 ‘교포(僑胞)’는 다른 나라에 사는 동포로써 거주지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동포’보다 좁은 의미로 사용한다.

‘동포’는 국내동포와 재외동포로 나뉘며, ‘재외동포’가 곧 ‘교포’이다. 따라서 ‘재외교포’란 표현은 어색하고, ‘재외동포’나 ‘교포’라 또는 교민(僑民)이라고 부른다.

‘재일동포’ ‘재일교포’ 모두 맞는 말이다. 다만 미국의 경우 ‘재미교포’, 일본의 ‘재일동포’란 말에 익숙한 것은 역사적, 지형적인 사실과 거주국에서의 법적 지위 등 이 자연스럽게 반영된 결과이다. 북한동포를 ‘교포’라 하지 않는 것에는 남북이 같은나라, 한겨레라는 뜻이다.

중국이나 러시아 역시 ‘교포’보다 ‘동포’라는 말에 익숙한 것은 그들의 이주역사나 처지를 반영 우리의 동포임이 강조한 것이다. 또 중국동포를 ‘조선족’이라 부르면 안된다. 중국인들의 입장에서 소수 민족인 우리 동포를 부르는 이름을 우리마저 함께 부르면 안된다. 러시아(중앙아시아)‘고려인’(카레이스키←까레이쯔)도 마찬가지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 제1회『한국해외문화상』장학금 출연자 공모 나은 2008.06.05 490
28 밥의 상태에 따른 명칭 나은 2008.03.04 489
» 동포와 교포 나은 2007.12.29 481
26 미라 와 링거 나은 2008.02.12 479
25 손혁건 시인 시집 작품해설 나은 2007.12.07 469
24 나는 역술가도 예언가도 아니다 서용덕 2007.12.23 456
23 ․ 반찬 없이 먹는 밥 나은 2008.02.26 440
22 밥에 대하여 나은 2008.02.18 428
21 은희태 스승님은 서용덕 2007.12.08 426
20 행복 썬파워 2009.05.31 384
19 여행의 목적 서용덕 2007.12.04 369
18 ․ 신불에 올리는 밥 나은 2008.03.02 363
17 ․ 밥짓는 분량에 따른 명칭 나은 2008.03.09 359
16 그대와 나 썬파워 2009.08.03 358
15 장대비 썬파워 2009.07.25 337
14 일밥 나은 2008.02.28 335
13 월드컵 나은 2008.01.08 324
12 당신때문입니다 썬파워 2010.04.13 317
11 꽃망을 터치다 나은 2007.12.23 317
10 조선일보 태안 유류사고 체험 기고문 나은 2007.12.16 317

회원:
0
새 글:
0
등록일:
2015.06.19

오늘:
0
어제:
0
전체:
68,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