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의 교훈

2007.07.22 01:19

이성열 조회 수:460 추천:30

(수필)   -새의 교훈-                                     이성열
세상에 조물주가 창조한 피조물 중에 새만큼 아름다운 게 또 있을까? 알에서 부화되어 한 일 년쯤 지난 젊은 새의 아름다움이라니......
나는 새에 대한 추억이 많다. 어려서부터 왜 그렇게 새를 좋아했는지 모른다. 꿈속에서 조차도 늘 새를 소유하고 길들이고 영원히 함께 가까이 에서 살 수 있기를 바랐으니까. 그 결과 나는 새를 좋아하다 못해 무 수의 어린 새들을 죽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들에게도 영이 있다면 나는 그 죄를 어떻게 속죄해야 할지 간혹 후회랄까, 죄책감에 시달리곤 한다.
그 즈음이 보통학교 2학년이나 3학년쯤은 되었던 것 같다. 이웃 마을에 놀러 갔다가 그곳에 사는 큰아이가 어떻게 길들였는지 노란색의 새 한 마리를 어깨에 올려놓고 걸어가고 있는 모습을 본 것이었다. 그 새는 주인인 아이의 어깨에 앉아 있다가는 포르릉 하고 날아서 주위의 나무로 가서 날개를 치고 울고는 다시 그 작은아이의 어깨에 날아와 그 애가 주는 먹이를 받아먹고는 하는 것이었다. 나는 마치 동화의 세계에 빠진 듯 넋을 잃고 그 광경을 바라보았다.
그걸 보고 집으로 돌아온 후, 나의 집요하고도 무자비한 새 새끼 수집은 시작된 것이다. 산으로 들로 쏘다니며 새의 둥지를 찾아 다녔고 그걸 찾아서는 그곳에 안주하고 있는 새 새끼들을 노획했다.
그러나 매 번 나의 새 새끼 양육은 실패였다. 아무리 정성으로 벌레를 잡아다 입으로 가져다주어도 입을 벌리고 먹으려 하지 않았고,  입을 벌려 강제로 물려 주워도 삼키지를 않다가 죽어 버리고는 하였다.
나는 고민에 빠졌다. 어떻게 하면 새를 이웃마을 소년처럼 길러볼까? 아무리 궁리를 해 보아도 아무런 방책이 서질 않았다. 나는 어른들의 말에 귀를 귀울였다. 어떤 이는 새가 부화해서 눈도 뜨기 전부터 가져다 길러야 어미를 분간 못하고 먹이를 먹는다는 것이고, 또 다른 이는  새 종류에 따라 아예 기를 수 있는 것과 기를 수 없는 것들이 있다고 일러주었다. 예를 들어 참새나 산새의 대부분은 양육이 불가하며, 때까치 종류의 새는 양육이 훨씬 수월하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나는 때까치보다는 예뿐 산새를 기르고 싶었고 기왕이면 그 소년처럼 노란 딱따구리 새를 길러보는 게 소원이었다. 그런데 이 새들은 높은 나무에 살고 있으므로 나로서는 포획이 불가능했다.
하는 수 없이 산을 헤매고 돌아다니며 새끼가 아닌 알이 있는 둥지를 찾아 다녔다. 그리고는 그 알이 부화 될 때를 기다려 아주 어려 눈도 뜨지 않고 깃털도 나기 전 집으로 꺼내 올 계획이었다. 그래서 일정 간격으로 알이 있는 둥지를 확인해 보고는 돌아오곤 했는데 어느새 어미는 그걸 알아차리고 알들을 모조리 품고는 어디론지 옮겨 버리고 말았다.
어미 새들은 위험이 닥칠 때마다 알이나 새끼들을 다 데리고 어디론가 도주를 하곤 하는데 나는 지금도 그들이 어떻게 그 많은 알이나 새끼들을 데리고 어디로 가는지 모른다. 얼마 전 내가 여기 미국에 살 때도 새들이 내 집 문 앞에 걸어 놓은 화분을 줄기차게 드나들더니  어느 날 그곳에 알을 4개나 까놓았고, 곧 새끼들을 부화해서 기르고 있었다. 나는 밖을 들고 날 적마다 갑자기 새가 앞에서 날아가는 바람에 기절을 하게 놀라기도 했지만, 새가 집에 들면 길조라는 믿음도 있고 해서 그대로 두기로 했었다.
그런데 새끼가 하도 귀여워 4 마리 중 한 놈의 머리를 쓰다듬어 준 적이 있는데, 다음 날 보니 어미 새가 내가 건드린 놈 하나는 죽여 버리고 다른 놈들은 모두 데리고 어디론지 옮겨 가 버린 게 아닌가? 그 둥지는 화분 안에 걸려 있어서 땅에 있는 것도 아닌데 어떻게 한 마리도 아닌 세 마리의 새끼를 옮겨 간 것인지 지금도 나는 그 게 의문이 아닐 수 없다.     여하튼 나는 그 이후로 산새를 기르고 길들여 보는 것도 포기하고 말았다. 그러나 결국 나는 여러 번의 시행착오 끝에 때까치 새끼는 두어 마리 길들이는데 성공했었다. 내 의도한 바대로 어깨에 앉혀 데리고 다니거나 하지는 못했어도, 최소한 밖으로 도망가지 않고  내 집을 드나들고 하다가, 어느 날부터 뒤란 나무에 살다가 가을 겨울이 되어 야생 조가 되어 버린 적이 있다.
수 년 전 친구 부부와 맥시코 국경, 엔세나다, 부파도라 등지를 가 본적이 있었다. 오는 도중 길거리에서 여러 마리 야생 조를 파는 것이 보였다. 친구가 구경하고 가자고 차를 세우기에 내려서 보았더니 콩 새만한 작은 새들 여러 종류를 팔고 있었다. 친구가 나더러도 사자고 하였으나 옛날 생각도 나고 해서 사양키로 하고, 그 친구만 네 마리를 사서 종이 봉투에 넣어 국경을 넘어 왔다. 그들 부부는 곧 펫샾에 들러 새장과 먹이, 물통 등을 사서 집에다 놓고 기르기 시작했다.
그런데 하루는 그 친구가 나에게 비실비실 마르고 몰골이 험한 새 한 마리가 든 새 장을 가져와서 기르라는 것이었다. 이유를 물은 즉 네 마리를 새 장 하나에 넣고 기르려니 서로 싸우다가 한 마리는 죽고, 또 한 마리는 죽기 바로 전 이리로 데려 왔다는 것이다.
나는 하는 수 없이 그 한 마리를 받아서 기르기 시작했다. 전에 내가 새에게 지은 죄를 조금이라도 씻는다는 의미에서 지성으로 보살펴 다 죽어 가는 놈을 살려 놓으리라. 나는 먹이와 물을 자주 갈아주고, 또 인터넷에서 정보를 얻어 상추와 멜론, 수박 같은 과일까지 사다가 정성을 들인 결과 하루가 다르게 놈이 되살아났다. 새는 얼마가 지나자 빠진 털이 다시 나기도 하면서 야생 원래의 아름다움과 윤기를 발하기 시작했다. 얼마가 지나 새털이 다 나온 후의 새는 그야말로 한 송이의 야생 오키드와도 같았다. 얼굴은 붉고 등은 진 녹색이며 배는 노란색, 검푸른 목도리를 하고 꼬리까지 달았다.
그 뿐이 아니었다. 털이 나기 시작하더니 이제 야릇한 목소리까지 내며 노래까지 부르지 않던가. 나는 날이 갈수록 이 새에 흠뻑 빠지기 시작했다. 자고 나면 제일 먼저 새장으로 가서 놈과 눈을 마주치며 안부를 물었고, 밖에 나갔다 들어와도 새장으로 직행하는 나날이 무척 즐거웠다. 신비한 노랫소리를 들어보려도 귀를 온통 그 쪽으로 열고 살았다.
나는 곧 놈에게 배필을 얻어주기 위해 새 점을 찾아갔으나 비슷한 종류의 새를 찾기가 어려웠다. 주인에게 물었더니 새의 종류를 알아 오라는 것이었고, 나는 인터넷을 샅샅이 찾아보아도 비슷한 새 종류는 있어도 같은 새를 찾기란 쉽지 않았다. 비슷한 종류의 새로는 â핀치ä라는 새가 있는데 핀치 종류도 수 십 종이었고, 크기만 비슷할 뿐 결코 같다고 할 수는 없었다. 나는 시내에 있는 새 점이란 새 점은 다 돌아 다녔지만 같은 종류의 새를 찾는데는 실패하고 말았다.              
  그렇게 배필을 얻어 주려는 나의 노력은 수포로 돌아가고, 집으로 돌아와 새장을 들여다 보다 공연히 새장 청소나 해주어야겠다는 생각에 나는 새 장을 들고 밖으로 나왔다. 화창한 날씨에 새도 흥분을 어쩔 수 없는지 펄펄 날고 뛰고 날렵한 몸을 이리저리 던지기 시작했다. 그것도 눈치 채지 못한 나는 우선 물통을 씻으려고 새 장 문을 연 채 손을 집어넣었다.
그 때였다. 새는 갑자기 몸을 날려 공중으로 붕 뜨더니 총알처럼 밖으로 빠져 나와 프르릉 소리를 내며 하늘로 치솟았다. 그리고는 곧장 그가 떠나온 멕시코가 있는 남쪽을 향해 쏜살 같이 날아가는 것이었다.
나는 어이없이 물통을 손에 든 채 놈의 꽁무니만을 쳐다보며 보이지 않을 때까지 서 있었다.
그것으로 끝이었다. 놈은 저녁에도, 또 다음 날에도 결코 돌아오지 않았다. 하지만 내 귀에는 온통 새소리만 들리고, 눈에 보이는 새들이 다 내 새장에서 날아 간 새처럼 보여 숲마다 나무마다 눈빛을 던져 찾아보았지만 허사였다.
놈은 분명 집에서 얻어먹고 자라나서 스스로는 먹을 곡식하나 찾을 줄 모를 것이었다. 안다고 해도 이 도시 천지에 어디 제가 먹을 곡식이 있겠는가? 놈은 필시 하루도 견디다 못해 굶고 지쳐 낮은 곳을 헤메다가 들고양이 밥이 될 가능성이 분명했다. 하지만 놈의 용기 하나 만은 대단한 것이었다. 푸른 창공을 자유롭게 날라보고 싶은 욕망, 그리고 그 자유를 얻기 위한 용기, 그것이 놈이 생명과도 바꿔가며 바라던 최고의 가치였던 것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6 예스 그리고 노우 이성열 2007.09.23 559
» 새의 교훈 이성열 2007.07.22 460
54 구르는 나무 이성열 2007.07.07 391
53 묘지공원 이성열 2007.01.20 964
52 목걸이 이성열 2007.01.19 1005
51 7년만의 변신(1) 이성열 2007.01.19 970
50 바뀌벌레 이성열 2007.01.19 1245
49 무임승차 이성열 2007.01.19 769
48 채무자 이성열 2007.01.19 802
47 x-마스 이후 이성열 2007.01.05 330
46 무덥고 긴 여름 밤 이성열 2006.09.21 565
45 당당한 새 이성열 2006.08.05 344
44 목화 이성열 2006.07.30 301
43 떠나간다 간다 하지만...... 이성열 2006.07.19 368
42 사과꽃 이성열 2006.05.20 413
41 우리가 어찌 사랑하지 않을 수 있으랴! 이성열 2006.03.23 423
40 소라사냥 이성열 2006.01.18 1040
39 아스펜 이성열 2005.10.20 429
38 당신의 산물 이성열 2005.09.29 343
37 사랑 받는다는 건 무엇인가 이성열 2005.09.29 405

회원:
1
새 글:
0
등록일:
2015.06.19

오늘:
0
어제:
0
전체:
42,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