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마음 베어내어

2017.06.06 11:03

박영숙영 조회 수:389


224AAB4B5876D9040D2FF4



내 마음 베어내어

 

             박영숙영

 

 

애끊는 마음

님께서 알지 못해

오시는가

마음에 길이 없어

오시는가

 

임께서 보시라고

마음 베어내어

둥근 달로 걸어 놓았더니

 

만인[萬人] 나를 보고 말을 하네

사랑은 채워질 없는 그리움이라고

 

그리워

그리워서 외로움에 떨고 있는

둥근 마음

 

하늘과 사이를 바람이 쓸고 가며

임을 있는데

 

어디에서 무얼 하고 계실까

 

새벽닭이 우네

 

 

 

 시집”어제의 사랑은 죽지를 않고”ㅡ중에서

 

 

http://cafe.daum.net/reunion1004

http://mijumunhak.net/parkyongsuk/home


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m

 내 마음 베어내어



【시조】- 정철(鄭澈)

   내 마음 베어내어 저 달을 만들고자

   구만리 장천(九萬里長天)에 번듯이 걸려 있어

   고운님 계신 곳에 가 비추어나 보리라.


【어구 풀이】

<구만리 장천(九萬里長天)> : 머나먼 푸른 하늘

<번듯이> : 번듯하게. 뚜렷하게.

<고운님> : 사랑하는 임. 여기서는 임금을 가리킴.


【현대어 풀이】

   내 마음을 베어서 별 달을 만들고 싶구나.

   아득히 넓고 먼 하늘에 번듯이 떠 있으면서

   임금님이 계신 곳을 훤하게 비추어 보고 싶구나.


【개관】

▶작자 : 정철(鄭澈.1536∼1593)

▶형식 : 평시조

▶성격 : 연군가(戀君歌)  

▶제재 : 달

▶주제 : 선조 임금에 대한 변함 없는 충정(忠情)



【감상】

   오죽이나 그리웠으면 마음을 베어 달이 되게 해 가지고 임을 바라보겠다고 한 것일까? 그 임은 그것도 모르고 잠들어 있을텐데. 사랑이란 받는 것보다 주는 것이 아름답다고 한다. 이 노래의 사랑이야말로 그런 것이 아닐까?


   임진왜란을 전후한 당시의 조정의 몰골이, 나라 되어가는 꼴이 얼마나 어수선하고 어지러웠기에 송강에게 이런 시상을 낳게 하였을까? ‘고운 님’은 물론 선조 임금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로써 임금에 대한 송강의 우국충정을 역력히 읽을 수가 있다.


   한편 이 시조의 문면상의 표현을 순수하게 받아들여 ‘고운 님’을 연인으로 설정하여 순수한 남녀간의 애정을 읊은 것으로 보면, 이 작품의 순수성이나 문학성이 한결 돋보임을 느낄 수가 있을 것이다.

 

   무릇 인간의 감정에는 희(喜)ㆍ노(怒)ㆍ애(哀)ㆍ락(榮)ㆍ애(愛)ㆍ오(惡)ㆍ욕(欲) 등 칠정(七情)이 있다고 하나 애(愛)는 칠정의 중추이니만큼 사랑 없이 인간은 살아갈 수 없는 것이다.


그리고 사랑은 그리움의 정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인간은 그리움 속에 살아가게 된다. 그래서 아주 못견디게 그리울 때에는 그 그리움을 시가의 형식을 빌어 표현하게 된다.


   그리하여 조선 시대에는 모든 형태의 애정, 즉 친자(親子)간의 은애(恩愛), 남녀간의 연애, 형제간의 우애, 친구간의 신애(信愛), 군신(君臣)간의 충애(忠愛) 등을 시조의 형식을 빌어 표현하였던 것이다. 현존하는 시조 작품에서 애정 문학이 가장 많다는 것은 감정의 대표적인 형태가 애정 때문이기도 하나, 유학자들이 애정을 윤리적으로 해석하였던 유교 시대를 배경으로 하였다는 데도 그 원인이 있었다고 생각된다.


   송강 정철의 작품을 보면 항상 종장 부분에 '님'이 등장하고 있는데 주지하다시피 이 '님'은 남녀간의 연애를 바탕으로 한 '님'이 아니라  군신(君臣)간의 충애(忠愛)를 배경으로 하여 성립된 '님', 곧 '임금', 더욱 구체적으로는 '선조 임금'을 지칭하고 있다. 송강의 유명한 가사인 사미인곡과 속미인곡이 다 여인이 님을 그리는 심정을 통하여 연군(戀君)의 정을 노래하고 있는 작품인데, 이 시조 또한 같은 수법이라고 할 수 있다. 송강의 문학은 이런 '님'을 떠나서는 존재할 수 없는 것이었는지도 모른다.

 

   이 시조는 임금을 그리워하는 안타까운 마음을 우회적인 표현으로 형상화한 작품이다.

   송강 정철(鄭澈)의 대부분의 작품은 연군지정(戀君之情)을 노래한 작품이다. 문학적으로는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살렸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하지만 그가 그리는 임은 너무도 치우친 임금에 대한 사랑이다.


   당시 사대부의 대부분의 작품에 등장하는 임은 작자가 생존할 때 왕권을 잡고 있는 임금이다. 그러나 다시금 생각하면 그들이 그토록 그리워하는 임은 권력자이기에 그들의 그리움에는 임금에 대한 충성이고, 비판적으로 말하면 맹목적인 권력지향적인 사고방식이 들어 있다. 특히 송강의 작품 또한 그러한 범주에서 벗어날 수 없다.


   그럼에도 송강의 작품이 의미가 있는 것은 한문과 고사성어와 명문을 인용하던 당대의 다른 문인들과는 달리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살리고 있다는 데 있다. 송강의 '사미인곡'과 '속미인곡'이 다 여인이 님을 그리는 심정을 통하여 연군(戀君)의 정을 노래하고 있는 작품인데, 이 시조 또한 같은 수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시조는 자신의 진솔한 마음을 칼로 베어 내어 달을 만들어서 임금이 계신 궁궐에 비춤으로써, 자신의 충정(衷情)을 임금께 전하고 싶다는 내용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세계 한글작가대회 ㅡ언어와 문자의 중요성ㅡ 박영숙영 2015.10.30 439
공지 내가 사랑 시를 쓰는 이유 박영숙영 2015.08.02 205
공지 사부곡아리랑/아버님께 바치는헌시ㅡ시해설 박영숙영 2015.07.18 844
공지 시와 마라톤ㅡ 재미시인 박영숙영 인터뷰기사 박영숙영 2014.10.17 514
공지 사부곡 아리랑(아버님께 바치는 헌시)ㅡ 인터뷰기사 박영숙영 2014.01.16 460
공지 시집 5 -《인터넷 고운 님이여》'시'해설 박영숙영 2013.04.20 1030
공지 시집 4 -사부곡아리랑/아버님께 바치는헌시/서문 박영숙영 2013.04.20 795
공지 시집 3ㅡ어제의 사랑은 죽지를 않고 시'해설 박영숙영 2010.11.03 1353
공지 시집을 내면서ㅡ1, 2, 3, 4, 5, 6 권 박영숙영 2010.10.27 1258
공지 빛이고 희망이신 “인터넷 고운님에게” 내'시'는 박영숙영 2009.08.24 1671
공지 시집 1 ㅡ영혼의 입맞춤/ 신달자 /명지대교수 박영숙영 2008.09.09 1583
274 Here Comes South Korea / 수필 박영숙영 2016.04.29 7106
273 찔례꽃 잎새마다 달이 지는데 박영숙영 2016.04.24 7098
272 계절을 두고온 목련꽃 나무 박영숙영 2016.04.24 7088
271 그대에게 고백하고 싶습니다 박영숙영 2016.04.24 7076
270 사랑 그 신비의 묘약 박영숙영 2016.04.24 7038
269 아~감사 합니다 박영숙영 2016.04.24 7016
268 잊고 살자 하면서도 박영숙영 2016.04.24 7014
267 아~그 곳에 나의 꿈이 박영숙영 2016.04.24 6993
266 국제결혼여성 미국에서의 삶과코시안 박영숙영 2009.04.22 1922
265 어머님 기일에 박영숙 2009.07.04 1710
264 여자는 숨어서 울음 운다 박영숙영 2009.05.18 1660
263 그대 여인으로 살고 싶소 /박영숙 박영숙영 2009.04.22 1655
262 그대에게 고백하고 싶습니다 박영숙영 2009.03.18 1650
261 민들레 아리랑 박영숙영 2009.08.10 1601
260 당신 손잡고 박영숙영 2008.12.24 1592
259 어머니의 젖줄 오~모국어여 ! 박영숙 2009.07.14 1574
258 여자는 숨어서 울음 운다 박영숙영 2009.06.23 1529
257 동반자 박영숙영 2009.01.14 1525
256 이 땅의 백성들을 보살피소서 박영숙영 2009.05.26 1522
255 허상 박영숙 2009.08.23 1482
254 인터넷 속상하고 , 인터넷 고맙다 박영숙 2009.01.26 1482
253 아부지 박영숙 2009.07.04 1481
252 내 마음 내 안에 있는것일까 박영숙 2009.11.03 1471
251 흙 위에 민들레 자라듯이 박영숙영 2008.12.24 1463
250 사랑인줄 이제사 알았습니다 박영숙영 2009.03.02 1458
249 천년 전의, 천년 후의 약속 박영숙 2009.01.14 1417
248 박영숙 2008.12.04 1395
247 불씨 없이도 불이 타고 박영숙 2008.12.04 1351
246 기다림 박영숙 2008.11.01 1315
245 마음의 본질은 변덕이다 박영숙 2010.02.25 1303
244 공허한 가슴 박영숙 2008.11.01 1256
243 울고 싶은 날 박영숙영 2008.11.01 1247
242 내 삶의 향기 박영숙영 2010.12.10 1246
241 '박영숙'이란 이름은 참 흔 한 이름이다 박영숙영 2010.08.31 1244
240 우울증 박영숙 2008.11.01 1242
239 바다를 뚫고 솟아난 섬2 박영숙영 2010.05.19 1233
238 고독한 나의 봄 박영숙영 2008.11.01 1216
237 영원한 불씨하나 심어주소서 박영숙영 2011.01.04 1210
236 사랑이 가시 되어 박영숙 2008.11.01 1190
235 아~오늘 밤만은 박영숙 2008.11.01 1188
234 꽃씨를 심으며 박영숙 2008.11.01 1173
233 흘러갈 수 없는 섬 하나 박영숙 2008.08.28 1170
232 총영사관(휴스톤)관저를 다녀와서 / 수필 박영숙영 2012.03.14 1157
231 그대는 모릅니다 박영숙 2008.11.01 1157
230 사랑하고, 사랑받고 박영숙 2008.11.01 1153
229 영혼의 입맞춤 박영숙 2008.09.09 1148
228 아름다운 오늘 박영숙 2008.09.26 1145
227 물 한 방울 떨어지면 박영숙 2008.08.19 1139
226 5월의 장미 박영숙 2008.11.01 1132
225 봄의 노래 박영숙 2008.11.01 1131
224 가슴타는 그리움 박영숙 2008.08.19 1129
223 그리운 이름 하나 적어 봅니다 박영숙 2008.08.28 1126
222 세월과 고독을 꿰매고 박영숙 2008.09.09 1119
221 그냥 여자이고 싶다 박영숙 2008.11.01 1113
220 겨울나무 그대는 박영숙영 2010.12.06 1112
219 봄 마중 가고싶다 박영숙 2008.11.01 1104

회원:
2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50
어제:
72
전체:
883,7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