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상훈의 문학서재






오늘:
23
어제:
9
전체:
46,654

이달의 작가

데마레스트에 담긴 고향 (수필)

2018.03.08 11:10

양상훈 조회 수:66

                                                             데마레스트에 담긴 고향

                                                                                                           양상훈

 

데마레스트의 하덴버그 거리에 들어서면, 고향의 옛 정취가 스며든 어린 시절의 영감이 아련히 떠 오른다.

정글 같은 빽빽한 공원 숲을 뚫고 흐르는 잔잔한 물결이 모아져 미니 호수를 이룬 곳, 수면에 내려앉은 온갖 새 무리들이 수면을 뒤덮는 장관을 이루다가 날아오른 후 어김없이 떼를 지어 푸른 하늘 위로 장엄한 열병 식을 펼치는 놀라운 광경을 볼 수 있다.

여기저기 서 있는 거 목의 능수 버들가지가 호수를 향하여 머리를 풀고, 옆으로 비켜 끝없이 뻗어나가는 철로 와, 오랜 풍상을 이겨온 측백나무가 데마레스트역과 나란히 자리 잡고 있는 자태가 정겹기만 하다.

옛날 160여 년 전 ,이 부근은 랄프 데마레스트( S. Demarest) 가족이 농작물을 재배하여 마을 사람들에게 공급하였던 유서 깊은 농장이었다. 현재 신혼부부들이 스냅 사진의 배경이 되고 있는 다각형 구조의 아름다운 휴식 처는 그들이 살았던 농가의 옛 터전 이다.

당시 유명한 건축가 크레버렌드 캐디에 의해 설계된 데마레스트역은, 오랜 세월이 흐르면서 현재는 시니어 센터로 바뀌었지만, 지금도 빈 화물열차가 옛 역을 그리워하는 듯, - 슬픈 기적 소리를 서서히 지나가곤 한다.

당시 데마레스트씨는 그 의 농장을 기증한 공헌으로 최초의 역장이 되었고, 그 후 뉴져지 상원의원으로 당선된 행운을 맞이하기도 하였다

1903년 그의 이름을 기리기 위해 타 운 명칭을 데마레스트로 붙인 이곳은 발전을 거듭하면서 상류 지역으로 발전하여 왔다.

시냇물을 따라 크로스터와 데마레스트 주변으로 우리 가족은 아이들이 성장하여 고교를 졸 업 할 때 까지 미국 생활의 대부분을 이곳에 살아왔다. 내가 귀국 발령 후 이산가족으로 헤어져 지내는 동안, 어려운 생활 여건 가운데에서도 아내는 아이들의 교육 환경을 고려하여 이곳에 머물러 있었고 어느덧 강산이 변할 정도로 많은 세월이 흘러 버린 것이다.

마음껏 뛰놀던 공원과 운동장,여름이면 녹음이 우거진 숲 속 생활을 통해 더 가까워진 이웃들.언덕 위의 교회 ,도서관과 자연 속에서 더 수련 되고 다듬어지면서 오랜 생활 터가 자연스럽게 아이들의 고향 둥지가 되었다.

이곳에서 의 생활이 나의 어린 꿈나무를 잘 자란 튼튼한 나무로 만들어준 귀중한 제 2의 고향이 된 것이다.

사람은 저마다 태어난 집이 있고, 그립고 설레는 고향이 있다. 타국의 먼 거리에서 심신이 고달파도 반갑게 맞아줄 가정과 고향이 있으면, 행복한 사람이라고 한다.

고향이란 선조의 피가 흐르고 끈끈한 혈통의 인맥과 사랑이 맺혀 어머니의 품속과 같은 꿈과 동경의 세계이다. 그래서 타향에서 고향 얘기만 나와도 가슴 설레어지며 고향 사람들을 만나면 그렇게 반가울 수가 없는 것이 인간의 상정이다.

동물의 세계도 그 회귀 본능은 인간과 마찬가지다. 둥지를 떠난 새가 오래 지나도 어김없이 찾아오고 ,사슴도 늙어 죽음에 가까워지면 태어난 언덕으로 돌아온다는 수구초심(首丘初心)이란 말도 있지 않는가.

미국 서부 시아틀 앞바다에는 수 많은 어린 연어가 서식하다가 바다 멀리 떠난 후 큰 연어가 되어 무리를 지어 다시 돌아온다. 사람의 마음은 이보다 더하다. 어느 곳 어떤 상황에 놓여있어도 자신이 태어난 자란 곳은 잊는 법이 없어,고향은 늘 아름다운 곳,죽어서도 돌아 가고 픈 영원의 안식처로 떠 오른다.

남북 분 단의 비극으로 돌아갈 수 없고, 찾아가 살 수도 없지만 북한에 고향을 둔 실향 민은 오늘도 휴전선 너머로 망 향 제에 눈물을 흘리기도 하며, 조금이라도 고향 길목 가까이 백령도에서 애달프게 평생을 살아가는 실향 민도 있음을 볼 수 있다.

해외에 살고 있는 우리 이민 세대들은 고향의 개념을 어떻게 정립할 것인가. 태평양 건너 고향 길은 아득히 멀어도 그립고 사무치는 심정은 더욱 간 절 하는 법이다. 하지만, 이민 세대에는 고향 에로의  회귀 정신은 마음에 담고 있지만, 타국에서 새로운 고향을 찾겠다는 각오와 의지로 떠나왔기 때문에 이곳에서 누구보다 더 열심히 주어진 환경을 극복하게 나갈 각오를 다지게 되는 것이다,

고향에 깃들어 있는 선조의 정신과 가족 문화와 유산을 밑거름으로 이곳에서 더 좋은 옥토를 만들고자 노력하는 것이며 이 땅의 주인공이 되어 후손들에게 제 2의 고향이 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유태인 민족은 세계 도처에서 유랑 생활을 하면서도 그들의 정신과 문화와 종교를 사는 곳 마다 뿌리를 내려 고향으로 삼고 떳떳 한 역사의 주인이 되고 있다

이민 세대는 모국에서 담아온 한민족의 토양 문화와 미풍양속이 담긴 고귀한 고향 의식과 함께 이곳 원주민과 잘 융합하고 어울리면서 닻을 내린 거주 지역에 주인 의식을 갖고 자신들과 후 세대들을 위한 영원한 고향을 튼튼히 다져 나가야 한다

고향을 떠나 새로운 고향을 만드는 일은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자녀들을 위하여 이민 세대가 만드는 이 곳에서 의 고향은 이곳에서 태어나고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엄마 품속 같이 포근하고 따스한 마음의 안식처가 될 것이고, 그들의 부모들이 떠나온 고향과 정신적으로 연결되는 타국에서 의 새로운 고향으로 형성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