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uck


99295A3359F812DD207276



지상에서 부른 마지막 노래/ 김현식


이 몸이 죽어가도

가슴에 맺힌 사연들은

내가 떠난 그 후에도

잊혀지지 않을거야

이 내 몸이 병들어도

못 다한 말 너무 많아

수북수북 쌓인 눈에

쌓인 눈에 잊혀질까

이 내 몸이 죽어가도

가슴에 맺힌 사연들은

내가 죽은 그 자리에

들꽃 한 송이로 피어날 거야


시집 지상에서 부른 마지막 노래』 (살림, 1992)

........................................................................


김현식은 27년 전 1990년 11월 1일 서른둘 젊은 나이에 간경화로 세상을 떠났다해마다 그의 기일이면 음악방송에서 그를 추모했다올해는 김현식 보다 3년 앞서 1987년 11월 1일 불의의 교통사고로 만 25세에 안타깝게 생을 마감한 유재하의 30주기이기도 하다쏟아지는 신곡들로 인해 히트곡 주기가 점차 짧아지고 왠지 가볍게만 느껴지는 가요계 현실에서 그들의 음악은 확실히 달랐다특히 김현식은 한국적인 서정을 록과 블루스에 녹여낸 최고의 싱어로 평가받는다.죽는 순간까지 음악을 향한 그의 열정은 대중에게 영원히 잊히지 않은 뮤지션으로 기억되기에 충분하다.


누가 내게 애송시가 뭐냐고 물으면 우물우물 즉답이 신통찮을 수 있겠으나애창곡을 묻는다면 비교적 소신 있게 말할 수 있다. ‘내 사랑 내 곁에’ ‘사랑했어요’ ‘추억 만들기’ 그러고 보니 노래방에 가기만 하면 불렀던 곡들이다물론 나훈아와 조용필그리고 김광석의 노래도 레퍼토리에 있지만 변변찮은 가창력으로 골목길과 이별의 종착역까지 김현식 풍으로 불러재낀 걸 봐서는 나도 김현식의 팬이라 자처할 만하다그런데 혼자 있는 시간이 많을 때 이런 김현식의 고독과 우울을 반복적으로 노래한다는 건 상당한 부담이 따랐다자칫 듣는 이에겐 노랫말의 상황과 가락의 분위기를 나와 동일시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사실 고음 부분에서 울대를 최대한 팽창시킬 땐 나 자신도 모를 응어리 같은 게 느껴지긴 했다하지만 그걸 토해낸 뒤에 오는 위로는 컸다삶과 노래와 시대가 서로 유리되어 겉돌지 않듯이 그의 노래를 좋아하고 따라 부르는 사람들에게도 함께 아우르는 정서가 있다그만이 뿜어낼 수 있는 소리의 섬유질과 무언지 모를 가슴에 맺힌 사연들을 함께 경험하고 공유한다는 것이다그의 음악은 단순히 호소력 짙은 가창력 정도가 아니라 듣는 이로 하여금 영혼의 어떤 숭고한 상태에까지 이르게 한다거기엔 어떤 알 수 없는 신비한 마력과 힘혼이 느껴지고 충동들이 존재한다김현식의 음악적 문법엔 예술적 광기 같은 게 있었다.


그런 광기는 삶과 죽음의 경계를 모호한 지경으로 몰고 간다아랫배에 복수가 차고 피를 토하는 상황에서도 음악에 대한 식지 않은 열정으로 남긴 메모가 이 시다사실 시라기 보다는 노랫말이며사후 폭발적인 그의 인기에 편승한 상업적 소산으로 묶인 시집 속의 글이지만 무슨 상관인가그는 누구보다 훌륭한 시인이었으며 뮤지션이었다불꽃처럼 타올랐다가 바람처럼 사라져간 그 자리에 영원토록 피어있을 들꽃 한 송이이며 살아있는 진행형의 전설이다삶과 음악을 반추하는 일은 아무리 세월이 흘렀어도 유효하고 심연을 건드리며 일체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대중의 사랑을 받던 연예인의 느닷없는 죽음은 그래서 유별난 것이다JTBC 손석희 앵커는 배우 김주혁의 안타까운 죽음을 두고 삶과 죽음의 경계는 찰나라서 허망하기도 하고 두렵기도 합니다.”라며 우리 모두가 느끼는 심정을 대변했다.우리가 지상에서 부른 마지막 노래는 어떤 곡조일까. 시월의 마지막 밤에 혼자 허밍으로 ‘내 사랑 내곁에’나 불러야겠다.

해설, 권순진







회원:
1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0
어제:
5
전체:
647,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