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고국 8도 기행(9월 12-30- 10)
                                          정용진 (시인)

  여행은 아름다운 것이다. 행운유수(行雲流水)의 시정(詩情)이 깃들고 풍찬노숙(風餐露宿) 낭만이 따르게 마련이다.
나는 아내와 더불어 고국 8도를 방랑객처럼 홀가분한 심정으로 유람하였다.
고국을 방문하는 일행과 전국 지방치단체장들의 협조와 아시아나 항공의 협찬으로 이루어진 행사였다.
“고려국에 태어나서 금강산을 한번 보고 죽으면 원이 없겠다.”(願生 高麗國 一見 金剛山)다 던 중국의 시인 소동파(蘇東波)의 명시 금강산을 감격 속에 2002년에 찾았고 내가 고국을 이렇게 샅샅이 살필 수 있는 기회를 맞이할 수 있는 것은 너무나 큰 행운이 아닐 수 없었다. 자 이제 고국 8도 기행을 떠나보자.

조 국
          정용진

조국은
내 사념(思念)의 영토를
장지문(壯紙門) 틈 사이로
스며오는
고향 하늘.

그는 내게로 다가와서
깃발이 되어
휘날리기도 하고
영원의 강물로
굽이치는

아! 아! 조국은
한의 얼
한의 꿈
한의 혈맥.

백의민족 선열들의
경천애인(敬天愛人)
홍익인간(弘益人間)의
거룩한 애국 혼이

여기
우리들의 모토위에
뿌리 깊이 내려
그 체온이 따사롭다.

우리 모두는
한(韓)의 숨결
꽃으로 피어나
향이 되고
열매로 익어야 하리
뼈를 묻을
조국. 뜨거운 가슴에.

2010년
9월 12일(일) 0시 20분 우리 내외는 동행인 신중덕 박사님(의사) 내외분과 함께 로스엔젤레스 국제공항을 떠났다.

9월 13일(월)
이른 아침에 인천국제공항에 도착 하였다.
국내 최대 사장교 인천대교를 지나 국제자유도시 송도에 도착, 재미동포 실버타운 후보지를 둘러본 후 서해안 고속도로를 타고 군산으로 이동 민족의 대 역사인 세계최장 새만금 방조제를 관광한 후 국립공원 변산으로 이동 채석강변 대명리조트 호텔에서 여장을 풀었다. 가을을 맞이하는 채석 강변의 모래밭은 은모래 빛이었다.


내소사(來蘇寺)
                    정용진
만경강 건너서
김제 벌 지나
내소사 가는 길.

억년을
선돌로 서서
가슴을 내어 맡긴 채
해풍에 씻기고
파도에 빨려
삼라만상(森羅萬象)을 이루었구나.
변산반도 채석강.

겁(劫)의 세월을
욕망의 늪을 못 헤어나
고해(苦海)를 떠돌던
중생들의 마음이
둥 둥둥
둥 둥둥 울리는
내소사 북소리에

무량(無量)이
불심(佛心)으로
불심이 무량으로

일주문
전나무 숲길을 들어서는
나한(羅漢()들의 발길이
선(禪)으로 덧입어
청정심(淸淨心)으로 거듭나네.

9월 14일(화) 맑음.
조식 후 채석강변을 산책하고 전남 담양으로 이동, 죽녹원, 대나무 숲, 대나무 박물관을 보고 대숲 길을 걷고 대통 밥으로 점심을 나누고 경남 통영으로 가서 거제 포로수용소를 견학하고 통영 해저 터널을 관광하고 한려수도를 유람선으로 선회하였다.
  우리 민족의 영웅 이순신 장군의 유적지 제승당을 참관하고. 충무 리조트 호텔에서 유숙하였다. 몸이 심히 불편한 고향 친구 심재복 내외를 만나서 대화를 나누고 위로 하였다. 퍽 오랜만의 친구와의 만남이었다.
과연 우리 민족사에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안 계셨다면 우리 민족에게 오늘의 이날이 있었을까?. 너무 감격하여 이충무공 영정 앞에 큰 절을 올렸다.
송림이 울울창창하고 쪽빛 바다 물결이 비단폭 같은데 주위 경관이 잘 보전되어 아름답기가 그지없다. 제일강산의 명승지란 이런 곳을 두고 말하는 것일 것 같다.
나는 작고하신 분으로는 나의 조상님 외에는 영월에서 잠들어 계시는 시선 김삿갓(병연), 여주 영릉의 세종대왕님, 그리고 충무공 이순신 장군 세분 뿐 이다. 적어도 문인이라면 이 세분은 반드시 찾아 인사를 올리라고 권면하고 싶다.
이런 명산 창랑지수에 달이 밝아오면 이순신 장군의 애국시조 한산도가가 울려 날 것 같다.

한산도 명월야(閑山島 明月夜)
상술루 무대도 심수시(上戌樓 憮大刀 深愁時)
하처일성적 갱첨수(何處一聲笛 更添愁)


한산섬 달 밝은 밤에 수루에 혼자 앉아
큰칼 옆에 차고 깊은 시름 하는 적에  
어디서 일성호가는 나의 애를 끊나니  <이순신 장군>

한산도송(閑山島頌)
                          정용진
푸른 산은
병풍으로 두르고
맑은 물엔
거북선을 띄워

밤에는
둥근 달로
낮에는
뜨거운 태양으로

나라사랑
겨레사랑
충무공 이순신장군.

거북선의 위용 앞에
벌 벌 떨며
기가 죽은 왜병들의
한숨소리가
거친 물결로 출렁이고
통곡소리로 흐르는구나.

여기는
우리 민족의 성지
해송(海松)의 힘찬 기상으로
영원무궁토록
푸를레라.
9월 15일(수) 맑음.
진해로 이동, 해군사관학교를 관광하고 거북선에 승선 후 박물관을 둘러보았다.
김해공항을 통해 제주도로 이동, 용 바위를 구경하고 라마다 호텔에서 여장을 풀었다.

9월 16일(목) 맑음.
한림공원, 감귤농장, 천지연 폭포를 관광하고 서귀포 유람선을 탔다.
주상절리대, 쇄쏘각을 보고 제주 도지사의 만찬 참석 후 라마다 호텔에 투숙하고. 다음날 한라산의 물줄기를 바다로 내려 쏟는 천지연폭포를 찾았다. 비단폭 같은 물줄기에 안개비가 흐르고 그 음향이 천지를 뒤흔든다. 과연 천하 절경은 이를 두고 이른 말인 듯싶다.

9월 17일(금) 맑음.
민속촌 성읍 민속마을, 테마파크 선녀와 나뭇꾼을 보고 한라산 중턱 중림 휴양림을 산책하였다.
제주도를 떠나 부산으로 이동, 부산의 명물 자갈치시장을 둘러보고 영도다리, 광안대교, 해운대 야경을 바라보며 경주 힐튼호텔에서 여장을 풀었다.

가을 백사장
                  정용진

누가 걸어갔나.
은빛 모래밭
외줄기
기인 발자국.

언제 떠나갔나.
자국마다 고인
애수(哀愁).

가슴을 두드리는
저문 파도소리.

9월 18일(토) 맑음.
조식 후 신라 천년의 고도 경주 불국사. 안압지, 국립 박물관, 왕릉고분을 둘러보았다. 신라의 국호가 삼국사기 지증왕 4년(503년) “덕업이 날로 새로워지고 사방을 망라한다.”( 德業日新 網羅四方)에서 연유함을 비로서 알았다.
신라의 삼국 통일이 민족의 경사라고는 결코 말할 수 없지마는 신라가 삼국 통일을 하 수 밖에 없었다는 깊은 뜻이 내포되어 있음을 깨닫고 크게 놀랐다. 포항으로 이동, 죽포시장을 둘러 본 후 포항 시장의 만찬에 참석한 뒤에  팔로스 호텔에서 휴식을 취하였다.

9월 19일(일) 맑음.
해병 제1사단 방문 후 의장대 시범 사열을 받고 역사관을 둘러본 뒤에 한국 근대 사업의 현장인 포항제절을 찾아 강판 제철의 생생한 모습을 관람한 다음 아름다운 동해안을 따라 대게의 명산지인 영덕, 울진. 삼척. 동해 주문진을 지나 강릉에 도착하니 폭우가 쏟아져 신사임당의 오죽헌과 낙산사의 관광을 겉으로만 바라보고 설악산으로 이동하여 강원도지사의 만찬에 참석한 후 설악파크호텔에서 짐을 풀었다.

금강굴(金剛窟)
          정용진

하늘 만지며
흰 구름 이고 걷는
금강굴.

발아래 만학천봉(萬壑千峰)
청의(靑衣)를 걸치고

사공 
노 젓는 소리
노 젓는 소리

아 ㅡ
잎마다 조각배
천불동 계류여

노승의 기원
석굴에 배어
영겁의 세월을
풍설에 깍이며
선(禪)의 탑을 이루다.

비선대 명경수
우유 빛 커ㅡ튼 드리우고
선녀
옷 벗는 소리
옷 벗는 소리

칠천 팔백봉 마다
미의향연
칠월 염천도 얼어붙는다.

청해를 마시며
흰 구름 이고 걷는
금강굴.
   * 금강굴은 설악산 중턱의 동굴이름.

9월 20일(월) 안개 비.
새벽안개에 쌓인 설악산 비경에 취하여 케이불카로 권금성을 오르고 안개 걷혀가는 신비스러운 모습을 바라보았다. 천년 명찰 신흥사를 관광 한 후 미시령 털을 거쳐 중앙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를 통하여 우리 내외는 나의 고향인 여주 휴게소에서 내리고 일행 160명은 용인 민속촌으로 이동하여 관공 후 경기관광공사의 만찬에 참석하고 광화문 앞에서 해산하였다.
고향 여주 휴게소에 내리니 죽마지우 신홍은 내외가 불편한 몸을 이끌고 우리 내외를 반갑게 맞아주었다. 오랜만에 고향 방문인데 폭우가 심하게 내려 퍼 부었다. 비가 어느 정도 멈춘 후 이슬비를 맞으며 우리 내외는 호텔앞에 우람히 솟아있는 영월루에 올랐다. 여주에는 사대강 사업의 이포보, 여주보, 강천보가 한창 진행 중이었다.


강 마을
       정용진

내 님이 사는 마을은
돛단배 밀려오고
따사로운 인정 머무는
버들 숲 강마을.

동산에 돋는 해
머리에 이고
가녀린 손길을 모두어 가며
한없이 한없이
기다리는 마음

애달픈 사연 토해놓고
기러기 떼 떠나가고
파아란 강심에
깃드는 강 노을

하아얀 모래밭
푸른 갈 숲을
끝없이 끝없이
가고픈 마음

외로운 초생 달
창가에 들면
멧새도 울음 멈춰
숲으로 드네

그토록 오랜 세월
고운 꿈 가꾸며
이 밤도 잔잔한 강마을
창가에 쉬네.  


9월 21일(화)
폭우가 내려 내가 사랑하는 명주비단자락의 여강(驪江)이 흙탕물로 흐른다.
가정을 사랑하지 않는 사람은 고향을 사랑하지 않는다. 고향을 사랑하지 않는 사람은 조국을 사랑하지 않는다. 이는 내가 스스로 내린 결론이요 애국관의 정의다.  영월루(迎月樓)는 전설의 바위 마암(馬巖)위에 솟아있어 여주의 상징과도 같은 곳으로 공원으로 아름답게  조성되어 있었다.
평택에서 고종사촌여동생 현이 찾아와서 함께 여주 아울렛을  찾아 쇼핑을 하였다. 140여개의 세계적 명품 아울렛들이 모여 있었고 년 5-6백만명의 국내외 쇼핑객들이 몰려온다는데 신세계와 미국 첼시가 50대 50의 지분으로 조성하였다고 한다.

영월루(迎月樓)
                      정용진
오대산
굽이굽이 감돌아
흘러온 물줄기
여강(驪江)에 이르러
거울을 이루었구나.

애타는 마음
중천 명월로 떠서
내 가슴과
강심(江心)에
티 없이 프르른데
연연(戀戀)한 그리움이
물결져 흐르네.

밤마다
눈부시게
돋아오는 앳된 얼굴
그리운 임을

오늘도
가슴가득 안으려
마암(馬巖) 영월루(迎月樓)
돌계단을 오르는
발자국 소리.

여주(驪州)는 옛 지명의  이름이 고구려 장수왕 때에는 골내근현(骨內近縣)이었고, 마암 굴에서 두 말을 탄 현인이 솟아올라 하나는 여흥 민씨의 시조가 되었고 다른 한분은 여흥 이씨의 시조가 되었다하여 낙화암과 같은 바위에는 마암이라 크게 새겨져 있고 “두 말이 물가에서 솟아오르니 현 이름이 황려가 되었다.”(双馬雄起 出水涯 縣名從此 得黃驪)라 전한다.
그래서 여주는 황려 여흥 여강 여주의 여러 이름이 있다.
여주에는 청심루(淸心樓)라는 아름다운 누각이 있어 포은 정몽주, 다산 정약용, 목은 이색, 우암 송시열, 퇴계 이황, 류성룡, 김종직 등 4백여편의 시판이 걸려 있었다 전하며, 숫한 시인 묵객들이 찾아 시를 읊었고 성종. 중종, 숙종, 영조. 정조등 많은 임금들이 성군 세종영릉을 참배한 후 쉬어가기도 하였다. 지금을 소실 되었으나 복원 운동이 한창이다.
청심루는 여주 팔경의 진수 이기도한데 서울의 낙천정. 세검정. 광주의 청풍루. 파주의 화석정. 청풍의 한벽루. 남원의 광한루. 제주의 관덕정과 함께 한국의 명루 반열에 올랐다.
또한 여주는 싸리산을 중심으로 양질의 고령토가 많이 매장되어 있어서 일찌기 경기 광주와 함께 이조백자의 근원지가 되었고, 일본. 경기 이천 등지로 전파된 곳으로 해마다 경기광주, 이천과 더불어 매 4년마다 세계 도자기 박람회가 열리고 있다. 최근에는 한국명 도자기의 생산 공장 행남 도자기 본사가 여주로 옮겨와서 성업을 이루고 있고, 전남 강진과 전북 부안의 청자와 함께 자기의 명산지로 수백 개의 공장들이 학동을 중심으로 산재해 있어 한국 생활자기의 80프로를 이곳에서 생산하고 있다.

마암(馬巖)에 올라서
                           정용진
청산을 우러르며
벽사(壁寺)를 휘감아
마암으로 흘러드는
청심의 여강(驪江).

무구한 세월의
꿈이 서린
천인단애의 바윗등엔
초연히 웃고 섰는
진달래 꽃 등걸

머언데선 구름이 일고
가까이선 범종소리
청강에 파문지는데
발아랜
가없는 은 모랫벌
그리던 옛님도
학(鶴)으로 되돌아와
강심(江心)을 거니는데
어제의 동안(童顔)은 어디두고
백발서린 모습으로
장승처럼 예섰는가.

마암에 뜨는 달이
영월루에 깃을 펴고
이릉(二陵)에 걸린 달이
향촌에 가득한데
내 마음도
물빛으로 젖어들어
파아란 가슴
하늘이 고여오네.

신륵사(神勒寺)를 굽이돌아
마암을 우러르고
오늘도
소리 없이 저어가는
청심의 여강(驪江).

* (이릉은 세종 효종릉)

나는 다시 내 고향 여강을 이렇게 노래하였다.

여강(驪江)
                  정용진
님은
명주 비단자락.

내 마을 인정을
살포시 두르고
굽어 도는
청실 강줄기
그리운 물결 소리

밤마다
애틋한 꿈을 싣고 와
은 모랫벌
조포(潮浦) 나루를 건너는

님은
아련한 달빛.

내 누님의 
속마음 같은
명주 비단자락.

  * 여강은 여주 앞강 이름. 조포는 신륵사 앞 나루 이름.

내 고향 여주에는 여강(남한강)에 3개의 큰 다리가 있는데 처음에 놓인 다리는 폭이 좁아서 지금을 인도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를 낭만적으로 여강 연인교라 부르고 새로 신축한 강다리는 여주대교, 그리고 세종 영릉 쪽에 신설된 한강에서 제일 긴 다리를 세종대교라고 부른다.

여강(驪江) 연인교(戀人橋)
                          
여강(驪江)을 가로질러
절경 영월루(迎月樓)와
명찰 신륵사(神勒寺)를 잇는
옛, 여주대교
연인의 다리.

발아래는
명주비단자락
푸른 물굽이가 넘실거리고

밤마다
아련한 달빛이
박꽃으로 피어
내 님의 맑고 고운 옷자락.

너와 나는
이 연인의 다리를
손 마주잡고 거닐면서
사랑을 싹틔우고
꽃을 피운다.

오늘도
애틋한 그리움이
외등 불빛으로 번져
내 고향
여강의 가슴속에
한 폭의 그림으로 정겨운데
해맑게 씻기운 은 모랫벌 위에
사랑의 발자국을 나란히
추억으로 아로새기자.

여주에는 원효대사가 창건한 명찰 신륵사(神勒寺)가 있는데 나옹화상(懶翁和尙)이 입적하신 사찰로 유명하다. 유유히 흐르는 강변에는 그의 호를 따서
강월헌(江月軒)이라는 8각정 누각이 암벽위에 서있다.
봉미산 신륵사 앞 나루를 조포(潮浦)나루라 하는데 마포, 광진포, 이포와 더불어 한강의 4대 나루라 전해온다.

조포(潮浦)나루
                      정용진
                    
지존(至尊)의 선비가
천한 뱃사공이 젓는
낡은 목선(木船)에
옥체(玉體)를 맡기고
청강(淸江)의 물살을 갈랐으리라.

인간의 정(情)이란
주고받을 수 록
소리 없는 강물처럼
저리 깊어만가는 것인데
사농공상(士農工商) 계층을
권력의 잣대로 그어놓고
가난한 백성들을
함부로 부리던 그들은
지금, 다 어디로 갔는가?

조포(潮浦)나루에서
서러운 세월 속에
소리 없이 낡아가는 목선(木船)은
사공의 노 젓는 소리가
옛 임의 숨결로 그립다.

산 노을이 붉은 이 저녁
신륵사 천년의 종소리가
여강(驪江)물결에 티 없이 번지는데
오늘도
마암(馬巖)을 굽이돌며
한양(漢陽)을 향해
도도히 흘러가는
저문 강물소리가
나그네 가슴을 두드린다.

다시 고향을 그리는 시 한수를 감상해보자.

강나루
          정용진

노을 붉어
하루가 저무는
강나루.

계곡을 따라 흐르는 종소리
종소리를 따라 내리는 강물

천 만길 벼랑을
구르는 아픔보다
더한 진통의 밤은
침묵의 산을 낳고

청명한 공간에 삶을 부르면
티 없이 메아리 져
되돌아오는 언덕에서

온갖 번뇌로 젖어온
그 마음은

바람을 따라 흐르는 종소리
종소리를 따라 내리는 강물

가오는 세월도
맴돌아 씻기는 길 역에서면
님의 노래는
애달픈 물결

오늘도
머 언 꿈길을 밀어가는
강나루.
          <여주의 노래.2>

9월 22일(목) 맑음.
시인인 정용주 막내 동생과  함께 만나 지난밤에 회포를 풀고 원효대사가 창건한 신라 천년의 명찰 신륵사(神勒寺)를 찾았다.
국민관광지로 지정되어 있어서 경내가 잘 정비 되었고 대웅전인 극락보전은 천년만에 완전 해체되어 복원중에 있었다. 고려시대 나옹화상이 거처한 절로 여강의에 고색이 창연하게 서있는데 사명대사가 지팡이를 꼿았다는 천연 기념물 은행나무가 우람하게 서있고 벽탑(전탑)이 너무나 아름답다.
신륵사는 나옹선사께서 거하시다 입적하신 명찰로 유명하다.
선사의 명시를 여기에 옮겨 놓는다.

靑山兮要我 - 청산은 나를 보고  나옹선사 (懶翁禪師)靑山兮要我以無語 (청산혜요아이무어)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고蒼空兮要我以無垢 (창공혜요아이무구)  창공은 나를 보고 티 없이 살라하네 聊無愛而無憎兮    (료무애이무증혜)   사랑도 벗어놓고 미움도 벗어놓고如水如風而終我    (여수여풍이종아)   물같이 바람같이 살다가 가라하네 나옹선사 (懶翁禪師 1320 ~ 1376)
고려 말기의 고승으로 휘는 혜근(慧勤), 호는 나옹(懶翁), 본 이름은 원혜(元慧)이다. 속성은 아(牙)씨인데 고려 말 예주부(지금의 경북 영덕군 창수면 갈천리)에서출생 하였다. 그는 원나라 유학을 했고 인도의 고승 지공스님의 제자로서 인도불교를 한국불교로 승화시킨 역사적 인물로서 조선태조(朝鮮太祖)의 왕사였던 무학대사(無學大師)의 스승 이었다,
경기도 양주군 회암사 절터가 있는데 우리나라 최대의 사찰로 중창했고, 그의 출생지 부근 경북 영덕군 창수면 운서산(雲捿山) (해발520m)기슭에 장육 사(莊陸寺)를 창건 하고 오랫동안 머물며 참선했다고 전하며, 나옹선사가 입적한 뒤에는 많은 승려들이 모여들어 수도한 수도 사찰로 유명했다 한다. 회암사 터의 뒤쪽에는 나옹, 지공, 무학, 세분의 부도와 비석이 현존하고 있는데, 비석은 조선왕조 유학사상의 지주였던 목은 이색이 찬하여 지금도 비문이 남아있다.  장륙사(莊陸寺)에는 고려 공민왕 때 건물과 건물 내벽에 그의 초상화가 남아있다. 그가 입적한 남한강변 여주 신륵사에도 사리를 봉안한 부도와 비문이 남아 있다.  그의 가송집과 비문을 한글로 해석한 서적으로 나옹록이 있고 연구서도 있다. 이 시의 작자에 대해서는 나옹선사 이외에 중국 당나라의 寒山스님이라는 설과작자 미상이라는 설이 있다.
 
신륵사(神勒寺)
                    정용진

외길 향한
구도의 염원이
얼마나 깊고 멀기에

여강(驪江)은
봉미산(鳳尾山) 자락을
품에 안고
밤과 낮을
여울져 흐르는가.

대 소리 같은
신륵사 종소리가
차안(此岸)에 일어
피안(被岸)에 달하면

원효(元曉), 나옹(懶翁), 무학(舞鶴)스님의
설법이
중생의 낡고 빈 가슴을
자등명(自燈明)을 채우고
법등명(法燈明)으로 밝히네.

인연(人緣)이 다하면
만남과 헤어짐도
무상(無常)한
구름처럼
떠나가는 것.


오늘도
사바(娑婆)의 세계를 향해
멀어져 가는
저문 강물소리

여래(如來)의 마음 같은
신륵사의 종소리가
노을 속에 번지네.

이조 중종시 경기 광주에서 세종능을 여주로 천장하고 여주는 현에서 주로 승격하여 목사가 부임하였고 신륵사를 세종대왕의 은덕을 기린다는 뜻으로 크게 중창하고 보은사(報恩寺)로 개칭하였었다.
입구에는 솟을 삼문이 웅장하게 솟아 있는데 이문의 이름을 공모한다기에 내가 보은문이라고 하라고 하였더니 세종문이라고 명명하여 이곳방문객들이 다른 곳에 있는 세종대왕의 능을 찾는 일이 잦아 개명의 여론이 도마 위에   올라 있다고 한다. 주위에는 여주 박물관이 있고 여기에는 여주 출신의 문인 목은 이색, 백운거사 이규보, 묵사 류주현의 문 학비가 서있다.
이 문은 결국 신륵사 관광지로 개명 되었다.
신륵사 강 언덕 암반위에는 나옹화상이 입적한곳에 석탑이 서있고 그 옆에는 나옹화상의 호를 따서지은 정자 강월헌(江月軒)이 아름답게 세워져 있다.

신륵사 전탑(神勒寺 塼塔)

                            정용진
무슨 염원이 그리도 많아
수백 층의 전석(塼石)을
만년 암반위에
저리도 층층이 쌓아 올렸는가.

여강(驪江) 푸른 물결은
소리 높여 굽이치며
주야로 흐르건만
거친 바람소리에도
천년 함묵(緘黙)
전탑은 말이 없구나.

오늘도
신륵사 종소리는
세월 속에 낡아가고
맴도는 이들의 발걸음엔
시름이 가득한데
검은 이끼 가득 덮인
신륵사 전탑은 창연히 서있다.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노스님의 독경소리만
중생들의 가슴을 두드리네.

그 중간에 경주의 첨성대와 같은 재질의 전석으로 쌓은 신륵사의 보물 다층전탑이 세월의 흐름 속에 말없이 창연히 서있다.
이어 민족의 성현 한글창제의 명군 세종대왕의  능침 영릉(英(陵)과 병자호란으로 고통을 겪고 왕위에 오른 효종대왕의 녕능(寧陵)을 참배 하였다.
여주에는 서희장군의 묘와, 노론의 영수요 효종의 스승이었던 우암 송시열의 사당 대로사(大老詞)와 북벌계획의 명장 이완대장의 묘가 있다. 이는 사후에도 효종대왕께서 함께하기를 바라는 염원의 결정이었다.
여주는 정감록이나 택리지에서 명당으로 일컸는 곳이다.
소양강변의 춘천. 여강(남한강) 변의 여주. 낙동강변의 청도가 천하 길지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시인 묵객들이 많이 나왔고 왕비가 무려 9명이나 탄생하였다.
지금의 인구가 11만명인데 그 당시는 1천여 명이나 되었을 법하다.
여주가 배출한 태후와 왕비를 보면 고려 고종의 원비 순경태후(順敬)를 시작으로 이조 태종의비 원경왕후(元敬) (세종의 모친). 숙종의 계비 인현왕후(仁顯). 영조의 계비 정순왕후(貞純) 순조의비 순원 숙황후(純元). 헌종의비 효현왕후(孝顯). 철종의비 철인왕후(哲仁). 고종의비 명성황후(明成皇后). 순종의 비 명효황후(明孝).가 나셨다. 그리고 순조의 생모 현목수빈 박씨(顯穆). 고종의 어머니 부대부인(府大) 민씨가 탄생한 곳이다. 여주는 쌀도 좋아 명인이 많이 배출된 천하 명당 길지임이 분명하지 않은가.

영릉(英陵)에서
                         정용진
뜻이 높으시매
넓은 가슴에
어진 백성들의
애달픈 마음을 품으시고

문(文)이 깊으시매
나랏말씀(國之語音)을 창제하사
만백성들의
언로(言路)를 여셨네.

여기는
경기 땅. 여주 고을. 왕대마을
천년 노송들도
성덕을 기려
주야, 사시장철
고개 숙여 푸르른데

미물(微物)
멧새들도
천지 사방에서 몰려와
ㄱㄴㄷㄹ
ㅏㅑㅓㅕ
나랏 글을  익히네.

오늘도
임의 먼발치에서
미진(未盡)한 이 몸
훈민정음으로
시를 쓰는 기쁨이여. * 영릉은세종대왕 릉임.

대로사(大老祠)
□ 소재지 : 여주읍 하리 200-1□ 시 대 : 조선□ 지정사항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0호
1785년(정조 9) 영·녕릉을 참배하러 여주에 행차한 정조가, 숙종대의 대학자이자 정치가인 우암(尤菴)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을 제향하기 위해, 수행한 김양행(金亮行, ?~1779)에게 대로사(大老祠)를 짓게 하고 곧 바로 사액을 내렸다. 대로사라는 명칭은 정조가 친히 지은 것으로 “덕망이 높은 노인”이란 뜻이며 『맹자』에 그 용례가 보인다. 또 실록에는 정조가 신하들에게 말하기를 “대로(大老)란 두 글자는 다만 예부터 천하대로(天下大老)란 글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일찍이 선정(先正 : 송시열)의 문집 가운데에 뛰어난 구절을 모아 편집하면서 그 책의 제명(題名)을 『대로일고(大老逸稿)』라 하였으니, 대체로 이에서 따온 것이다.”라는 기사가 있어 대로사라는 명칭이 붙게 된 연유를 알 수 있다. 송시열은 살아생전 여주에 머물 때마다 대로사 자리에서 효종의 능인 녕릉을 바라보고 비통해 하였으며, 후진들에게는 북벌의 대의를 주장했다고 한다.
대로사는 여주 시내의 강변에 위치하고 있다. 지금의 대로사는 크게 추양재(秋陽齋)와 대로사비각, 대로서원 강당, 그리고 대로사 본채의 건물로 구성되어있다. 추양재는 관리실로 사용하기 위해 최근에 신축한 건물이며, 대로사비각에는 1787년(정조 11) 송시열이 태어난 뒤 세 번째 맞는 회갑년을 기념하여 평소 송시열을 존숭하던 정조가 친히 비문을 짓고 쓴 비석을 안치하였다. 장대한 비석 우측 상단에 “어필(御筆)”이라 표기되어 있다.
대로서원 강당은 팔작지붕에 정면 6칸 측면 4칸 규모의 건물이다. 처마 밑에는 정조대 명필중의 한사람인 도천(道川) 황운조(黃運祚, 1730~ ?) 가 휘호한 “대로서원(大老書院)” 현판이 걸려있다. 또 내부에는 경산(京山) 이한진(李漢鎭, 1732~ ?)의 전서로 된 “첨백당(瞻柏堂)”과 황운조가 행서로 활달하게 쓴 “강한루(江漢樓)” 편액이 있다.
이외에도 덕수(德水) 이기진(李箕鎭, 1687~1755)이 지은 「강당상량문(講堂上樑文)」과 1785년(정조 9)에 원임 이조판서 서유린(徐有隣, 1738~1802)이 짓고 쓴 「대로사상량문(大老祠上樑文)」도 게시되어있어 대로사의 오랜 역사를 대변해 주고 있다. 이어 강당 우측의 장린문(長隣門)을 들어서면 대로사 본채가 나타난다. 녕릉이 위치한 서쪽을 바라보게 세웠으며, 내부에는 송시열의 입상(立像)으로 된 복제본 초상화가 걸려있다. 사당의 정면에는 1785년(정조 9) 사액받을 때 정조의 명을 받들어 규장각제학(奎章閣提學) 김종수(金鍾秀, 1728~1799)가 써서 내려준 “대로사(大老祠)” 현판이 있다. 이후 경기지역 노론의 주요한 거점 역할을 하며 약 백여 년 간 유지되다가 1871년(고종 8) 흥선대원군이 전국의 서원과 사우를 크게 훼철할 때 사라질 운명에 처했으나 다행히 그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그러나 명칭만은 강한사(江漢祠)로 개명하였는데, 이때 원임대제학(原任大提學) 박규수(朴珪壽, 1807~1876)가 왕명을 받들어 쓴 “강한사” 현판이 현재도 사당의 뒤쪽처마에 달려있다. ‘강한(江漢)’은 중국 양자강과 한수(漢水)의 인근지역을 일컫는 것으로, 강한사가 위치한 여주가 이들 지방처럼 풍광이 아름답다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송시열은 효종대왕이 북벌을 꾀할 당시 북벌을 논의하던 가장 신임 받는 신하였다. 함께 북벌을 논의하던 이완대장묘가 효종대왕을 뵈옵듯 효종대왕릉을 향해 위치해 있듯이, 이곳 대로사 서원이 효종대왕능릉을 향하여 바라보고 있다. 이완대장 묘도 이와 같이 서향이다.

여주는 본래가 문향인지라 교리의 향교. 여주의 (대로사.강한사) 세조시 건립된 가남 본도리 삼우당 문익점 선생의 매산서원. 1686년 숙종의 사액을 받고 설립된 고산 이존오. 문충복. 희봉 문광규의 고산서원. 등의 귀한 서원들이 많이 산재하여 있고, 특히 대로사(강한사)는 대원군 당시 회철되지 아니한 명 서원의 하나다. 고려조의 서희장군 묘. 북벌계획의 명장 이완대장의 묘등 숱한  명인들이 잠들어 있고 성역화 된 면성황후 생가. 신라 파사왕이 고려에 침공을 막으려 쌓은 이포 부근의 파사산성, 근래에 목아 박천수 선생이 설립한 목아박물관 도자기의 명소 수봉 도자기 박물관. 여주 박물관. 잠사 박물관. 사진 박물관. 여선박물관 등이 산재하여 있고 순복음 진리교회 본부도 있다.
더구나 한국 근대사의 권세 명문가 안동김씨. 풍양조,에 이어 .세도가인 여흥민씨의 본향이고 여흥 이씨의 본관이 기도 하다.
옜부터 강산이 수려하고 명산대천인 지방에는 8경이 있었다. 여주도 예외는 아니다. 한국에는 관동팔경. 단양팔경 등이 그 대표적이다.  여주 8경은 다음과 같다.

여주(驪州八景)

신륵종성(神勒鐘聲) 신륵사에서 강산에 울려 퍼지는 종소리
마암어등(馬巖漁燈) 마암의 저녁 고잡이의 은은한 등불
학동모연(鶴洞暮煉) 강건너 학동의 저녁연기 모습(도자기. 혹은 밥 짓는)
연탄귀범(燕灘歸帆) 강여울에 돛단배가 귀가하는 모슴
양도낙안(洋島落雁) 양섬에 기러기떼 내리는 모습
팔수장림(八樹長林) 오학리 강변에 울창한 숲이 강물에 비치는 전경
이릉두견(二陵杜鵑) 영릉과 녕능에서 두견새 우는소리
파사과우(波娑過雨) 파사성에 여름철 소나기 스치는 광경
  
* 여기서 필자의 의견은 덧붙인다. 정확한지는 모르겠으나 내가 고교시절 동국여지승랍을 보니 신륵모종은 신륵종성으로 읽은 기억이 생각난다  신륵과 학동에 모종이 서로 겹치기 때문이다. 나는 .신륵종성이 맏다고 생각하다.

그후 경기 금강산이라 부르는 양평 용문산을 찾아 관광하고 옛 친구인 이정기 내외와 산채비빔밥으로 식사를 나누었다. 용문사는 신라가 망하고 마지막 마의태자가 세상을 하직하고 금강산 가는 길에 자신의 지팡이를 꼿은 것이라는 공손수의 귀한 벼슬을 한 대형 은행나무가 버티고 서있다.
흐르는 물이 맑아 어느 누가 세심천(洗心川)이라 바위에 새겨 놓았고 그 물소리가 요란하다. 아름다운 산경이었다. 여기서는 해마다 봄이면 산나물 축또한 여주 북내면 상교리에는 고달사)高達寺. 고달원이라) 양주 도봉원과 함께 고려 왕조의 비호를 받는 3대 사찰로 유명하다고 전한다.

용문사(龍門寺)
                   정용진
기(氣)가 솟아
산이 되고
한(恨)이 서려
바위가 되는 가

섬섬옥수(纖纖玉手)
낙랑공주의 손길을
뿌리치고
마의(麻衣)를 두른 채
금강산 가는 길에 꽂았다는
태자의 지팡이가
저리도 정정히 버텨
천년세월 황금빛인데

옛 임이 그리워
백발노안(白髮老顔)
정인(情人)의 손을 잡고
산길을 오르는
그대의 마음은

바람인가
구름인가
달빛인가

연지볼  타는 단풍으로
물든 산 노을.

그리워라
앳된 얼굴

꿈에라도
자로자로 드소서

이 밤도
가슴을 파고드는
그리운 물결소리.

9월 23일(금)
  충북 진천 맹동을 찾아 13대 선조의 묘가 있는 선산에 성묘하고, 친척들을 만난 후 동생 정용주 시인이 사는 원주 치악산 금대계곡 화전민 집을 찾았다. 가정을 버리고 화전민이 버리고 떠난 깊은 계곡에서 수도승처럼 홀로 사는 막내 동생의 거처를 확인하기 위하여 오르는 산길은 험하기도 하였다.
홍수로 인하여 징검다리가 다 떠내려갔고 다리도 불편한 아내는 발을 벗고 머루 다래 넝쿨을 잡으며 2 킬로메터를 힘겹게 올랐다. 징검다리를 세 번이나 건너야하는 가파른 산길이었다. 혈육이나 집안을 사랑하는 마음이 없었다면 절대로 불가능한 산행 이었다.
운반 수단은 알미니움 지개 하나. 이를 등에 지고 식량과 일상 용품들을 져 나른다. 이 사람은 무슨 운명으로 이런 고행을 사서하나 싶어 마음이 찡하였다. 저널리즘의 보도로 등산객이나 시인들이 더러 찾아와 쌀, 간장, 된장, 참기름, 라면 등을 전해준다고 하며 더러는 고기 양념을 하여 가지고와서 식사와 함께 대접도 해주고 간다고 한다. 이웃이라고는 퍽 멀리 염소를 키우며 사는 노 부부 뿐이라고 하였다.
주위에는 낡은 화전민 집과  야생  벌통 몇 개, 물은 산골짜기에서 흘러 내려오는 물줄기를 호수로 끌어다  마시고 쓰고 있었다.

산머루
           정용진
꽃사슴도
입 맞추는
숲길 사이로
조각하늘이 열리면

그리움 못 견뎌
고목 등걸을 휘감던
산머루가 익는다.

바람이
세월로 흐르고
세월이
바람으로 흐르는
외진 산록.

길 찾는
너의 옷 빛도
주홍으로 물들고

머루 향에 취한
이 저녁
산 노을이 붉다.  

*이 시는 박환철 작곡가에 의하여 가곡으로 작곡 되었음.

방에는 시인답게 책들이 가지런히 정돈 되어 있고 많은 음악 씨디가 진열되어 있었다. 이런 심산유곡에 전기와 전화가  들어 온 것이 신기롭다.
시인 동생은 힘겹게 찾아간 우리 내외에게 된장찌개와 찬 이 부실한 저녁상을 드리며 멋쩍게 웃는다. 머리는 산발을 하고 어느덧 얼굴에는 주름이 잡혀 있다. 김삿갓 시인이 천하를 방랑하던 중에 가난한 산골 친구를 찾았는데 소반에 멀건 죽 한 그릇을 받고 김삿갓 시인은 “네다리 소나무 소반에 내어놓은 죽 한 그릇에/ 하늘빛과 구름 그림자가 떠있도다./ 그러나 주인은 미안하다 말하지 말라,/나는/ 물에 비치는 청산을 사랑하노라/하였다  그 생각이 내게 퍼뜩 떠올랐다.

단풍(丹楓)
        정용진
지금
줄리안 계곡에는
고목 가지마다
옮겨 붙는
불빛이 한창이다.

잎들은
그 영혼이
얼마나 투명하기에

한밤중
별들이 쏟아 놓은
눈빛만으로도
연정의
타는 입술로 저리 붉었는가.

순간을 살아도
영원으로 물드는
나무들의
침묵의 언어들...

서릿발이
영그는 하늘
땅거미가 내리는
어스름

다리를 절고 가는 여인의
발자국 위로
추억이
소리 없이 쌓이고 있다.

*줄리안은 샌디에고 팔로마산자락 단풍이 아름다운 사과동산.

산곡에서 잠이 들었는데 간간이 산짐승 울음소리가 들리고 산밤 알이 지붕을 두드리는 소리가 들려 단잠을 몇 번 깨기도 하였다.
우리의 일정이 있어 이른 아침 서둘러 친구가 빌려준 차를 타고 동생 잘 있어. 인사를 나누고 우리 내외는 중앙고속도로. 영동 고속도로를 손수 운전하여 여주 호텔로 돌아왔다. 한 핏줄을 나눈 형제라도 제 갈 길은 서로 다르더라. 마음이 퍽 아팠다. 건강을 빌 뿐이다.
산을 내려오는데 가을 단풍이 홍엽으로 물들이기 시작 하였다.

산울림
             정용진
산에 올라
너를 부르니
산에서 살자 한다.

계곡을 내려와
너를 찾으니

초생 달로
못 속에 잠겨 있는
앳된 얼굴.

다시 그리워
너를 부르니
산에서 살자한다.

산에 올라
너를 부르니
산에서 살자 한다.

계곡을 흐르는
산들바람에

피어나는
꽃송이 송이들의
짙은 향기

다시 그리워
너를 부르니
산에서 살자 한다.

* 권길상. 박환철 선생에 의하여 가곡으로 작곡되었음.

깊은 산중을 차로 헐떡이며 오르다 영원사 입구 나무아미타불(阿彌陀佛)이라 새겨진 돌 비석 앞에서 부터는 온통 길이란 게 없고 장마가 저서 징검다리마저 끊긴 험한 산길을 다리도 불편한 아내와 함께 머루 다래 덩굴을 헤치면서 뒤뚱 뒤뚱 10여리 오르니 움막집이 나타났던 기억이 미국 집으로 돌아와서도 자꾸 떠오른다. 과연 정이란 게 무엇인지?

치악산(雉岳山)
          정용
산이 좋아
산을 오르네.

그리움에 취하여
오르는 산길
그 마음 못 잊어
달도 따라 나서고

산심(山心)을 싣고
세렴폭포 뛰어내려 
달려오는 시냇물도
나를 반겨 맞는데

흐르다 쉬어가는 
맑은 소(沼)에는
구룡사(龜龍寺) 선경(禪景)이
병풍을 두르고
그대 마음이
애틋이 고여 있네.

세속의 번뇌를 
아득히 잊고
치악산 비로봉을
오르는 산행

간밤 찬 서리에
타는 연정(戀情)으로
잎마다 저리 붉어
옷깃에 젖어드네.

심산에 홀로 사는 정용주 시인은 당호를 취월당(醉月堂)이라 스스로 정하고 심산에 떠오르는 달은 거저 보며, 몽유거처(夢遊去處) 호접지유 일장춘몽(胡蹀之遊 一場春夢)이라고 스스로의 마음을 달래고 있는 고독한 시인임을 말해주고 있다. 나의 동생이라도 애처롭고 고고하다는 마음이 들었다. 이는 마치 열반에 드신 법정스님의 삶을 닮았다고나할까. 산을 오르는 행객들의 보살핌이 각별 한듯하다. 금대계곡 산중에는 영원사라는 사찰이 있다.

정용주 시인이 사는
치악산 금대계곡 취월당(醉月堂)에서
                                  정용진

낮에는
빈 하늘에 흘러가는
구름에 마음을 싣고
밤에는
천공에 떠오른 달빛에 취하여
수림 사이로 흐르는 물소리로
잠을 청하네.

산은 첩첩
물은 굽이굽이
화전민이  버리고 떠난 빈집에서
잠이 오면 자고
배고프면 토종벌집을 뒤지고
나물 캐먹고 물마시며 살려하오.

인적이 드무니
오가는 길도 필요 없고
노래야 산새들이 불러주면 되지요.

새벽잠은
지붕위에 툭툭 떨어지는
산 밤알이 깨워주고
한밤 문풍지 우는소리
자장가로 들으려하오.

천산에 눈이 덮여
산길이 끊겼으니
오늘 밤은
하현(下弦) 달과 대작(對酌)하며
시나 한 수 읊으려하오.
나의 안부는 낙엽에 적어
바람에 띄우오리다.        * 정용주 시인은 나의 막내 아우임.
9월 24일(토) 맑음
아침에 여주로 돌아와 고향 친구들과 여강변에서 여주명물 쏘가리 매운탕에 반주를 들며 옛 벗들과 우정을 함께 나누었다. 아내는  고향여자 친구들과 여주 온천에서 피로를 풀었다.

9월 25일(일) 맑음.
국제 면허증을 지니고 운전을 하고 아내와 친구 신홍은 내외와 함께 안동 하회마을, 도산서원, 영주 부석사를 관광하였다. 배흘림 기둥의 목조건물의 진수 무량수전과 도산십이곡을 지으며 유학을 강론하던 퇴계 이황의 모습이 그려진다. 도산서원은 아름다운 산곡에 잘 정돈되어 있었고 주위 풍광이 빼어났다. 하회 마을은 민속촌과 같이 옛 모습과 오늘의 모습이 함께 어울려 있었고 여기에는 멀리서 찾아왔던 영국 엘리자베스 여왕의 기념사진이 걸려있었다.
퇴계 이황(청량산인)이 안동 도산서원에서 말년에 도산 12곡을 지어 부르며 후진을 양성한 것과 같이 율곡 이이는 황해도 구월산에서 고산구곡가를 지어 불렀고, 이는 이이 율곡이 고산구곡가와 쌍벽을 이루며, 송강 정철의 훈민가 사미, 속미인곡 그리고 전남 강진 유배지에서 오우가, 산중신곡, 어부사시사를 지어 부른 고산 윤선도와 더불어 우리나라 연작시, 가사문학의 대작들이다

안동(安東) 도산서원(陶山書院)에서
                                      정용진(시인)

앞은
낙동강이 굽이치며  휘감아 돌아 흐르고
뒤는
고고한 청산이 병풍을 둘렀구나.

명종 16년(1561) 성리학의 대가 이황선생은
안동에 도산서원(陶(山書院)을 세우고
후진을 양성하니 그 무리가 구름떼 같았고
농운정사(隴雲精舍)를 지어 유생들을 기숙시키니
주야로 글 읽는 소리가 산천에 울리고
계곡을 흐르는 물소리 같았으리라.

그의 덕망에 심취되어 학문을 닦은
숱한 제자들이 수없이 탄생하니
정조(正祖)가 이에 감동되어
당대의 명필 한석봉(韓石峯)에 명하여
도산서원(陶山書院)이란 사액(賜額)을 내린지
2여백년 세월 속에서도 고색이 창연하다.

“靑山元不動 白雲自去來”
‘청산은 원래 말이 없고 흰 구름만 오갈 뿐이다.’
대학자는 고요히 앉아 있어도 많은 제자들이
그의 학문과 덕망을 흠모하여
구름과 같이 찾아 든다는
선인의 말씀이 가슴을 두드린다.
천추만세에 길이 길이 고고한
대학지도 명명덕(大學之道 明明德)여!

평양을 방문 하였을 때 대동강변에 평양8경의 하나인 연광정(練光亭)이란 한석봉의 현판을 본 일이 있는데 도산서원(陶山書院)이라 쓴 현판이 한석봉의 글씨라고 하였다.
안동은 안동김씨(안동 권씨의 관향이기도 함)의 본향으로 풍양조씨, 여흥민씨와 더불어 우리 민족 근대사에 3대 세도정치의 본산이다.
이곳은 내륙지방이라 생선이 귀하여 포항에서 고등어를 실어와 간을 한 안동 간 고등어가 유명하고 명물 안동 닭찜에 안동소주를 곁들여 점심을 나누니 여행이 한결 부드럽고 가벼운 심정 이었다.
이황의 도산 12곡은 율곡의 시가 고산 구곡가와 더불어 너무나 아름다워 여기에 옮겨 놓는다.
 
陶山12曲(前六曲,其一)/ 퇴계 이황---○ 이런들 어떠하며 ○ ---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료
초야(草野) 우생(愚生) 이 이러타 어떠하료
하물며 천석(泉石) 고황(膏肓)을 고쳐 무엇하료  육당,청구〉               - 이 황 -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전육곡(前六曲)
                    〔낱말풀이〕

          ◎어떠하료 -어떻겠는가?
          ◎초야우생 -시골에 묻혀 사는 어리석은 사람.
          ◎천 석 -천석은 자연의 경치를 뜻한다
          ◎고 황 -한방의 술어로서 불치의병. 자연을 좋아하는 못고치는 병

          〔주제〕자연의 묻힌 지사의 참뜻

            해 설

이렇게 한들 어떻고 저렇게 한들 어떠하냐? 시골에 파묻혀서 세상의 공명이나 시비에 아무런 흥미도 없이 살아가는 어리석은 사람이니 마음대로 한들 어떻겠느냐? 더구나 대자연의 아름다움만을 고질처럼 찾아 마지않는 그의 성벽을 새삼스레 고쳐 본들 무엇에 쓰겠는가?

          〔지은이〕

이황(李滉):호는 퇴계(退溪) 경북 온계(溫溪)에서 태어남. 연산군 7년- 선조3년(1501 -1570) 22세(중종18년)에 성균관에 입학 벼슬이 우찬성(右贊成)에 이르렀다. 이조 중기 주자학(朱子學)을 집대성한 학자로서 이기(理氣)의 이원론(二元論)을 주장 하였다. 고향인 안동에서 도산서당(陶山書堂)을 세워 후진 양성과 학문 연구에 전심하였다. 저서로는 퇴계 전서(退溪全書)・시조작품 도산 12곡이 있다.

陶山12曲(前六曲,其二) ---○ 연하로 집을 삼고○ ---

연하(烟霞)로 집을 삼고 풍월(風月)로 벗을 삼아
태평성대(太平聖代)에 병으로 늙어가네       
이 중에 바라는 일은 허물이나 없고저,  육당,청구〉               - 이 황 -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전육곡(前六曲)

                     〔낱말풀이〕

          ◎연하 -연기와 놀, 자연의 풍치
          ◎풍월 -맑은 바람과 밝은 달, 자연의 아름다움
          ◎가네 -가는구나
          ◎태평성대 - 어진 임금이 다스리는 살기 좋은 시대
          ◎없고져 - 없게 하고 싶다. 없었으면 좋겠다.

          〔주제〕태평성대의 자가 수련

            해 설

뽀오얗고 다사롭게 감싸주는 연기가 놀의 멋진 자연의 풍치로 집을 삼고 맑은 바람, 밝은 달을 벗으로 삼아 어진 임금을 만난 좋은 시대에 하는 일 없이 그저 노병(老病)으로 늙어만 가는구나,

살기 좋은 시대라서 무엇 하나 한스러운 것이 없으나 이렇게 잘 지낼수록 잘못을 저지르는 일이 없도록 해야겠다.

陶山12曲(前六曲,其三) ---○ 순풍이 죽다 하니○ ---

순풍(淳風)이 죽다 하니 진실(眞實)로 거짓말이
인성(人性)이어지다 하니 진실로 옳은 말이    
천하에 허다(許多) 영재(英材)를 속여 말씀할까 〈육당,청구〉               - 이 황 -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전육곡(前六曲)

             〔낱말풀이〕

          ◎순풍-예로부터 내려오는 순박한 풍속
          ◎거짓말이 -거짓말이로다                 
          ◎진실로 - 참으로              
          ◎인 성 -사람이 타고난 성품.
          ◎천 하- 이 세상
          ◎허다영재 -뛰어난 많은 인재
          ◎속여 말씀할까 -속이어 말하겠는가?

          〔주제〕착한 성품의 인성과 그 도리

            해 설

예로부터 전해오는 순박한 풍속이 다 사라져 없어 졌다고 하는 것은 참으로 거짓말이다. 그리고 인간이 타고난 성품이 본래 착한 것이라 함은 참으로 옳은 말이다.
  그러므로 모든 사람들이 타고난 착한 성품대로 만 살아간다면 우리도 옛과 같이 순박한 풍속을 보존하고 아름다운 도의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순풍이 죽었다는 말로서 이 세상에 많은 슬기로운 사람들을 어찌 속일 수 가 있겠느냐?

陶山12曲(前 七곡  其(기)三(삼) ---○ 유란이 재곡 하니○ ---
유란(幽蘭)이 재곡(在谷)하니 자연이 듣기 좋의
백운(白雲)이 재산(在山)하니 자연이 보기 좋의
이 중에 피미일인(彼美一人)을 더욱 잊지 못하네  〈육당,청구〉               - 이 황 -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전육곡(前六曲)

           〔낱말풀이〕

          ◎유란-난초, 그윽하여 향기를 풍기는 난초.
          ◎재곡-산골짜기에 피었으니.
          ◎듣기 좋의- 듣기 좋구나
          ◎재산하니-산봉우리에 걸려 있으니
          ◎피미일인- 저 아름다운 한사람. 임금을 가리킨 뜻.
          ◎백운 - 흰 구름

          〔주제〕자연에 몰입(沒入)한 산림파(山林派)의 연군의 뜻

            해 설

그윽한 냄새를 풍기는 난초가 골짜기에 있으니 자연히 맡기가 좋은 이 흰 구름이 산 위에 있으니 자연히 보기가 좋네. 이 아름다운 자연 속에 묻혀 살면서도 저 단 한분 고운 이(임금)를 잊지 못한다.?

陶山12曲(前六曲,其五) ---○ 산전에 유대하고 ○ ---

산전에 유대하고 대하(臺下)에 유수(流水)로다
떼 많은 갈매기는 오명 가명 하거든      
어떻다 교교백구(皎皎白駒)는 멀리 마음 하는고  〈육당,청구〉               - 이 황 -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전육곡(前六曲)

           〔낱말풀이〕

          ◎산전-산앞
          ◎유대-대는 높고 넓은 터. 낚시터. 대가 있다는 말
          ◎유수로다- 물이 흐르고 있도다
          ◎오명 가명- 오락가락.
          ◎어떻다- 어째서, 그럴까.
          ◎교교백구 -현인이나 승자가 타는 새하얀 망아지
          ◎마음 하는고-마음을 두느냐,

          〔주제〕새로운 세계의 바램

            해 설

산 앞에는 낚시터가 있고 낚시터 밑으로는 푸른 물이 흐르고 있구나. 갈매기들은 무리를 지어 오락가락 하는데 어찌하여 저 귀하고 좋은 흰 망아지는 멀리 뛰어갈 생각을 하는 것일까. 아마도 그 망아지는 큰 뜻을 품었나 보구나.

陶山12曲(前六曲,其六) ---○ 춘풍에 화만산 하고 ○ ---

춘풍에 화만산 하고 추야에 월만대(月滿臺)라
사시가흥(四時佳興)이 사람과 한가지라  
하물며 어약연비 운영천광이야 어늬 그지 있으랴 .   육당,청구〉               - 이 황 -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전육곡(前六曲)

           〔낱말풀이〕

          ◎춘풍- 봄바람
          ◎화만산 하고- 꽃이 산에 가득 피어있고.
          ◎추야-가을 밤
          ◎월만대- 달빛이 누대에 가득하구나.
          ◎사시가흥-춘하추동 네 계절의 아름다운 흥취
          ◎어약연비-물에서 뛰노는 고기와 하늘을 나는 소리개
          ◎운영천광-구름의 그림자와 밝은 햇빛
          ◎어늬- 어찌
          ◎그지 있으랴 -한도가 있으랴
 
          〔주제〕대자연의 웅대함에 도취
 
            해 설

봄바람에 꽃은 산에 가득 피어 있고 가을밤에는 달빛이 누대에 가득히 비치니 춘하추동 사계절이 각기 지닌 멋은 사람의 흥겨워함과도 같구나. 더욱이나 고기는 물에서 뛰놀고 소리개는 하늘을 날으니 흘러가는 구름은 그림자를 남기고 밝은 햇빛은 온 누리를 비추는 저 대자연의 아름다운 조화에 어찌 한도가 있을 수 있겠느냐?

陶山12曲(後六曲,其一) ---○ 천운대 돌아 들어○ ---
 
 
천운대 돌아 들어 완락재(玩樂齋) 소쇄한데
만권생애(萬卷生涯)로 낙사(樂事)ㅣ 무궁하여라    
이 중에 왕래풍류(往來風流)를 일러 무엇 할꼬     〈육당,청구〉               - 이 황 -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후육곡(後六曲)

           〔낱말풀이〕

          ◎천운대-도산서원 언저리에 있는 경치 좋은곳.
                   천광운영대(天光雲影臺)
          ◎완락재-도산서원에 있는 서재. 이황선생이 연구하던 서재
          ◎소쇄한데-말쑥한데, 맑고 깨끗한데   
          ◎만권생애 - 독서를 일과로 하는 생애
          ◎낙사-즐거운 일
          ◎무궁하여라-무궁무진하구나
          ◎왕래풍류-걸어 다니는 즐거움, 산책하는 즐거움

           〔주제〕무아 경지의 독서 속에서 산책의 즐거움

            해 설

천운대를 돌아서 들어가니 완락재가 아담하고 깨끗하게 보인다. 거기서 만 권이나 되는 많은 책을 벗 삼아 한 평생을 보내는 즐거움이란 무궁무진하다. 이렇게 지내면서 때때로 바깥을 거니는 재미를 말한 들 무엇하랴? 형언할 수 없을 이 만큼 즐거운 것이다.  

陶山12曲(後六曲,其二) ---○ 뇌정이 파산하여도 ○ ---

 뇌정이 파산하여도 농자 는 못듣나니
백일이 중천 하여도 고자는 못 보나니  
우리는 이목총명 남자(男子)로 농고 같지 말으리   〈육당,청구〉               - 이 황 -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후육곡(後六曲)

           〔낱말풀이〕

          ◎뇌정-벼락 즉 우레 소리
          ◎파산-산을 무너뜨려도.
          ◎농자-귀머거리  
          ◎백일-밝은해
          ◎중천하여도-밝은 해, 하늘 한복판에 떠도
          ◎고자-소경, 앞못보는 사람
          ◎이목총명-귀와 눈이 밝은 것
          ◎농고-귀머거리와 소경
          ◎말으리-말리라. 않으리라

           〔주제〕참된 인간의 도리

             해 설

우뢰 소리가 산을 무너뜨리도록 심하더라도 귀머거리는 듣지를 못하며 밝은 해가 떠서 대낮같이 되어도 눈이 먼 사람은 보지를 못함이니 그러나 우리는 눈도 밝고 귀도 밝으니 귀머거리와 소경 같지는 않으리라

陶山12曲(後六曲,其三) ---○고인도 날 못보고 ○ -- -
 
고인(古人)도 날 못보고 나도 고인(古人) 못뵈
고인을 못 봐도 예던 길 앞에 있네       
예던길 앞에 있거든 아니 예고 어쩔꼬       〈육당,청구〉               - 이 황 -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후육곡(後六曲)

           〔낱말풀이〕

          ◎고인-옛사람. 옛 적에 휼륭했던 어른들
          ◎못뵈-못 보도다                         .
          ◎예던길-행하던 길, 실천하던 도리
          ◎있거든-있음으로의 옛말, 있으매
          ◎어쩔꼬-어찌할 것인가의 준말
 
          〔주제〕옛 성현들의 길을 본 받고자 하는 마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허경옥의 문학서재가 개설 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3.09.17 533
공지 '차덕선의 문학서재'가 개설 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2.05.21 632
공지 김준철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2] 미주문협 2021.03.18 40483
공지 정종환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1.03.17 15883
공지 민유자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1.02.24 909
공지 박하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21.02.24 52411
공지 ZOOM 줌 사용법 미주문협 2021.01.04 803
공지 줌 사용법 초간단 메뉴얼 미주문협 2021.01.04 814
공지 안규복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9.09.10 929
공지 박복수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9.06.26 1361
공지 김원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9.02.26 1017
공지 하정아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3] 미주문협 2019.01.21 1279
공지 안서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3] 미주문협 2019.01.21 1042
공지 '전희진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9.01.09 1110
공지 김하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8.09.26 1032
공지 신현숙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8.09.26 1019
공지 최은희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8.06.16 1199
공지 '이신우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8.04.27 961
공지 이효섭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12.14 1231
공지 이만구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7.12.14 1844
공지 양상훈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12.04 1056
공지 라만섭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12.04 1001
공지 김태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3] 미주문협 2017.08.01 1208
공지 '조형숙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1] 미주문협 2017.07.07 1165
공지 '조춘자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3] 미주문협 2017.07.07 1136
공지 '이일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05.08 1093
공지 '이산해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04.10 1100
공지 강화식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 2017.02.24 1127
공지 최선호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6.11.30 1634
공지 강신용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6.07.21 1071
공지 정문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6.06.23 1052
공지 강창오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6.04.04 1203
공지 '이원택의 문학서재'가 개설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9.08 1214
공지 '장선영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9.08 1070
공지 '강성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8.07 1110
공지 '김영수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8.07 1046
공지 '박무일의 문학서재'가 개설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21 1093
공지 '임혜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8 1063
공지 '백남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8 1016
공지 '최익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45
공지 '오영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36
공지 '이기윤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922
공지 '윤금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70
공지 '구자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58
공지 '신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973
공지 '박정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05
공지 '박경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18
공지 '김혜령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56
공지 '조정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33
공지 '김사빈의 문학서재' 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24
공지 '배송이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43
공지 '지희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6 1042
공지 '정어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5 1024
공지 '권태성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5 1051
공지 '김동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5 1113
공지 '서용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5 1086
공지 '이상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060
공지 '백선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055
공지 '최향미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072
공지 '김인자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069
공지 '정해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4 1062
공지 '이영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3 1133
공지 '안선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3 1007
공지 '박효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1 1038
공지 '장정자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1 1027
공지 '미미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1 1026
공지 '최영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0 1036
공지 '이성열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0 995
공지 '정찬열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10 1015
공지 '장효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9 1066
공지 '손용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9 1068
공지 '오연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6 1127
공지 '이윤홍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5 1073
공지 '차신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5 1015
공지 '윤혜석의 문학서재'가 개설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7.01 1077
공지 '김명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30 1071
공지 '고대진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30 1080
공지 '최상준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30 1057
공지 '전지은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27 1033
공지 '박봉진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27 1147
공지 '홍인숙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27 1193
공지 '기영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20 1056
공지 '최문항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15 1039
공지 '김현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14 1067
공지 '연규호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12 1090
공지 '홍영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12 17022
공지 '이용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8 1030
공지 '김태수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7 1067
공지 '김수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5 1096
공지 '김영문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5 1045
공지 '김희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4 1055
공지 '박인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5.04 1060
공지 '노기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30 1078
공지 '김학천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30 1092
공지 '이용우의 문학서재'가 개설 이전 완료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30 1061
공지 '최미자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9 1042
공지 '김영강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9 1111
공지 '조옥동, 조만연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8 1503
공지 '성민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7 1069
공지 '전상미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7 1054
공지 '한길수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7 1076
공지 '박영숙영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4 1125
공지 '채영선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3 1350
공지 '강학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3 1084
공지 '정국희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22 1085
공지 '성영라의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2] 미주문협관리자 2015.04.17 1127
공지 '안경라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17 1190
공지 '고현혜(타냐고)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4.14 36320
공지 "김영교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5 1121
공지 "석정희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4 1186
공지 "장태숙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3 1083
공지 "이월란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4]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2 1150
공지 '문인귀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1 22523
공지 '정용진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20 1085
공지 '이주희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19 1215
공지 "유봉희 문학서재"가 이전 완료 되었습니다. 미주문협관리자 2015.03.18 1206
1941 볼리비아 이 상옥 2007.12.28 18035
1940 한국의 슈바이쳐 선우경식 원장님의 명복을 빕니다 존경 2008.04.19 17483
1939 꽃의 시(詩)학(4) 꽃은 아픔아다./秀峯 鄭用眞/ 증보편 정용진 2012.09.23 8246
1938 동요와 민요/샌디에고 문장교실 송년 강론 자료/정용진 시인/ 정용진 2012.12.04 2882
1937 자유게시판 관리 규정 미문이 2004.08.22 2185
1936 대화 없는 대화 석류나무 2007.03.22 1816
1935 재산 양도 에 대하여 석류나무 2007.04.02 1628
1934 최락완 시인 동씨침법 특별강의 한길수 2010.11.10 1541
1933 秀峯 明心寶鑑/정용진 시인 정용진 2013.04.22 1530
1932 秀峯 明心寶鑑/증보편/秀峯 鄭用眞/(2) 정용진 2012.06.21 1517
1931 사랑의 시학(詩學) 정용진 2008.07.20 1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