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석

2004.07.24 03:06

관리자 조회 수:1942



白石 시인 연보



1912년 7월1일 평안북도 정주군 갈산면 익성동에서 부친 백시박 (白時璞)과 모친 이봉우(李鳳宇) 씨의 장남으로 태어남. 본명은 기행(夔行)으로 알려져 있지만 기연(基衍)으로도 불렸다. 필명은 백석(白石, 白奭)인데 주로 白石으로 활동했다. 아버지 백용삼은 한국 사진계의 초기적인 인물로<조선일보>의 사진반장을 지냈으나, 퇴임 후에는 귀향하여 정주에서 하숙을 침.
☞ 시와사회 / 건국대학교출판부 자료참조

1918년(7세) 오산 소학교 입학.


1924년(13세) 오산 학교 입학. 동문들의 회고에 의하면 재학시절 오산 학교의 선배 시인인 김소월을 매우 선망했었고, 문학과 불교에 깊은 관심을 가짐.


1929년(18세) 오산 고등보통학교(오산학교의 바뀐이름)를 졸업.


1930년(19세) 조선일보의 작품 공모에 단편 소설 [그 모(母)와 아들]을 응모,  당선하여 소설가로서 문단에 데뷔함. 이해 3월에 조선일보사 후원 장학생 선발에 뽑혀 일본으로 유학. 토오쿄오의 아오야마(靑山) 학원 영어 사범과에 입학하여 영문학을 전공함.이때 함께 선발된 인물은 후에 백석과 자주 교류했으며,수필을 쓰던 정근양이었다(의과대학생). 당시 일본의 민중시인 이시카와 타쿠보쿠(石川啄木)의 문학에 심취하여 자신의 필명을 '이시카와(石川)'에서 따와 지음


1934년(23세) 아오야마학원 졸업. 귀국 후 조선일보사에 입사하면서 본격적인 서울 생활을 시작함. 출판부 일을 보면서 계열잡지인 <여성(女性)>지의 편집을 맡음.  조선일보를 통해 외국문학 작품과 논문을 번역하여 실음.

1935년(24세) 8월31일 시 [정주성(定州城)]을 조선일보에 발표하면서 이후 시작품에 더욱 정진함. <조광(朝光)>지 편집부 일을 봄.

1935년(24세) 6월의 어느날, 친구 허준의 결혼식 피로연에서 평생 구원의 여인으로 남을 '란(蘭)'이라는 여인을 만나게 된다. 당시 이화고 학생이었던 통영 출신의 란은 백석의 마음을 온통 휘어잡는다.

1936년(25세) 1월 20일 시집 {사슴}을 선광인쇄주식회사에서 100부 한정판으로  발간. 1월29일 서울 태서관(太西館)에서 출판기념회를 가짐. 이 출판기념회의 발기인은 안석영, 함대훈, 홍기문, 김규택, 이원조, 이갑섭, 문동표, 김해균, 신현중, 허준, 김기림 등 11인임. 같은 해 4월에 조선일보사를 사직하고 함경남도 함흥 영생고보의 영어 교사로 옮겨 감. 이떄의 생활 소감을 수필 [가재미, 나귀] (동아일보)에 발표함. 이 무렵, 함흥에 와 있던 조선 권번 출신의 기생 김진향을 만나서 사랑에 빠짐. 이때 김진향에게 '자야(子夜)'라는 아호를 지어줌.


1937년(26세) 영생고보 교사로 재직하면서 함흥시의 러시아인이 경영하는 상점에 자주 나가 러시아말을 배움. 고향에서 결혼하라는 독촉을 받고 혼례식을 했으나 초례만 치른 후, 다시 함흥의 자야에게 돌아옴. 그러나 자야는 이 사실을 알고 혼자 서울로 떠남.

1938년(27세) 영생고보 축구부 지도 교사였던 백석은 전선(全鮮)고보 축구대회에 선수들을  인솔하여 참가함. 이때 자야와의 재회. 그러나 축구부 선수들의 유흥장 출입으로 말썽이 나서 지도교사였던 백석은 함흥학원측으로부터 영생여고보로 문책 전보됨. 몇 달 후 영생여고보를 사임하고 다시 서울로 와서 여성지를 편집함.


1939년(28세) 다시 두번째 결혼식을 올리나 다시 혼자서 서울로 올라옴. 이 사실을 알 게 된 자야는 다시 백석 곁을 떠남. 조선일보에 재입사하여 <여성>지의 편집을 돌보다가 다시 사임함. 이 해 말 만주의 신경(현재의 명칭은 장춘)으로 가서, 신경시 동삼마로 시영주택의 황씨방에 거처함.

1939년(28세) 1월 26일 조선일보에 재 입사. 백석의 부친 백영옥은 비슷한 시기에 신문사를 그만둠. 백석은 최선을 다하여 월간 [여성]의 편집을 보았다. 백석은 오랜만에 만난 신현중에 이끌려 함께 '란'이 있는 그의 집에 갔다. 10월 21일에는 조선일보를 다시 사임. 그리고는 고향근처의 평안북도를 여행 하였다. 백석은 친구 허준과 정현웅에게 "만주라는 넓은 벌판에 가 시 백 편을 가지고 오리라"는 다짐을 하고 만주로 향했다.


1940년(29세) 만주의 신찡(新京,지금의 長春)으로 옮겨 가서 '신경시 동삼마로 시영주택 35번지'의 중국인 황씨 집에 거처를 정함. 만주국 국무원 경제부에서 6개월 가량 근무하다가 창씨개명 강요로 곧 사직하고, 북만주의 산간오지를 기행함. 평론 [슬픔과 진실]을 만선일보에 발표함. 함께 신경에 와 있던 시인 박팔양이 발간한 {여수시초(麗水詩抄)}의 출판기념회에 발기인으로 참가함.  만주 시절 소설가 김사량, 박팔양, 송지영, 안막 등과 교제함.  토마스 하디의 장편 소설 {테스}를 서울 조광사에서 번역 출간함. 이 출판 사업차 서울을 잠시 다녀감.


1940년(29세) 1월 경. 만주 신경에 도착하여 집을 얻느라고 고생을 하였다 3월부터는 친구들의 도움으로 만주국 경제부에서 근무를 하였으나 백석은 집문제로 고민을 하였다. 당시 황씨 집은 친구인 이형주와 함께 방 하나를 썼는데 가히 토굴같은 집이었다. 백석은 이 집에서 벗어나려고 신경 근교의 러시아인들이 사는 집을 얻기 위해 주말이면 집을 구하러 나가기도 하였다. 백석은 북만주의 산간 오지를 방문하여 원시 부족인 오로촌과 솔론들과의 교류를 맺었다. 40년도에 들어와서 백석은 명실공히 한국 최고의 시인으로 자리를 굳건히 한다. 시적 반경도 지리적으로 정신적으로 대단히 깊고 넓어졌다.

1941년(30세) 생계 유지를 위해 측량 보조원, 측량 서기, 중국인 토지의 소작인 생활까지 하면서 고생함.


1942년(31세) 만주의 안동에서 세관 업무에 종사함. 러시아 작가 바이코프의 작품 [밀림유정] 등을 번역함.


1944년(33세) 일제의 강제징용을 피하기 위해 산간 오지의 광산에 숨어서 일함.

1945년(34세) 해방과 더불어 귀국, 신의주에서 잠시 거주하다 고향 정주로 돌아와 남의 집 과수원에서 일함.

1946년(35세) 고당 조만식 선생의 요청으로 평양으로 나와 고당 선생의 통역비서로서 조선 민주당의 일을 돌봄.
  고정훈의 증언에 의하면 이 해 12월 고정훈이 만주에서 귀국길에 차중에서 아들이 열병으로 죽었고, 아들의 시신을 안은 채 평양  대동강변 돌각담 집에서 살고 있던 백석을 찾아가 장례를 논의했다고 함. 당시 백석은 평양 권번 동기 출신의 여성과 동거중이었다고 함.


1947년(36세) 시 [적막강산}이 그의 벗 허준에 의해 <신천지>에 발표됨. 분단  이후 그의 모든 문학적 성과와 활동이 한국의 문학사에서 완전히  매몰됨.


1948년(37세) 김일성 대학에서 영어와 러시아어를 강의했다고 전해짐.


1949년(38세) 숄로호프의 소설 {고요한 돈강}을 번역 출간함. 숄로호프의 {그들은 조국을 위하여 싸웠다}를 번역 출간함(191면).
  고정훈의 증언에 의하면 이화여전 출신의 아내가 있었으나 남편을 몹시 증오하여 외아들을 데리고 월남했다고 함. 이때 남편에게  만약 월남하면 가만 두지 않겠다고 위협했다고 전함.


1950년(39세) 국군이 평안도를 수복했을 때 주민들이 그를 정주 군수로 추대했다고 전함.  


1953년(42세) 파블렌코의 {행복}을 번역 출간함.


1954년(43세) 러시아의 농민시인 이사코프스키의 시선집을 연변교육출판사에서  번역 출간함.


1956년(45세) 아동문학에 각별한 관심을 가지고 [동화문학의 발전을 위하여]등의 평론을 발표함.


1957년(46세) 동화시집 {집게네 네 형제}를 발간함.


1958년(47세) 시평 [사회주의적 도덕에 대한 단상]을 발표함.


1959년 이전까지 평양 동대원구역에 살면서 ‘조선작가동맹 중앙위원회 외국문학 번역창작실’에서 러시아 소설과 시 등 번역과 창작에 몰두한 것으로 밝혀졌다.     ☞   2001/04/30 동아일보

1959년(48세) 시 [이른 봄] 등 7편을 <조선문학>에 발표함.


1960년(50세) 이해 12월 북한의 <조선문학>지에 시 [전별] 등 2편을 발표함.


1961년(51세) 12월에 그의 마지막 시작품 [돌아온 사람] 등 3편을 <조선문학> 지에 발표함. 그 이후의 생사는 전혀 확인되지 않음. 아마도 숙청된 것으로 짐작됨.


1963년(52세) 이해에 사망했다는 설이 있음.  


1987년  첫 시집 {사슴} 이후에 발표된 시 작품 등 도합 94편을 정리한  {백석시전집}(이동순 편)이 서울의 창작과비평사에서 발간됨. 이후 월북문인에 대한 해금조치가 단행됨. 그로부터 한국의 많은 독자들에게 그의 작품이 아낌과 사랑을 받음.


1987년  시집 {박각시 오는 저녁}(김학동 편)과 {백석전집}이 새문사에서  출간됨.


1988년 김자야 여사의 회고 기록 [백석, 내 가슴 속에 지워지지 않는 이름]이 <창작과비평>지에 발표됨.


1988년 백석 전작시집 [가즈랑집할머니] (새문사) 간행.

1989년 백석 전작시집 [흰 바람벽이 있어] (고려원) 간행.

1990년 시선집 {멧새소리}가 미래사에서 출간됨


1990년 송준에 의해 백석에 관한 많은 자료가 수집되어 실린 [ 詩人 백석 일대기 ] (지나) 1,2권으로 발간.

1994년 {백석일대기1·2}(송준 편)가 도서출판 지나에서 출간됨.


1995년 {백석시전집}(송준 편)이 학영사에서 출간됨.  


1995년 {내 사랑 백석}(김자야 저)이 문학동네사에서 발간됨.


1995년 1월 83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 것으로 밝혀짐.

1996년 {백석}(정효구 편)이 문학세계사에서 간행됨.


1996년 백석시전집 {여우난골족}(이동순 편)이 솔출판사에서 간행됨.


1996년 백석문학론집 {백석}(고형진 엮음)이 도서출판 새미에서 출간됨.


1997년 동화시집 {집게네 네 형제}가 도서출판 시와 사회에서 출간됨.


1997년 {백석전집}(김재용 엮음)이 실천문학사에서 출간됨.


1998년 백석문학상이 제정되어 창작과비평사 주관으로 시행됨'


1998년 정본 백석시전집 {모닥불}(이동순 편)이 솔출판사에서 발간됨.

1999년 백석문학상 제정 시행.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 김영교 file 김영교 2024.02.05 4
12 김호길 시인 file 미주문협 2023.02.02 62
11 소설가 이외수, 시인 박상희 file 박상희 2006.10.20 8017
10 구상 file 박상희 2006.04.25 1323
9 이숭자 file 미문이 2005.12.25 1723
8 김용팔 file 미문이 2005.01.18 7799
7 이형기 file 미문이 2005.02.05 887
6 박목월 file 미문이 2004.07.30 980
5 한용운 file 관리자 2004.07.24 1454
4 이육사 file 관리자 2004.07.24 955
» 백석 file 관리자 2004.07.24 1942
2 김소월 file 일일사 2004.06.25 1138
1 윤동주 file 일일사 2004.06.24 8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