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미소리를 들으며

2009.02.02 08:28

이남로 조회 수:1195 추천:6

매미소리를 들으며
                     이남로
매미가 운다. 사실은 우는 게 아니다. 목에서 나오는 소리가 아니기에 목에서 내는 소리가 아니고 울림 판에서 내는 소리라고 한다. 요즘 들어 심하게 여름철이면 나뭇가지가 들썩일 정도로 울어댄다. 요즘은 예전하고 틀려서 농촌에 가보면 마을 안길이 시멘트 포장이 다 돼 있다. 그래서 그런지 매미가 하루 종일 울어댄다. 매미는 7년에서 14년 동안 나무속에서 애벌레로 있다가 세상을 보기위해 껍질을 벗고 나와 7일을 살다가 죽는다고 한다. 7일을 살기 위해 7년을 기다리다 그것도 아무 때나가 아니고 늦여름부터 겨울이 오기 전까지 그 짧은 시간을 살다가 가려고 그 먼 길을 돌고 돌아서 왔다가 환경도 좋지 않은 여건을 뚫고 자기 흔적을 남기고 목숨이 다하는 그날 그저 아무것도 없는 맨바닥에 떨어져 죽거나 아니면 거미가 쳐놓은 거미줄에 걸려 울음 한번 토하지 못하고 그냥 그렇게 죽고 마는 현실은 사람으로 생각할 때도 참으로 애석한 일이다. 운다고 달래주지도 않는 세상 식음을 전폐하고 자연
현상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각박한 세상 탓에 시끄럽다고 짜증난다고 할지는 모르지만 자연 현상의 하나라고 그냥 흘러버릴 수도 있겠지만 그건 한마디로 대단한 일이라 여겨진다. 그리 오래전 일이 아니지만 나 어릴 적엔 기어 다니다 겨우 두 손에 지팡이 짚고 걸어 다녔었다. 해마다 여름이 오면 두 다리 성한 아이들은 방죽으로 목욕하러 가는 것을 바라만 보고 있어야 했다. 가끔은 형님이 등에 업고 깊은 물로 들어가기도 했다. 몸이 불편했던 나에게는 첫 경험을 시켜준 셈이다. 요즘 사람 사는 세상은 각박하고 이기주의가 팽배하고 개인주의가 발전함으로 모든 일을 자기 편한대로 행동하는 게 보편적인 사회생활의 기본이 된지 오래다. 그러니까 몇 년 전 일이다. 아침에 현관문을 열고 밖을 나가려고 현관문을 열고 층계를 내려서는 데 땅을 우연히 보니 매미가 땅에 떨어져 있는 것이다. 세상을 끝낸 흔적을 아무도 보아주지 않는 곳에서 그렇게 목숨을 던져 울음을 토하고 바람에 맡기는 몸을 내던지는 현상을 그냥 보아 넘기기는 가슴이 허전했다. 그래서 시 한편을 쓰면서 자연의 덧없음을 세월의 오묘함을 풀었다. 마음이 후련한 건 아니지만 그래도 마음이 홀가분했다. 그나마 자연 적으로 일익을 했다는 나만의 자부심을 느껴본다. 여름이다. 무더운 날씨를 견디지 못하고 둠벙이나 냇가나, 물이 흐르는 곳 아니면 물이 흐르다가 조금 깊이 파인 곳이 아니라도 물이 있는 곳이라면 몸을 담그고 싶은 충동이 일 때가 있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한여름이면 열무를 갈아 얼마 지나지 않은 열무를 뜯어다가 양푼에 열무를 깔고 보리밥을 열무위에 얹어 놓고 고추장 한 숟가락 얹고 된장국을 넣어 썩썩 비벼서 비빔밥을 해서 먹던 기억이 새롭다. 아니면 원두막에 가서 누가 지키지 않나 살펴보고 조심조심 들어가서 참외 하나 아니면 수박 한통 얼른 따서 먹던 그 시절이 그립다. 요즘은 말도 안 되는 일이지만 수박서리 참외서리라고 이름을 붙여 보아도 그냥 눈 감아 주었던 그 시절 참으로 잊혀 지지 않는 먼 그리움으로 남아있다. 여름은 덥다. 더운 것이 없으면 무슨 뜻이 있을까? 시절은 시절에 맞는 일이 일어난다. 시절이 오면 그 시절대로 맞는 자연현상이 일어난다. 사람도 그 자연현상을 순응해 가면서 살아간다. 사람이 사람인 까닭에 할 수 없는 일을 하면서 살아간다. 그러고 보면 사람도 자연의 구성요소임을 느낀다. 어떻게 보면 지극히 악날한, 어떻게 보면 지극히 평범한 어떻게 보면 지극히 평범한 일을 아무 느낌 없이 하면서 살아간다. 사람도 자연의 구성요소임을 모르고서 말이다. 모든 사물은 시기를 알고, 시기를 지킨다. 성급함도 조급함도 없다. 봄이면 꽃이 피고 여름이면 열매가 익어가고 가을이면 열매를 거두고 겨울이면 휴식하고 변화 없는 일상 속에서 사람만이 변화를 요구하고 변화 없는 시간에 대한 강박 관념을 지니고 있다. 사람이외에 모든 사물은 그저 주어진 환경을 탓하기보다 주어진 여건에 적응 하면서 살아가는 것을 무거운 어둠 사이로 귀뚜라미가 울어댄다. 해마다 8월이면 울어대는 귀뚜라미 소리에 계절 감각을 느낀다. 가을로 치자면 아주 엷은 풋 가을의 정취를 풀벌레 소리로 느끼면서 살아가는 중이다. 사람도 자연의 일부라고 느껴가면서 살아가는 중이다. 여름이다. 말복도 지나고 추분도 지났으니 분명히 이야기 한다면 여름이 아니고 여름이라도 늦여름쯤 가을이라면 풋 가을쯤이라고 할까? 왜냐하면 낮에는 매미가 울지만 밤에는 귀뚜라미가 조용히 가을을 이야기한다. 여름이 오기 전부터 여름을 준비하는 사람은 없다. 한여름이 돼서야 초복이 그렇고 중복이 저렇고 말복이 이렇고 하면서 이구동성으로 이야기들 해 가면서 복날은 보신탕이니 삼계탕이니 하면서 보신탕집에도 삼계탕 집에도 문전성시를 이루며 북새통이다. 원래 보양식은 여름이 오기 전에 여름을 준비하는 마음으로 먹는 게 아닐까 생각한다. 왜냐하면 몸이 허약하면 더위를 견디기 어려운 것이므로 여름이 오기 전에 여름을 준비하는 마음으로 먹는 보양식이 낳으리라 생각해 본다. 특히 한국 사람은 개고기를 먹는다. 요즘이니까 먹을 게 많고 개고기를 안 먹어도 영양상태가 여름을 지탱할 수 있을 영양식을 먹으니까 그렇지 1960년대만 해도 고기라면 그저 집에서 기르던 개를 잡아먹는 것이 보양식의 전부였고 유일한 영양을 채울 수 있는 것이었다. 그런데 불교에서는 윤회설을 근거로 개고기를 안 먹는 게 전통처럼 내려온다. 나라가 힘이 약하면 국민이 고생이고 먹는 것도 마음 놓고  먹을 수 없는 게 현실인가 보다. 불교의 논리대로 이야기 한다면 육식은 전체로 하지 않는 게 좋다. 불교식대로 이야기한다면 먹을 고기가 어디 있으며 먹지 말아야 할, 고기를 구분하는 게  이상한 것 아닌가 싶다. 이런 핑계 저런 핑계 대지 말고 그냥 입맛대로 살면 되는 것 아닌가? 이유를 대지 말고 사람의 개성에 따라 먹든지 말든지 하면 될 것이다. 서양에서는 오래전부터 육식을 기본으로 식단을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동양은 채식을 기본으로 육식은 별식으로 생각해 왔다. 그래서 덥거나 춥거나 하면 견디기 어려운 것이다 여름이 오기, 전부터 여름을 준비하고 겨울이 오기 전부터 겨울을 준비하는 마음으로 살아가는 것이다. 개를 애완용으로 기르고 집안을 지키는 충분한 영양보충으로 여름을 건강하게 보내야 할 것이다. 입맛에 맞는 음식을 먹으면서 사는 것도 행복이다. 그래야 건강하게 살 수 있을 것이다. 여름은 경쟁의 시절 같다.1년 4계절 중에 여름은 모든 생명이 살려고 노력하는 계절, 그래서 아름다운 그래서 생명을 이어가는 계절이 오늘도 시간을 보낸다. 나름대로 내일을 꿈꾸며 생명을 입맛이 없고 상큼한 것이 그리울 때면 언제나 옛일을 생각한다. 동물의 실질적인 왕이 사람인데 사람이 먹는 걸 가린다면 모순이 아니까 건강을 위해서는 무엇이든 가리지 말고 먹으면서 건강하게 사는 게 우선이 아닐까, 여름철이면 가끔은 천렵한다며  아버지께서 어망을 가지고 냇가로 가서 민물고기를 잡아 매운탕을 끓여 반찬삼아 밥 먹던 일 하며, 동네 어른들이 모여 돌보지 한다며 동네 사람이 먹이는 돼지를 잡아 나누어 먹던 일, 아버지가 밀가루음식을 즐겨 드신 탓에 1주일에 서너 번은 손칼국수나 수제비를 먹던 일, 그래서 그런지 요즘도 가끔 밀가루음식이 생각이 난다. 지금쯤 마당에 멍석 깔고 모깃불 모락모락 피어오르면 들에서 일을 마치시고 오시는 어머니가 해 주시던 보리밥에 열무 넣고 고추장에 된장국을 넣고 비벼먹던 그 시절 추억이 떠떠오른다. 추억어린 그때 그 시절 추억을 생각하니 벌써 아침저녁으로 찬바람이 가을을 부르고 있다.      
                     -제16회 장애인(곰두리) 문학상 수필부문 당선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