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싱글엄마들의 성경 모임인 ‘임마누엘’ 소구역 모임이 있는 날이다. 사별을 한 사람, 이혼으로 생이별 한 사람, 외국인과 결혼해 ‘또 하나의 고독’에 절인 사람들이 모여 함께 울고 웃으며 나눔의 시간을 갖는 모임이다. 저마다 아픔을 가진 사람들이 모인 모임이기에 정도 각별해 특별히 기다려지곤 한다.  
   405 프리웨이에 들어서자, 기다렸다는 듯이 세찬 겨울비가 시야를 뿌옇게 흐려 놓는다. 이런 날의 과속은 제 스스로 죽음을 자초하는 일이다. 15마일로 속도를 줄였다. 속도가 느려지니, 마음마저 느긋해진다.

   라디오를 틀었다. 서민의 애환을 달래주는 라디오 코리아에서 김종찬의 ‘당신은 울고 있네요’가 흘러나온다. 노래의 가사도 가사지만, 축축한 그의 목소리가 왠지 우수에 젖게 한다. 비오는 날의 노래는 흑인 영가나 샹송이 제 격이다.

   그러나 김종찬의 목소리도 이런 날의 노래론 손색이 없다. 산그리메가 마을을 덮고 저녁연기가 실실이 피어오르다 자취를 감춰버리는 그런 목소리. 김종찬의 노래를 듣고 있으면, 고향집의 아랫목에 누워 빗소리를 듣고 있는 듯 아늑해진다. 가만가만 노래를 따라 불러본다.
     “옛날에 옛날에 내가 울듯이 / 당신도 울고 있네요......”  
    괜히 내 설움에 취해서인가. 아니면, 내가 아는 여인의 한 많은 삶이 떠올라서인가. 나직이 따라 부르는 내 시야에 나도 모르게 뿌연 물안개가 인다. 그 물안개를 헤집고 한 여인이 걸어 나온다.

   가슴에 주홍글씨처럼 한을 안고 살아가는 여자, ‘피코의 마마.’ 남편의 배신에 한이 맺혔으면서도, 죽기 전에 꼭 한번은 총고백성사를 하고 함께 영성체를 하고 싶다는 그녀. 가슴에 눈물을 담고 살아온 그녀를 생각할 때마다 나는 물먹은 선인장을 연상하곤 했다.
   ‘피코의 마마.’ 그녀의 이름은 따로 있었지만, 우리는 그녀를 ‘피코의 마마’라고 불렀다. 그녀는 늘 빈민자의 거리인 피코 길에 실비 식당을 차리고 싶어 했다. 쓰레기도, 짐승도, 사람도 한 통속이 되어 뒹구는 그 거리에 실비집을 차려 그들을 배불리 먹여주고 싶다고 했다.

   그들이 제대로 사람 구실을 해 아이들을 앞세우고 “마암!” 하고 들어선다면 그보다 더 큰 기쁨이 없을 거라 했다. 우리도 언젠가는 그녀의 꿈이 꼭 이루어지리라 믿었다. 뜨거운 화덕 앞에서 벌겋게 달아오른 얼굴로 하루 열여섯 시간씩 일하고 있는 그녀 모습을 보면 누군들 그녀의 꿈을 믿지 않으랴.    
   그러나 이 꿈은 4.29 폭동이 앗아가 버렸다. 벌몬트와 2가 쇼핑몰에 차린 식당은 몫이 좋아 장사도 잘 됐었는데, 흑인들에 의한 폭동으로 재가 되어버린 것이다. 그것도 이 곳 가게를 정리하고 피코 길에 새 가게를 차리려고 에스크로가 끝나기를 기다리던 즈음의 일이었다. “출출하지예? 오다가다 한번 들려 주이소, 예?” 하던 그녀의 구수한 광고 목소리도 그날 이후 뚝 끊겼다. 끊긴 목소리와 함께 그녀의 의기도 꺾여버렸다.  
   걱정 어린 표정으로 그녀 얼굴만 쳐다보고 있던 그 날 저녁, 우리는 처음으로 그녀로부터 많은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언제나 허허 웃으며 맏언니 역할을 해왔던 우리 모임의 수장한테 그토록 큰 아픔이 있는 줄은 꿈에도 몰랐다. 수녀가 되기 위해 독일로 떠났었다는 것도 그날에야 알게 되었다.
   그녀의 사랑은 시작도 끝도 비극적 소설이었다. 수녀복도 마다하고 맺어진 사랑이었기에 남편과의 만남은 그만큼 뜨겁고 애틋했다. 그러나 두 사람의 진했던 사랑은 채 십 년을 넘기지 못했다.

   미국으로 건너와 올망졸망한 아이를 키우며 이민 초기의 어려움이 어느 정도 가실 즈음, 뜻밖에도 남편이 어느 젊은 여인의 손을 잡고 집을 나가 버렸기 때문이다. 그것도 남편이 죽어 불쌍하다며 물심양면으로 도와주던 친척벌 여자라 아픔이 더욱 컸다.

   그녀는 목숨을 걸어서라도 이혼만은 막으려고 했었다. 이혼을 허락하지 않는 천주교 신자여서가 아니었다. 아이들을 위해서라도 가정만은 꼭 지키고 싶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혼을 빼앗겨 버린 남편은 이혼을 해 달라며 폭력의 강도를 높여 갔다. 기도를 바치고 시를 읊던 고상한 그의 입에서 망언과 욕설이 앞다투어 나왔다.

   그때, 초등학교 2학년밖에 안 된 어린 딸이 울면서 막아섰다. "I don't know what it means of 개썅년 but she is my mom!" 화가 머리 끝까지 오른 그는 엄마를 때리지 말라고 울면서 가로막는 어린 딸마저 내동댕이쳐 버렸다.

   그걸 본 순간, 그녀는 무너지고 말았다. 결국, 그녀에게 남은 건 쓰라린 배신감과 어린 두 자식뿐이었다. 찔레꽃이 갸웃거리던 어느 초여름의 일이었다. 아픈 세월 속에서도 꽃은 피고 꽃은 졌다.

   회억하는 그녀의 희미한 눈빛 속으로 세월의 강물이 출렁였다. 시간은 정말 돌아오지 않는 강물일까. 영화 ‘돌아오지 않는 강’에서 마릴린 몬로가 아득한 눈빛을 띠고 기타를 치면서 “No return, No return......”하고 반복해서 부르던 노래가 생각났다. 마치 ’피코의 마마‘ 심정을 대변이나 해주듯, 가수는 더욱 애절한 목소리로 노래를 부른다.
    "이렇게 만나게 될 줄을 / 그 누가 알았던가요......”
   그녀가 남편을 다시 만난 건, 아들의 고등학교 졸업식에서였다. 어린 날 내동댕이 쳐졌던 딸이 동생 고교 졸업식에 아버지를 불러들인 것이다. 떠날 때는 채 걷지도 못하던 아들이었기에 그는 무대에 서 있는 아들의 얼굴조차 알아보지 못했다. 딸이 울먹이며 아빠에게 일러주었다.

   “아빠! 우리 진이 어디 있는지 모르겠지? 저어기 왼쪽에서 두 번 째 서 있는 녀석이 바로 아빠 아들이야.” 그때사 아버지는 자기 아들을 알아보고, 주먹으로 눈물을 훔쳤다. 뒷자리에 앉아있던 피코의 마마도 연신 흐르는 눈물을 닦고 있었다.
   아비가 제 아들 얼굴조차 못 알아보는 게 서럽고, 새까맣던 그의 귀밑머리에 허옇게 서리가 앉은 것도 서러웠다. 다시 되돌릴 수 없는 사랑은 더더욱 서러웠다. 졸업식이 끝나자, 그는 다시 뒷모습만 남긴 채 자기의 둥지로 돌아갔다.

   그 날 저녁, 딸은 엄마의 손을 잡고 애걸하다시피 말했다. “엄마! 아빠 이제 용서해줘. 엄마는 우리를 가졌지만, 아빠는 아무도 없잖아......” 딸의 눈엔 눈물이 그렁그렁 맺혀 있었다. 아빠로부터 내동댕이쳐졌던 그 딸은 아빠를 용서해줄 정도로 훌쩍 커 있었다. 시간은 잔인했지만, 또 한편 시간은 너그러웠다.

   하지만, 아이들은 모른다. 어느 날 갑자기, 믿었던 남편에게 배반을 당하고 싱글 엄마가 되어 살아온 그 잔인했던 날들이 얼마나 길고 깊었던가를. 차창 밖에는 계속 비가 내리고, 라디오에서는 애틋한 가사가 흘러나와 나의 상상을 끝없이 부추긴다.
    "찻잔에 어리는 추억을 보며 / 당신도 울고 있네요......”
    가사를 음미하며, 먼 훗날 다시 만날지도 모를 그들의 재회를 한번 상상해 본다. 나의 상상은 소설을 쓰며 날개를 단다.

 ...... 어느 날, 길을 가다 두 사람이 마주친다. 너무나 뜻밖이라 말문마저 막힌다. 덥석 두 손 더우잡고 불리워야 할 이름들이 목젖 아래로 깔아 앉는다.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찻집을 향했다. 남편의 희끗희끗한 머리카락이 욱하고 슬픔을 치밀어 올린다. ‘바보 같은 양반.’ 그녀의 눈시울이 더워 온다.

   붉은 벽돌로 장식된 찻집의 벽난로는 따스했다. 장작불이 타닥타닥 피어오르고 진항 커피향이 두 사람을 감싼다. 그러나 그들은 시선을 내리깐 채 오랫동안 말이 없다. 흐르는 침묵은 세월의 강만큼이나 넓고 깊었다. 커피 잔만 만지작거리던 그녀가 문득 고개를 들었다. 아, 그때 그녀의 눈에 비친 남편의 눈물! 굳게 감은 두 눈을 비집고 주름진 골을 따라 흐르는 눈물, 눈물, 눈물. 그의 눈물은 소리 없는 말이 되어 그녀에게 건네어진다.
   ‘여보, 미안하오. 용서해주구려.’
   이십 년, 아니면 삼십 년 뒤에야 눈물로 용서를 청하는 이 한 마디. 이 한 마디가 그토록 어려워 지금도 말 못하고 눈물만 흘리는가. 어느 새 그녀의 두 볼에도 뜨거운 눈물이 골을 타고 흘러내린다.

   미칠 듯한 밤이면 식칼을 들고 달려가, 새벽이 희부염하게 밝아올 때까지 그의 아파트 불빛을 보며 어둠 속에 떨었던 그녀. 후딱 정신을 차려보면, 손에 든 칼은 어느 새 휘어져 있고 몸은 흥건히 땀에 젖어 있었다. 한기에 떨고, 배신감에 떨며 이슬에 함뿍 젖어 돌아오던 그 숱한 나날도 이제는 눈물 속에 녹아내린다. ......
  
   깨진 사랑을 회복하는 것보다 더 아름다운 일이 이 세상에 있을까. 절규하듯 높아지는 음이 상상에 빠진 나를 깨웠다.
   “남겨진 상처가 너무 아파서 / 당신의 얼굴이 떠오를 때면 / 나 혼자 방황했었죠......”
   방황이라면 그녀만큼 많이 한 여인이 또 있을까. 어둑한 방을 박차고 밤이면 밤마다 산타 모니카 바다로 달려가, 짐승처럼 울부짖었다.
   “사람의 목소리가 그립다아 ......!”
   파도는 그녀의 절규를 삼켰다 뱉었다 하며 말없이 철썩였다. 검은 밤바다를 비추고 있는 은빛 달빛도 그녀에겐 한줄기 빛이 되어주지 못했다. 성당에 가도 마찬가지였다. 용서할 수 없는 마음 때문에 영성체조차 못하는 그녀에겐 영성체 후 묵상 시간이 오히려 고문이었다. 모든 사람이 마음의 평안을 얻고, 위로를 받는 그 시간. 그녀는 가슴을 쥐어뜯는 통증을 느꼈다.  
   그러던 어느 날, 영성체 후 묵상 시간에 그녀는 감격스럽게도 주님의 음성을 들었다. “사랑하는 딸아! 네가 못 오면 내가 가마.” 그녀는 깜짝 놀라 뒤돌아보았다. 아무도 없었다. 사방 좌우를 훑어보아도 묵상에 잠긴 교우들의 모습뿐이다. 그러자 다시 한 번 똑 같은 음성이 들려오며, 가슴에 뜨거운 것이 끓어올랐다. 그 순간, 눈에서는 뜨거운 눈물이 폭포수처럼 쏟아져 내렸다. 여태껏 원망만 했던 주님인데, 주님은 역시 그녀를 잊지 않았던 것이다.

   그 날 이후, 그녀의 아픔은 딱지가 되어 떨어져 나가고 긴 방황도 끝이 났다. 하느님의 치유는 완전하셨다. 그녀에겐 그 날이 바로 다시 태어난 부활의 날이며 새로운 삶의 시작이었다. 앞으로 그녀에게 남은 시간은 오로지 용서와 화해, 그리고 봉사의 삶 뿐이었다. 그것만이 무상으로 받은 주님 은총에 대한 보답이었다.
   이제 그녀에게 남은 꿈은 하나뿐이다. 죽기 전에 다시 한 번 ‘주 대전에’ 나가 옛 남편과 함께 영성체를 하는 일이다. 그것만이 완전한 용서와 회개의 완성이라는 생각에서다. 진주조개가 진주를 품어 오듯이 그녀는 이 소망을 오랫동안 품어 오고 있다.

   ‘피코의 마마’가 되고 싶다던 첫 번째 꿈은 4.29 폭동으로 물거품이 되었지만, 두 번째 꿈은 꼭 이루어지리라 믿는다. 하지만, 그것 역시 시간과 주님의 은총 속에 맡길 수밖에 없으리라.
   나의 가장 간절한 기도 제목도 깨진 사랑의 회복이다. 우리가 지상에서 올릴 수 있는 가장 아름다운 기도는 그것뿐이란 생각이 든다.

   비단 부부의 사랑뿐이랴. 자식과의 관계도 그렇고, 사소한 오해로 헤어진 사람들, 긴 세월 '웬수‘ 목록에 올라 도저히 용서 못 할 것 같은 사람들. 이 모든 사람들이 더 늦기 전에 손을 내밀어 지난날을 용서 받고 화해하는 복된 시간이 왔으면 싶다.  
   “옛날에 옛날에 내가 울듯이 / 당신도 울고 있네요.”
   창밖엔 비가 오고 내 마음엔 더운 눈물이 흐른다. 안개 속과도 같이 뿌연 405 프리웨이 빗속을 달리며 왜 자꾸 눈물이 나는 걸까. ‘눈물은 성수’라고 말한 섹스피어의 말도 이제사 알 것만 같다. 정녕 미움으로 흘리는 눈물은 없다. 오늘 우리 모임을 위해 국을 끓이고 있을 ‘피코의 마마’를 보면 와락 끌어안고 울 것만 같다. 

                                       (2000년 성 그레고리 성당 10주년 기념 회지 '기리에' 수록)

  <작품 후기>
   이 글은 1998년에 최초로 쓴 뒤,  2000년 대희년 때 성 그레 고리 성당 창립 10주년 기념 회지 <기리에>에  발표한 작품이다. 오늘 다시 꺼내서 읽어 보다가 가슴이 먹먹해져 피코의 마마에게 전화를 걸었다. 아니, 그런데 이런 기적이 일어날 수 있는 것일까.  '피코의 마마'로부터 너무나 기쁜 소식을 들었다. 이 글 속에 작가적 상상으로 두 사람이 만나 화해하는 장면을 넣었는데, 그 일이 실제로 일어났다. 길에서 우연히 만나는 걸로 설정한 내 상상과는 달리, 전남편이 집으로 찾아와 용서를 빌었다고 한다. 35년만의 일이었다. 눈물로 용서를 청하는 그에게 피코의 마마는 이렇게 말했단다. 이제 와서 누가 누구를 용서할 수 있겠느냐고. 하지만, 마음의 짐을 훌훌 벗고 떠날 수 있게 해줘서 고맙다고. 화해란 얼마나 아름다운 일인지. 그 말을 듣는 순간, 내 눈에도 눈물이 괴어왔다. 이 글을 읽는 분들 중에도 혹시 용서 못하신 분 있으면 먼저 손 내밀어 화해를 청했으면 좋겠다. 깨진 사랑을 회복하는 일보다 더 아름다운 일이 이 지상에는 없다. 전화를 끊기 전에 피코의 마마는 이렇게 말했다. "요안나! 이제 나는 마음의 부자야! 억만금을 줘도 안 바꾸는 마음의 부자!”  그녀의 들뜬 음성이 내 마음을 따스하게 지펴왔다.

                                                                           


회원:
4
새 글:
0
등록일:
2015.06.19

오늘:
7
어제:
4
전체:
1,317,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