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오현, 문정희, 임보, 정일근, 김남조

2006.05.16 02:39

김동찬 조회 수:328 추천:33

*** 106

운명하실 때 나무껍질 같은 손으로 날 부둥켜안고 "시님들 말슴 잘 듣거라이. 배고프면 송기 벗겨 머그면 배부르다이."하고 갔니더. 시체를 가마니 뙈기에 돌돌 말아 다비장의 장작더미 속에 넣고 성냥을 드윽 그어 불을 지핀 주지시님이 "업아, 네 집에 불났다! 업아, 네 집에 불났다! 업아, 네 집에 불났다! 어서 나오너라."하고 고래고래 소리쳤을 때 불덩어리가 된 장작더미가 몇 번이나 꿈틀거렸니더. 암 꿈틀거리고 말고, 울아부지 울할아버지 닮아 힘이 천하장사였거든요. 밥 열 그릇으로도 배가 차지 않앗지만 행여 시님들이 밥 많이 먹는다고 쫓아낼까 싶어 언제나 물로 배를 채웠니더.

    조오현 (1932 -  ) 「절간 이야기 1」 부분

스님들은 좋겠다. 늘 화두를 붙잡고 씨름하면서 얻어지는 것들을 이야기하듯이 술술 적어놓으면 시가 될 테니까. 이런 생각이 들 정도로 조오현 시인의 시에는 원숙한 불자의 세계관이 자연스레 녹아있다. 물론 자기 성찰과 부정, 그리고 득도를 위한 각고의 수행 기간이 그런 경지로 이끌었으리라는 추측을 해보는 건 어렵지 않다. 위의 「절간 이야기」연작시의 일부만 보아도 금방 느껴지듯이 그의 시들은 풍부한 이야기와 깊은 사색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 107

다가서지 마라 
눈과 코는 벌써 돌아가고 
마지막 흔적만 남은 석불 한 분 
지금 막 완성을 꾀하고 있다 
부처를 버리고 
다시 돌이 되고 있다 
어느 인연의 시간이 
눈과 코를 새긴 후 
여기는 천년 인각사 뜨락 
부처의 감옥은 깊고 성스러웠다 
다시 한 송이 돌로 돌아가는 
자연 앞에 
시간은 아무 데도 없다 
부질없이 두 손 모으지 마라 
완성이라는 말도 
다만 저 멀리 비켜서거라 

      문정희 (1947 -   ) 「돌아가는 길」 전문

앞으로만 가느라 돌아가는 길엔 신경을 못 썼다. 이제는 돌아가야 할 때다. 누구나 자연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것을 돌부처는 자신의 몸으로 보여주고 있다. 언젠가 한 덩이 돌이었을 때 돌은 부처를 꿈꾸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제 다시 돌로 돌아가려 한다. 완성이란 말을 저 멀리 밀쳐두었을 때 비로소 한송이 돌로 다시 완성되고 있다.

*** 108

나로 하여금 이 망망한 세상의 짐을 지게 하고
내 생애의 일거수일투족에 평생 매달려 감시타가
이승을 떠나서도 내 멱살을 잡고 놓아주지 않는
나를 망친 한 여자, 아, 그립고 그리운 어머니여
    
* 작취미성의 몇 시인들이 이른 아침 우이동 골짝의 한 해장국집에서 
해장을 한다. 따끈한 술국으로 장을 달랜 다음 다시 소줏잔을 기울이면서 
누군가 중얼거린다.‘한 잔 술이 하루를 망치고, 한 여인이 일생을 망친
다’고…. 그 여인이 누구일까 각자 생각다가 눈시울을 붉히면서 떠나간 
어머니들에 목이 매인다.
 
    임보 (1940 -   ) 「나를 망친 여자」 전문

작가 스스로 붙힌 해설(*표 이하 부분)이 재미있어 그대로 옮겨 보았다. 어머니들은 왜 그렇게 자식들의 일생을 놓아주지 않고 망치게 만들어 이른 아침부터 눈시울을 붉히게 할까. 나이든 시인들께서도 어리광 섞인 술주정을 부리고 싶을 때는 한 여자, 어머니가 생각나나 보다.

*** 109

꽃은 허공 가지에서 지고
슬픔은 땅속 뿌리로 맺혔느니
여름날 자주색 감자를 캐면서
뿌리에 맺힌 자주색 슬픔을 본다
로에게 답장을 쓸 것인가에 대해
여름 내내 생각했다, 그 사이
자주색 감자꽃은 피었다 지고
자주색 감자는 굵어졌다
감자를 캐느라 종일 웅크린
늑간이 아프다, 웅크린 채 누군가를
기다렸던 나도 한 알의 아픈 감자였다
사람의 사랑도 자주색 감자 같아
누가 나의 뿌리를 쑥 뽑아 올리면
크고 작은 슬픔 자주색 감자알로
송알송알 맺혀 있을 것 같으니 

       정일근 (1958 -   ) 「자주색 감자를 캐면서」 전문

이 시를 읽다보니 늑간이 아프다. 하지만 이제는 그 아픔마저 내 몸의 일부인 양 여길 수 있을 것 같다. 기다림이 클수록, 웅크리고 앉아있는 시간이 길수록 감자는 알이 굵어지고 송알송알 맺힐 것이다. 사람들은 그 슬픔의 열매를 제 살 잘라먹듯 캐먹으며 살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 110

어쩌면 미소짓는 물여울처럼 
부는 바람일까 
보리가 익어가는 보리밭 언저리에 
고마운 햇빛은 기름인양 하고 

깊은 화평의 숨 쉬면서 
저만치 트인 청청한 하늘이 
성그런 물줄기 되어 
마음에 빗발쳐 온다 

보리가 익어가는 보리밭 또 보리밭은 
미움이 서로 없는 사랑의 고을이라 
바람도 미소하며 부는 것일까 

잔 물결 큰 물결의 
출렁이는 바닷가도 싶고 
은 물결 금 물결의 
강물인가도 싶어 

보리가 익어가는 푸른 밭 밭머리에서 
유월과 바람과 풋보리의 시를 쓰자 
맑고 푸르른 노래를 적자 

     김남조 (1927 -   ) 「6월의 시」 전문

내 고향은 농촌 마을이어서 보리가 익으면 초등학생들도 일손이 딸린 농가에 보리베기 봉사를 나가곤 했다. 그러면 꼭 한, 두 명쯤 뙤약볕 아래 창백해지는 아이들이 있었다. 선생님들은 그런 아이들을 부축해서 일찍 귀가시키는 일을 의사 아들이라고 나에게 맡기곤 하셨다. 환자 친구를 데리고 가는 길에 길섶에 앉아 쉬고 있노라면 먼 산에서 뻐꾸기 울음소리가 들렸다. 보리가 익어가는 보리밭, 또 보리밭, 어린 나이에도 서럽게 들리던 그 뻐꾸기 소리가 생생하게 떠오르는 6월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2 박목월, 나희덕, 함민복, 김준철, 정수자 김동찬 2006.05.16 343
» 조오현, 문정희, 임보, 정일근, 김남조 김동찬 2006.05.16 328
100 홍채염 앓으며 새해를 맞다 김동찬 2006.03.23 491
99 구상, 이성복, 김소월, 이육사, 노천명 김동찬 2006.01.23 365
98 방정환, 최석봉, 도종환, 문무학, 오영근 김동찬 2006.01.23 372
97 이창수, 김재진, 고재종, 박현덕, 김영랑 김동찬 2006.01.23 436
96 김호길, 황인숙, 고시조, 김영수, 유안진 김동찬 2006.01.23 426
95 김광규, 최승호, 황동규, 이정록, 박화목 김동찬 2006.01.23 428
94 이장희, 박영희, 박시교, 정찬열, 이조년 김동찬 2005.12.21 324
93 신동엽, 권대웅, 이의, 강중훈, 이상 김동찬 2006.01.20 241
92 서정춘, 김금용, 박남철, 조운, 석상길 김동찬 2006.01.20 386
91 반병섭, 조옥동, 이정환, 김용택, 지인 김동찬 2006.05.16 306
90 김제현, 고시조, 나호열, 루미 김동찬 2006.01.20 465
89 정완영, 이수복, 이시영, 이선관, 한하운 김동찬 2005.12.21 342
88 정양, 백선영, 고현혜, 김희현, 김상헌 김동찬 2005.12.21 301
87 고형렬, 기영주, 윤준경, 최영미, 정지용 김동찬 2005.12.21 359
86 오규원, 이영도, 정지상, 장태숙, 이탄 김동찬 2005.12.21 252
85 김종길, 이생진, 최경희, 서정주, 한용운 김동찬 2005.12.21 374
84 높은 곳과 낮은 곳 김동찬 2005.12.16 349
83 정인보, 문인귀, 임혜신, 박정순, 유치환 김동찬 2005.12.05 288

회원:
1
새 글:
0
등록일:
2015.07.07

오늘:
2
어제:
2
전체:
36,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