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일영의 문학서재






오늘:
0
어제:
20
전체:
65,799

이달의 작가

Chuck

                     Ode to joy.

2707BA4D56C02C1522B090

 

 

김수환 추기경의 기도하는 손 / 정호승

 

서울에 푸짐하게 첫눈 내린 날

김수환 추기경의 기도하는 손은

고요히 기도만 하고 있을 수 없어

추기경 몰래 명동성당을 빠져 나와

서울역 시계탑 아래에 눈사람 하나 세워놓고

노숙자들과 한바탕 눈싸움을 하다가

무료급식소에 들러 밥과 국을 퍼주다가

늙은 환경미화원과 같이 눈길을 쓸다가

부지런히 종각역에서 지하철을 타고

껌 파는 할머니의 껌통을 들고 서 있다가

전동차가 들어오는 순간 선로로 뛰어내린

한 젊은 여자를 껴안아주고 있다가

인사동 길바닥에 앉아 있는 아기부처님 곁에 앉아

돌아가신 엄마 얘기를 도란도란 나누다가

엄마의 시신을 몇 개월이나 안방에 둔

중학생 소년의 두려운 눈물을 닦아 주다가

경기도 어느 모텔의 좌변기에 버려진

한 갓난아기를 건져내고 엉엉 울다가

김수환 추기경의 기도하는 손은

부지런히 다시 서울역으로 돌아와

소주를 들이켜고 눈 위에 라면박스를 깔고 웅크린

노숙자들의 잠을 일일이 쓰다듬은 뒤

서울역 청동빛 돔 위로 올라가

내려오지 않는다. 비둘기처럼

 

- 시집『이 짧은 시간 동안』(창비, 2004)

.............................................................................

 

 김수환 추기경께서는 일생의 지표를 ‘너희와 모든 이를 위하여’로 삼으셨다. 모든 이의 모든 것이 되고자 하는 삶을 사셨고, 마지막 가는 길까지 그리 사시다가 “고맙습니다.” “서로 사랑하고, 또 사랑하고 용서하세요.”란 짤막한 말을 남기고 2009년 겨울 우리 곁을 떠나셨다. 모레 2월16일은 선종하신지 7년째 되는 날이다. 가시기 전 그 생생한 모습이 지금도 눈에 어른거리고 장례미사 때 강우일 주교께서 “추기경님 정도 되시는 분을 저리 족치시면 나중에 우리 같은 범인은 얼마나 호되게 다루시겠냐고” 하신 고별사도 또렷하건만.


 당신께서는 가난하고 외롭고 아픈 사람들과 늘 함께하고자 했으며 그들을 위해 기도하였지만, 실상은 그렇게 잘 하지 못했다는 참회에 가까운 술회를 자주 했다. 스스로를 ‘난 바보야!’라고 하면서 아이처럼 웃으시는 일이 잦았다. 그는 항상 낮은 곳을 보듬으시며 종파를 초월해서 정의와 평화를 위해 노력하신 분이었다. 그리고 어떻게 사는 것이 인간답게 사는 길인가를 몸소 실천하고 가르치면서 우리사회 민주화 역사의 버팀목이 되어 주셨다.


 정호승 시인은 이 시를 쓸 무렵, 시를 통해 밑바닥에서 고통 받는 사람을 감싸 안는 추기경님의 마음을 노래하면서 추기경님께 더 많은 치유의 손길을 요청한 듯 보인다. 동시에 그 존재만으로 어려운 사람에게 힘이 되고, 슬픔과 절망에 빠진 사람에게 위안이 되는 분이란 것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지금 우리는 당신이 계시지 않는 적막한 세상에서 ‘기도하는 손’을 자주 그리워할 뿐. 도종환 시인도 “한 시대의 어른이신 당신이 계셔서 우리는 덜 부끄러운 역사를 살았다”고 회고한 바 있다.


 지금은 추기경님뿐만 아니라 우리를 품어주고 가려주던 날개들을 모두 잃은 느낌이다. 불손한 비유지만 김응룡 감독이 만들어낸 유행어처럼 ‘김수환 추기경도 없고 법정스님도 없고...’ 어른이 그리운 시대에 어른이 통 뵈지 않는다. 그분들은 역사의 고비 때마다 억압 받는 이들과 정의의 편에 함께 섰기에 성직자로서의 직분이 더욱 빛났으며 사회적 존경을 받을 수 있었다. 특히 추기경님의 말씀 하나 하나는 한국가톨릭의 수장 이상의 영향력을 발휘했다.


 과거 노무현 정부 후반기에 뻔질나게 추기경님을 찾아온 당시 한나라당 관계자들에게 덕담으로 “국민의 믿음을 얻는 정당이 되도록 노력하라”고 충고한 것을 두고, “다음 대선에서 정권교체가 중요하다는 취지의 말씀을 하시면서” “국민이 믿을 곳은 한나라당밖에 없다는 생각을 갖도록 잘 해 달라고 당부하셨다”면서 교묘하게 왜곡 날조하여 대변인을 통해 퍼트린 일이 있었다. 얼마 전 이희호 여사와 국민의 당 사이에도 비슷한 해프닝이 있었으나 이젠 시민사회나 원로정치인 가운데도 그렇게 '이용'할 만한 분이 과연 있을까 싶다.

 

 지금 우리에겐 추기경이 두 분이나 계시지만 일반인들은 물론이고 가톨릭 신자들조차 그 존재감을 별로 느끼지 못하고 있다. 왠지 명동성당의 종소리도 예전 같지 않다. 추기경님들에 대한 아쉬움을 토로하는 목소리도 여기 저기 들린다. 일찍이 ‘사제는 정치에 개입하지 말라’고 한 정진석 추기경님의 말씀이 오히려 정치적으로 이용당한 나쁜 사례도 한 차례 겪은 바 있거니와 염수정 추기경께서도 “더 이상 싸워야 할 권위주의적인 정부는 없다”고 한 발언이 오히려 정치적인 파장을 불러온 일도 기억하고 있다.


 다행히 프란치스코 교황께서 “교회는 말과 행동을 통해서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개입해야 하며, 필요하다면 신발에 거리의 진흙을 묻힐 수도 있어야 한다.”고 교회 구성원 모두에게 당부하신 말씀을 받들어 염 추기경님도 “사회의 부조리를 바꾸는데 주저하지 말라”는 말씀을 추가하셨다. “우리는 점점 더 물질만능주의, 극도의 개인주의와 쾌락주의가 만연한 세상에 살고 있다”면서 “이러한 위기를 잘 극복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먼저 지도자들이 회개해야한다”고 한 지난주 추기경님의 사순절 메시지는 김수환 추기경님의 공백이 또렷한 이 시기에 우리 모두 새겨들어야 하리라.( 해설 권순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