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선의 문학서재






오늘:
0
어제:
0
전체:
10,612

이달의 작가

바다와 나비/김기림

2008.03.31 15:17

정문선 조회 수:139 추천:20

바다와 나비 - 김기림- 아무도 그에게 수심(水深)을 일러준 일이 없기에 흰나비는 도무지 바다가 무섭지 않다. 청(靑)무우밭인가 해서 내려갔다가는 어린 날개가 물결에 절어서 공주처럼 지쳐서 돌아온다. 삼월(三月)달 바다가 꽃이 피지 않아서 서글픈 나비 허리에 새파란 초생달이 시리다. - <바다와 나비>(1939) - 해 설 [개관정리] ◆ 성격 : 감각적(시각적), 묘사적, 주지적 ◆ 표현 : 견고하고 명확한 시각적 이미지, 공감각적 이미지의 제시 대조적 심상 ◆ 중요시어 및 시구 * 나비 → 꿈을 가지고 여행을 하는 순진하고 가냘픈 존재로 이미지화됨. 근대 문명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된 순진하고 어리숙한 낭만주의적 존재 시인 자신의 청년기적 자아 표상 * 바다 → 거칠고 냉혹한 현실 세계 근대화 과정에서 반드시 거쳐가야 하는 모험과 시련의 공간, 탐색과 동경의 공간 (최남선의 [해에게서 소년에게]에서의 이미지) * 삼월달 바다 → 이른 봄(현실과 미래에 대한 인식을 제대로 할 수 없었던 시대, 근대 문명의 수용과정에서 겪게 되는 과도기적 시기) * 새파란 초생달 → 좌절된 꿈 * 새파란 초생달이 시리다 → 공감각적 심상(시각의 촉각화) ◆ 주제 ⇒ 새로운 세계에 대한 동경과 좌절 순진한 낭만적 꿈의 좌절과 냉혹한 현실 인식 ◆ 심상 : ①색채 대비를 통한 선명한 시각적 이미지 제시(흰색과 푸른색의 대비) ②넓은 바다와 작은 나비의 대조, 공포스러운 바다의 속성과 연약한 나비의 속성의 대조 [시상의 흐름] ◆ 1연 : 바다의 두려움을 모르는 나비 (나비의 순진함, 바다에 대한 환상이 지니는 위험성 내포) ◆ 2연 : 바다로 날아가다 지쳐서 돌아온 나비 (거대한 문명의 힘 앞에 무력해지는 나약한 존재의 모습) ◆ 3연 : 냉혹한 현실의 풍경 (정경의 찰나적 인상)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흔히 김기림은 1930년대 우리 모더니즘 이론의 기수로 불리워진다. 그의 이론적 바탕은 이 작품에서 유감없이 발휘된다.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 시의 회화적 특성과 문명 비판적 성격이 이 작품에서 뚜렷이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근대의 몰락을 예견하며 그것의 초극을 꿈꾸었던 김기림도 현실적 상황의 열악함 앞에서는 너무도 무기력한 한 마리의 지친 나비에 불과했다. 근대라는 엄청난 물결 앞에 자신의 무력함을 자각할 수밖에 없었던 30년대 후반 한국 모더니스트의 자화상을 보여주는 듯한 작품이다. 여기서 '나비'는 시인의 감정이 이입된 존재로 '낭만적인 꿈과 정열'을, '바다'는 가혹한 현실을 각각 의미한다. '나비'의 들뜬 낭만적 정열은 물론 바다를 건너는 모험을 감행하게 만드는 중요한 동인(動因)임에 틀림이 없다. 하지만 '바다'의 수심도 모르면서, 또 자신의 역량도 모르면서 바다를 건너는 일의 무모함은 물결에 날개를 적신 채 지쳐서 돌아오는 '나비'의 모습을 통해 암시된다. 그러나 이 시에서는 바다와 나비의 시각적 심상만이 나타나고 있을 뿐 그에 대한 시인의 주관적인 판단이나 개입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시에서 볼 수 있듯이 김기림의 시는 어떤 사상적 깊이보다는 순간적으로 반짝이는 감각적 이미지만이 뚜렷하게 부각되는데, 이것은 모더니즘, 특히 이미지즘 계열시의 두드러진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더 읽을거리] 아무도 일러 주지도, 가르쳐 주지도 않았다. - 세상이 그 얼마나 무서운가를. 그냥 알지도 모르고 태어나서 이냥 이대로 자랐을 뿐이다. 어미자락 붙들고 청(靑)무우밭 새로 폴폴 맴돌다 허리 굽은 장독 너머, 문득 먼 바다를 본다. 어느날 어미 잃고 청(靑)무우 대공 노랑머리 넘실대는 향기 멀리, 혼자 수심(水深) 모른 바다 위를 위태 위태 폴폴거리다 끝내 꿈을 접고서 젖은 날개에 공주(公主)처럼 지쳐 돌아오는 나비. 삼월(三月) 초승, 아랍의 비수(匕首) 같은 달빛이 새파랗게 겹질려 나비는 허리가 시리다. 끝끝내 바다가 가슴을 열지 않고, 꽃이 피지 않아서 서글픈 나비가 그만 겨워 날개를 푸슬푸슬 접는다. - 바다와 나비. 무한(無限)과 점의 공간 대비. 그러나 창해일속 그 좁쌀이 아닌 것이 여린 생명이다. 왈칵 쏟아지는 눈물이, 애잔하다가 이런 구도(構圖)인가? - 이 어찌 그 시절 그만의 청년기적 자아인가? 아무도 돌아보지 않는 앗아간 삶의 흔적들. - 새삼스레 옛날의 그를 돌이키고서 물끄러미 그 아들을 바라보는 아비의 근심까지도. /김영환 [참고] : 1930년대 모더니즘의 특징 ① 19세기적인 주정주의에 반기를 들고 지성을 중요시하는 20세기 문학 운동 ② 병든 문명이 빚어낸 현대의 위기는 지성으로 구해내는 도리밖에 없다는 주장 ③ 사상과 정서보다는 지성(이성)의 우세를 강조함. ④ 현대 도시 문명에 대한 적극적 비판성 ⑤ 이미지 특히 시각적 이미지의 중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