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선의 문학서재






오늘:
0
어제:
0
전체:
10,612

이달의 작가

벼/이성부

2008.03.31 15:34

정문선 조회 수:98 추천:16

벼 - 이성부 - 벼는 서로 어우러져 기대고 산다 햇살 따가와질수록 깊이 익어 스스로를 아끼고 이웃들에게 저를 맡긴다. 서로가 서로의 몸을 묶어 더 튼튼해진 백성들을 보아라. 죄도 없이 죄지어서 더욱 불타는 마음들을 보아라, 벼가 춤출 때 벼는 소리없이 떠나간다. 벼는 가을 하늘에도 서러운 눈 씻어 맑게 다스릴 줄 알고 바람 한 점에도 제 몸의 노여움을 덮는다. 저의 가슴도 더운 줄을 안다. 벼가 떠나가며 바치는 이 넓디 넓은 사랑, 쓰러지고 쓰러지고 다시 일어서서 드리는 이 피묻은 그리움, 이 넉넉한 힘 …. - <우리들의 양식>(1974) - 해 설 [개관정리] ◆ 성격 : 상징적, 격정적, 낭만적, 참여적, 예찬적, 민중적 ◆ 표현 * 벼의 생장과 수확 과정에 따라 단계적으로 전개함. * 역사의식을 토대로 민중들의 덕성에 대해 예찬적 태도를 취함. ◆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벼 → 공동체 의식에 바탕을 둔 민중, 민족 의식과 생명 의지로 상징 * 햇살 → 벼의 생존을 위협하는 외적 상황, 현실의 고난이나 시련 * 서로가 서로의 몸을 묶어 더 튼튼해진 백성들 → 개인으로 존재할 때보다 함께 할 때 더 큰 힘을 발휘할 줄 아는 민중의 저력 * 죄도 없이 죄지어서 더욱 불타는 마음들 → 역사 속에서 끊임없이 강요당하는 민중들의 억압과 고통, 그리고 그러한 고통에도 굴하지 않는 저항의식 * 벼가 춤출 때 벼는 소리없이 떠나간다 → 벼는 자신들이 가장 성숙한 모습일 때, 스스로의 이기적인 삶을 버리고 대의를 위해 희생하는 모습. * 벼는 가을하늘에도 서러운 눈 씻어 맑게 다스릴 줄 알고 → 절대자를 향해 서러움을 달래는 모습 * 바람 한 점에도 제 몸의 노여움을 덮는다 → 조그만 시련에도 노여움을 삭일 줄 아는 모습 * 저의 가슴도 더운 줄을 안다 → 불의에 저항할 줄 아는 뜨거운 가슴의 소유자들. * 벼가 떠나가며 바치는 / 이 넓디넓은 사랑 → 자기 희생을 통해 사랑을 가르치는 벼, 이것이 바로 민중의 끈질긴 생명력의 원천이다. * 피묻은 그리움 → 자기 희생을 통해 사랑의 가치를 실천한 존재에 대한 그리움. * 넉넉한 힘 → 민중이 지닌 저력 ◆ 제재 : 벼(공동체 의식에 바탕을 둔 민중, 민족 의식과 생명 의지 상징) ◆ 주제 ⇒ 민중들의 덕성을 예찬함. (민중의 강인한 생명력과 공동체적 유대, 역사를 위한 자기 희생) [시상의 흐름] ◆ 1연 : 벼의 외면 → 민중들의 공동체적 유대와 신뢰 ⇒ 벼는 이웃들과 어울려 서로 기대고 의지하며 살아간다. 시련이 닥쳐올수록 성숙하게 변모하여 겸손한 자세로 자중할 줄 알고 이웃들에게 자신을 맡긴다. ◆ 2연 : 벼의 외면 → 민중들의 저력과 겸손함. ⇒ 서로 힘을 합쳐 더욱 큰 힘을 발휘하는 백성들을 보아라. 지은 죄도 없이 억울한 처지가 되어서 분노하는 그들의 마음을 보아라. 쌓이고 쌓인 분노와 울분은 더욱 불타는 마음으로 결실을 맺는다. 그런 다음 벼는 소리없이 떠나가는 것이다. ◆ 3연 : 벼의 내면(덕성) → 민중들의 인고(忍苦)와 어질고 현명함. ⇒ 벼는 맑은 가을 하늘을 바라보면서 서러움을 달래어 마음을 맑게 다스릴 줄 알고, 한 줄기 바람에도 자신의 노여움을 삭힐 줄 안다. 그러나 그들은 자기들 가슴에 뜨거운 피가 솟구치고 있음도 안다. ◆ 4연 : 벼에 대한 예찬 → 민중들의 고귀한 희생과 사랑 ⇒ 벼는 베어짐으로써, 그 희생을 통해 더 큰 사랑을 베푼다. 벼가 베어져서 쓰러지고, 쓰러져도 나중에 다시 일어서서 드리는 고귀한 그리움, 넉넉하고 고운 마음씨를 누가 따를 수 있겠는가.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 양승국의 <한국 현대시 400선>에서 이 시는 '벼'라는 생명 표상을 통해 민족, 민중의 공동체 의식을 나타낸 작품으로, 비유와 상징의 기법으로써 주제를 형상화시키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성부의 시에는 분노와 사랑의 감정이 함께 담겨 있다. 분노를 담고 있다는 것은 그의 시선이 내면 세계나 자연과 같은 서정보다는 사회 현실에 더 많은 관심을 두고 있음을 알게 한다. 그런 까닭에 그의 시는 흔히 참여시로 분류된다. 그의 시 속에는 지난 역사 속에서 가혹하게 짓밟히고 고통받는 사람들의 삶을 껴안고자 하는 일관된 의지가 나타나 있다. 다시 말해, 타인의 삶을 억압하고 고통스럽게 만든 역사적 현실에 대하여 깊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그의 시에는 억압과 소외의 현실에 대한 고발과 함께 패배감을 극복하려는 현실 극복의 적극적인 의지가 담겨 있다. 이 시의 핵심적 이미지인 '벼'는 공동체 의식에 바탕을 둔 민중, 민족 의식과 생명 의지로 상징된다. 기·승·전·결의 4연 구성의 이 시는 벼의 외면적 모습, 벼의 내면적 덕성, 벼의 내면적 태도, 벼에 대한 예찬의 과정에 따라 시상을 전개시키고 있다. 1연의 '햇살 따가워질수록 / 깊이 익어 스스로를 아끼고'라는 구절에 온갖 고난을 이겨낸 민중의 모습이 형상화되어 있으며, '깊이 익어 스스로를 아끼고 / 이웃들에게 저를 맡긴다'는 구절에는 겸손한 자세로 이웃과 더불어 사는 민중의 삶이 나타나 있다. 2연에서 보듯, 이러한 민중들이 '서로가 서로의 몸을 묶'었을 때, '더 튼튼해진 백성들'이 된다는 것은, 개인이 공동체가 될 때 비로소 민중의 저력이 발휘됨을 의미한다. 그들은 아무 '죄도 없이 죄지은' 것처럼 권력에 짓밟혀 숨죽이며 살아온 사람들이다. 그렇지만 사회적 힘이 강해질 때면 그들은 바람에 흔들려 춤을 추는 벼와 같이 가슴엔 세상을 향한 강렬한 저항의 불길이 일어나며, 자신들이 떠나야 할 때는 소리 없이 떠날 줄도 알고 있다. 3연은 2연의 부연 단락으로 민중들이 어질고 현명한 존재임을 보여 주고 있다. 하늘로 표상된 절대자를 향하여 서러움을 달랠 줄도 알고, 시련이 닥쳐올 때면 노여움을 삭일 줄도 안다. 그러나 그들은 무엇보다도 불의의 사회 현실에 대해 저항할 줄 아는 '더운 가슴'이 용솟음치는 민중들임을 강조하고 있다. 4연에는 고난과 시련에도 불구하고 역사의 주체로 일어서는 강한 민중의 생명력이 함축되어 있다. 비록 벼는 피흘리며 베어지지만, 자기 희생을 통해 이룩한 '넓디넓은 사랑'에 만족하며 조용히 쓰러진다. 쓰러짐이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임을 아는 벼의 고귀한 희생을 거쳐 새로운 벼가 탄생되듯, 이러한 연속성 속에서 인간의 삶이 유지되는 것을 민중들은 안다. 그러므로 그들은 서로의 처지를 이해하고, 서로의 아픔을 위로하는 삶의 동반자로서의 공동체 의식을 강화함으로써 역사의 주체로 일어설 수 있는 강한 힘을 얻게 되는 것이다. 쌀을 중심으로 한 농경 민족의 역사에서 억압과 수탈은 벼를 대상으로 행해졌을 것임에 틀림없다. 이 시의 배면에는 벼와 같이 자기 희생과 노여움 속에서 언제나 다시 일어서는 백성들의 힘을 말하고자 하는 작자의 의도가 강하게 깔려 있다. 서러움을 맑게 다스릴 줄 아는 벼와 노여움을 덮을 줄 아는 벼, 그리고 피묻은 그리움을 달래면서 다시 일어서서 드리는 자기 희생의 벼를 통해서 우리는 말없는 백성들의 넉넉한 힘을 깨닫게 된다 이 시의 '벼'는 민중을 상징한다. 민중의 이웃에 대한 사랑, 공동체적 삶에 대한 윤리, 자기 희생, 끈질긴 생명력, 넉넉한 사랑 등이 다년생 풀일 뿐인 '벼'를 통해 우의적으로 그려지고 있다. 벼를 관찰해 보면 민중의 생리적 특성을 많이 공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벼는 개체로서의 민중의 삶을 상징한다. 그것이 단독으로 존재할 때는 무기력하고 보잘 것 없지만, 서로 힘을 합하면 역사의 주체로서 민중의 저력을 발휘하게 된다. 시인은 벼에 대한 세심한 관찰을 통해 민중의 얼굴, 우리 민족의 얼굴을 그리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