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선의 문학서재






오늘:
0
어제:
0
전체:
10,612

이달의 작가

남사당/노천명

2008.03.30 09:42

정문선 조회 수:115 추천:23

남 사 당 -노천명 - 나는 얼굴에 분칠을 하고 삼단 같은 머리를 땋아 내린 사나이. 초립에 쾌자를 걸친 조라치들이 날라리를 부는 저녁이면 다홍치마를 두르고 나는 향단이가 된다. 이리하여 장터 어느 넓은 마당을 빌어 램프불을 돋운 포장 속에선 내 남성(男聲)이 십분 굴욕되다. 산 넘어 지나온 저 동리엔 은반지를 사 주고 싶은 고운 처녀도 있었건만 다음 날이면 떠남을 짓는 처녀야! 나는 집시의 피였다. 내일은 또 어느 동리로 들어간다냐. 우리들의 소도구를 실은 노새의 뒤를 따라 산딸기의 이슬을 털며 길에 오르는 새벽은 구경꾼을 모으는 날라리 소리처럼 슬픔과 기쁨이 섞여 핀다. - <삼천리 9호>(1940. 9) - 해 설 [개관 정리] ◆ 성격 : 서정적 ◆ 표현 : ◆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남사당 → 사당 복색을 하고 이곳 저곳으로 돌아다니면서 노래와 춤을 파는 사내. * 초립 → 관례한 남자가 쓰던 매우 가는 풀줄기로 엮은 갓. * 조라치 → 취라치. 군중(軍中)에서 소라를 부는 취타수의 하나. * 내 남성이 십분 굴욕되다 → 남사당의 고충과 비애가 묻어 있는 표현. 여자로 분장한 화자의 모습이 완전히 여자로 동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음. * 나는 집시의 피였다 → 유랑인의 '근원적 슬픔'이 담긴 표현으로 어쩔 수 없이 운명적으로 떠돌아 다닐 수밖에 없는 처지를 나타냄. * 내일은 또 어느 동리로 들어간다냐 → 떠돌이의 비애. * 슬픔과 기쁨이 섞여 핀다 → 화자의 삶의 애환. ◆ 제재 : 남사당 ◆ 주제 : 남사당 사나이의 애환. [시상의 흐름(짜임)] ◆ 1연 : 여자로 분장한 사나이의 비애 ◆ 2연 : 남사당패 사나이의 비애 ◆ 3연 : 떠돌이 인생의 서글픔 ◆ 4연 : 새벽길의 애환이 교차되는 감정.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남사당이란, 꼭두쇠라고 불리는 우두머리를 비롯하여 40 ~ 50명으로 구성된 놀이패로, 전국 각지를 떠돌며 춤과 웃음과 노래로 삶을 영위하던 집단이다. 이 시에는 유랑 인생의 애상이 그려져 있다. 화자인 '나'는 시인 자신이 아니라 따로 설정된 가공의 인물인데, 어린 시절 남장을 하고 다녀야 했던 시인 자신의 삶에 비추어 볼 때 묘한 느낌을 준다. 화자는 '얼굴에 분칠을 하고 / 삼단 같은 머리를 땋아 내린 사나이'이며, 저녁이면 향단이 등의 배역을 맡아 여자 목소리를 내야 하는 자신을 서글프게 느끼는 사람이다. 그러나 그것이 유랑 인생의 생업인 바에야 어쩌랴. 더욱 한스러운 것은, 이런 놀이판이 끝나고 길을 떠나야 하는 처지이기에 인연을 두고 정착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나' 역시 젊은 나이이기에 '은반지를 사 주고 싶은 / 고운 처녀'를 만날 때도 있지만, 사랑하는 사람과 보금자리를 마련하여 한 곳에 정착하는 삶을 살지 못하고 새벽이 되면 짐 실은 노새의 뒤를 따라 새로운 동리를 찾아 떠날 수밖에 없는 운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