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선의 문학서재






오늘:
0
어제:
0
전체:
10,612

이달의 작가

남으로 창을 내겠소/김상용

2008.03.30 09:48

정문선 조회 수:83 추천:19

남으로 창을 내겠소 - 김상용- 남으로 창을 내겠소. 밭이 한참갈이 괭이로 파고 호미론 풀을 매지요. 구름이 꼬인다 갈 리 있소. 새 노래는 공으로 들으랴오. 강냉이가 익걸랑 함께 와 자셔도 좋소. 왜 사냐건 웃지요. - <문학2호>(1934) - 해 설 [ 개관 정리 ] ◆ 성격 : 전원적, 목가적, 자연친화적, 관조적 ◆ 운율 : 각운의 요소(-요, -소, -오) ◆ 표현 : 시각적인 여백의 효과, 앞선 내용과 급작히 달라져 버리는 시어의 의미, 간결한 종결, 경칭 서술어. ◆ 시어의 함축성 * 남으로 창을 내겠소 → 자연의 섭리에 순응해서 살겠다는 건강하고 낙천적인 삶의 태도 일종의 선언으로, 양지(앞쪽, 태양)를 향한 화자의 건강한 삶에의 지향을 나타냄. * 한참갈이 ― 한참(새참 먹을 때까지의 시간)은 갈 수 있는 땅(안분지족하는 삶의 태도) * 구름 ― 헛된 세속적 이익이나 명예 따위(구름이 지닌 변화와 유동성의 속성에 의존) * 꼬인다 ― 유혹하다 * 웃지요 ― 건강한 체념과 달관의 경지(유머와 관조의 자세) 돈강법(이 시의 주제의식과 격조를 높여주며, 웃음의 의미를 한층 고양시키는 효과) ◆ 주제 ⇒ 평화로운 전원에서의 여유로운 삶을 소망 [ 시상의 흐름(짜임) ] ◆ 1연 : 전원에서의 소박한 삶에 대한 동경 ◆ 2연 : 자연을 즐기며 훈훈한 인정을 나누는 삶 ◆ 3연 : 삶에 대한 체념과 달관 → 이 백(李白)의 시 <산중문답(山中問答)> 중, "笑而不答心自閑(대답하지 않고 빙긋이 웃어 주니, 마음이 절로 흥겹다)" 와 일치. [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 3연으로 된 이 시는 시인의 욕심없는 세계가 인생론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고시조에서 볼 수 있는 동양적인 은둔사상도 배어 있으며, 민요조의 소박하고 친근한 가락에다 전원으로 돌아가서 모든 영화와 야심을 버린 삶을 영위하려는 태도를 접할 수 있다.특히, 삶의 의미를 묻는 질문에 잔잔한 웃음으로 답하는 모습은 삶에 대한 깊은 성찰에서 우러나오는 초월과 달관의 경지를 함축적으로 보여 주는 시적 표현의 백미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시적 화자가 전원으로 향하는 심정이 일종의 체념인가, 도피인가, 자기 위안인가, 해탈인가 하는 점을 살펴보는 것이 시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에 필요할 것이다. 그가 여유있게 웃을 것이라고 말하는 심리는 슬픔을 잊어버리는 데서 온 것 같지는 않다. 단순한 체념과 극복의 웃음이라면, 작품 전체에 흐르는 건강성과 여유, 관조적 태도와 전혀 어울리지 않기 때문이다. 화자의 웃음은 대단히 여유로운 웃음이다. 삶을 관조적으로 바라보고 승화시키지 않으면 불가능한 웃음이다. 달관의 경지에 이르러야 가능한 웃음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