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선의 문학서재






오늘:
0
어제:
0
전체:
10,612

이달의 작가

내 영혼의 북가시나무/최승호

2008.03.30 09:54

정문선 조회 수:118 추천:19

내 영혼의 북가시나무 - 최승호 - 하늘에서 새 한 마리 깃들지 않는 내 영혼의 북가시나무를 무슨 무슨 주위의 엿장수들이 가위질한 지도 오래 되었다. 이제 내 영혼의 북가시나무엔 가지도 없고 잎도 없다. 있는 것은 흠집투성이 몸통뿐 허공은 나의 나라, 거기서는 더 해 입을 것도 의무도 없으니 죽었다 생각하고 사라진 신목(神木)의 향기 맡으며 밤을 보내고 깨어나면 다시 국도변에 서 있는 내 영혼의 북가시나무 귀 있는 바람은 들었으리라. 원치 않는 깃발과 플래카드들이 내 앙상한 몸통에 매달려 나부끼는 소리, 그 뒤에 내 영혼이 소리 죽여 울고 있는 소리를. 봄기운에 대장간의 낫이 시퍼런 생기를 띠고 톱니들이 갈수록 뾰족하게 빛이 나니 살벌한 몸통으로 서서 반역하는 내 영혼의 북가시나무여 잎사귀 달린 시를, 과일을 나눠 주는 시를 언젠가 나는 쓸 수도 있으리라 초록과 금빛의 향기를 뿌리는 시를. 하늘에서 새 한 마리 깃들어 지저귀지 않아도. - <고슴도치의 마을>(1985)- 해 설 [개관 정리] ◆ 성격 : 상징적, 현실 비판적, 의지적 ◆ 표현 : 상징과 비유에 의한 표현 대조적인 시어를 사용하여 시상을 전개함. 단정적인 종결어미와 의지적인 목소리를 사용함. 사물(북가시나무)를 상징화하여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내면 풍경을 형상화함. : 몸통만 남은 앙상한 나무(현재 상황) → 잎과 과일과 향기가 풍성한 나무(지향하는 가치) ◆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하늘 → 자유의 공간 및 세계, 화자가 지향하는 세계 * 하늘의 새 → 자유롭고 순수함을 불어넣어 주는 존재 * 내 영혼의 북가시나무 → 시를 쓰는 고독한 화자의 내면(영혼)을 북가시나무로 은유함. 현실의 횡포에 상처를 입었지만 순수하고 고결함을 추구하는 화자의 영혼 * 무슨 무슨 주의의 엿장수들 → '벌목꾼'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말. 온갖 이념의 신봉자들. * 가위질, 낫질 → 화자의 내면에 상처와 고통을 주는 행위 * 가지도 없고 잎도 없다. → 영혼의 황폐함. * 흠집투성이 → 상처 입은 영혼 * 내 영혼의 북가시나무에 새 한 마리 깃들지 않는 이유 → 난립하는 이념에 난도질당하여 가지도 잎도 없는 상처투성이의 몸통만 남아 있기에 * 허공 → 하늘. 부정적 이념에 시달리지 않아도 되는 자유의 세계 * 허공은 나의 나라 → 허공(하늘)이 바로 화자가 추구하는 진정한 세계 * 신목의 향기 → 하늘에 있는 나무, 화자에게 삶의 지표가 되는 신성한 존재 * 원치 않는 깃발과 플래카드들 → 현실에 난립하고 있는 온갖 부정적인 이념들 순결한 영혼을 억압하는 정치적 이념과 구호들 * 앙상한 몸통 → 고독한 삶의 조건 * 내 영혼이 소리 죽여 울고 있는 소리 → 온갖 이념의 허상으로 상처 입은 영혼. 순수함을 잃은 영혼의 모습 * 대장간의 낫, 톱니들 → 순수한 영혼을 억압하고 위협하는 세력들 * 살벌한 몸통으로 서서 반역하는 내 영혼의 북가시나무여 → 순수함을 지키려는 대결의지 * 잎사귀 달린 시, 과일을 나눠 주는 시, 초록과 금빛의 향기를 뿌리는 시 → 풍요롭고 순수한 영혼의 결실로서의 시('시'를 '나무'에 비유함.) * 북가시나무 → 붉가시나무. 천연 기념물 제110호로 지정된 참나뭇과의 상록 활엽 교목. 원개형 수목으로 높이는 20미터 정도이며, 줄기가 굵고 곧게 자라며 많은 가지와 무성한 잎이 있어 장대한 수형을 이룬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이다. 암수 한 그루로 5월에 갈색 단성화가 피고 열매는 견과로 10월에 익는다. 1월 평균 기온이 2℃ 이상인 지역에서만 생육이 가능하며 대흥사 주위에 거목이 있다. 실제로 전남 함평군 함평읍을 경계로 그 이남 지역에서만 자생하고 있다. 붉가시나무라는 이름은 목재의 색깔이 붉은 데서 비롯되었으며 목재가 무겁고 잘 쪼개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보존성이 좋아서 가구재, 기계재, 차량재, 선박재 등으로 이용되고 상록의 잎과 웅장한 수형이 공원수나 정자목으로 적합하다. ◆ 제재 : 북가시나무(신념과 순수를 지키고자 하는 화자의 내면 세계 표상) ◆ 화자 : 인간의 순수성을 억압하는 현실에 대한 비판적 태도와 대결의지를 보임. ◆ 주제 : 부정한 현실 속에서 신념과 순수성을 지키려는 의지 [시상의 흐름(짜임)] ◆ 1연 : 현실의 횡포에 상처 입은 영혼 ◆ 2연 : 이상을 향한 꿈과 지친 영혼의 위로 ◆ 3연 : 현실의 횡포에 시달리고 고통 받는 영혼 ◆ 4연 : 순수한 영혼을 위협하는 세력에 대한 저항 ◆ 5연 : 아름다운 시에 대한 기대와 순수한 영혼의 고독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이 시는 부정적 이념들이 난무하는 현실에서 살아가는 시적 화자가 폭력적 현실에 항거하고 참다운 자유와 사랑이 담긴 시를 쓰고자 하는 순수한 결의를 노래한 작품이다. 1~2연에서 시적 화자인 '북가시나무'는 부조리한 현실 속에서 자유로운 하늘을 지향한다. 북가시나무는 난립한 이념에 의해 엿장수가 제멋대로 가위질하듯 온 몸통을 난도질당하여 가지도 잎도 없는 상처투성이의 고독한 존재가 되었다. 3연에서는 시적 화자의 상황을 제시하고 있다. 북가시나무가 있는 곳은 수많은 차량이 매연을 내뿜는 국도변으로, '원치 않는 깃발과 플래카드들(이념의 난립과 갈등)'에 의해 부대끼며 살아가고 있다. 북가시나무는 이러한 부정적 공간 속에서 자신의 순수한 영혼을 지켜가고자 한다. 4~5연에서 봄기운에 의해 만물이 소생되는 가운데 북가시나무도 새싹을 틔우지만, '낫'도 역시를 생기를 띠고 자신을 위협한다. 이에 북가시나무는 알몸으로 항거한다. 온갖 위협으로부터 자신을 지키는 행위는 부정적 현실 속에서 참다운 자유와 사랑이 넘치는 삶을 담은 시를 쓰고자 하는 결의이다. 따라서 시적 화자는 몸통으로부터 뻗어나온 '잎사귀'와 '과일'을 자신의 순수한 영혼이 포함된 시라고 했던 것이다. 자신의 고독한 영혼의 순수성을 지키려는 의지를 형상화한 작품이다. 시적 자아는 이미 오래 전에 맹목적인 이념들이 난무하는 현실에 부대껴 삶이 황폐화되는 치명적인 상처를 입은 존재이다. 그런 가운데에도 지친 영혼을 위무하면서 이상세계에 대한 꿈과 신성한 존재에 대한 꿈을 꾸기도 한다. 그러나 다시 정치적 이념과 구호들이 순결한 영혼을 억압함으로써 고통에 휩싸이게 된다. 결국 시적 자아는 새로운 시대가 도래하려는 기운 속에서 더욱 기승을 부리는 불의의 세력에 대해 저항하는 삶의 방식을 택하고 있다. 그리하여 밝은 미래는 고독하고 순결한 영혼이 사랑과 생명의 시라는 열매를 거두게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 최승호 1954년 춘천에서 출생. 춘천 교육대학을 졸업하고 사북 등 강원도의 벽지 초등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1977년「비발디」로 <현대시학>지의 추천을 받고 시단에 데뷔한 그는 1982년「대설주의보」등으로 제6회 '오늘의 작가상'을 수상했으며, 이듬해 첫 시집 <대설주의보>를 간행했다. 주요 시집으로는 <고슴도치의 마을>, <진흙소를 타고>, <세속 도시의 즐거움>, <회저의 밤> 등이 있으며, 김수영 문학상, 이산문학상 등을 수상한 바 있다. 시인의 산문 동굴 속에서 동굴 밖을 본 적이 있다. 어둠과 고요뿐인 무색(無色)의 세계에서 벗어나면서 동굴 입구에 비쳐 들어오는 어슴푸레한 빛을 보았을 때, 나는 서둘러 어둠의 세계에서 빛의 세계로 나가고 싶었고, 동굴을 벗어나는 순간 내가 본 세계는, 일찍이 보지 못했던 찬란한 광명의 세계였다. 새소리와 풀섶의 향기와 빛 속에 드러난 하늘과 땅이 그렇게 나의 모든 감각을 흥분시키고 천국에나 서 있는 듯한 기쁨으로 충만한 나를 느끼기는 그것이 처음이었다. 그때 나는 생각했다. 변한 것은 세계가 아니라 바로 나 자신이라고. 사실 동굴에 들어가기 전에 있었던 세계가 눈앞에 있었던 그대로 펼쳐져 있을 뿐이었다. 그런데 동굴 체험 뒤에, 세계는 나의 눈에 완전히 다른 세계로 비쳐왔던 것이다. 우리는 흔히 세상을 개혁함으로써 보다 조화롭고 행복한 삶을 실현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현실 부정의 문학은 이 믿음 위에서 출발하여 마음에 드는 이상적인 세계를 세울 때까지 현실을 개조하려는 노력을 계속해 나갈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자아를 부정함으로써 보다 크고 참다운 나에 이르려는 '노력' 역시 문학에 필요하다고 나는 느끼고 있다. 나의 변모는 곧 세계의 변모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세계는 나를 내포하고 나는 세계를 내포하는, 모든 것이 하나라는 관점에서 나는 자아와 현실을 부정하면서 시의 길을 가고자 한다. 이 길이 나에게는 이상적인 중도(中道)로 여겨지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