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선의 문학서재






오늘:
0
어제:
0
전체:
10,614

이달의 작가

나의 침실로/이상화

2008.03.30 07:22

정문선 조회 수:78 추천:18

나의 침실로 - 이상화 - 마돈나, 지금은 밤도 모든 목거지에 다니노라, 피곤하여 돌아가련도다. 아, 너도 먼동이 트기 전으로 수밀도(水蜜桃)의 네 가슴에 이슬이 맺도록 달려 오너라. 마돈나, 오려무나. 네 집에서 눈으로 유전(遺傳)하던 진주는 다 두고 몸만 오너라. 빨리 가자. 우리는 밝음이 오면 어딘지 모르게 숨는 두 별이어라. 마돈나, 구석지고도 어둔 마음의 거리에서 나는 두려워 떨며 기다리노라. 아, 어느덧 첫닭이 울고 - 뭇 개가 짖도다. 나의 아씨여 너도 듣느냐? 마돈나, 지난 밤이 새도록 내 손수 닦아 둔 침실(寢室)로 가자 침실로! 낡은 달은 빠지려는데 내 귀가 듣는 발자국 - 오 너의 것이냐? 마돈나, 짧은 심지를 더우잡고 눈물도 없이 하소연하는 내 마음의 촛불을 봐라. 양털같은 바람결에도 질식이 되어 얕푸른 연기로 꺼지려는도다. 마돈나, 오너라. 가자. 앞산 그리매가 도깨비처럼 발도 없이 가까이 오도다. 아, 행여나 누가 볼런지 - 가슴이 뛰누나. 나의 아씨여. 너를 부른다. 마돈나, 날이 새련다. 빨리 오려무나. 사원(寺院)의 쇠북이 우리를 비웃기 전에 네 손이 내 목을 안아라. 우리도 이 밤과 같이 오랜 나라로 가고 말자. 마돈나, 뉘우침과 두려움의 외나무 다리 건너 있는 내 침실, 열 이도 없느니 아, 바람이 불도다. 그와 같이 가볍게 오려무나. 나의 아씨여, 네가 오느냐? 마돈나, 가엾어라. 나는 미치고 말았는가. 없는 소리를 내 귀가 들음은 - 내 몸에 피란 피 - 가슴의 샘이 말라 버린 듯 마음과 몸이 타려는도다. 마돈나, 언젠들 안 갈 수 있으랴. 갈 테면 우리가 가자. 끄을려 가지 말고 너는 내 말을 믿는 마리아 - 내 침실이 부활(復活)의 동굴(洞窟)임을 네야 알련만…. 마돈나, 밤이 주는 꿈, 우리가 얽는 꿈, 사람이 안고 궁구는 목숨의 꿈이 다르지 않느니. 아, 어린애 가슴처럼 세월 모르는 나의 침실로 가자. 아름답고 오랜 거기로. 마돈나, 별들의 웃음도 흐려지려 하고 어둔 밤 물결도 잦아지려는도다. 아, 안개가 사라지기 전으로 네가 와야지. 나의 아씨여, 너를 부른다. - <백조3호>(1923) - 해 설 [ 개관 정리 ] ◆ 성격 : 낭만적, 감상적, 퇴폐적, 현실도피적 ◆ 표현 : ㉠ 각 연 2행 구성. ㉡ 긴 호흡의 반복적 구문 ㉢ 두운적 요소 ◆ 중요 시어 및 시구의 의미 * 마돈나 ― 구원의 여인상. 마음을 같이할 수 있는 있는 진실한 동반자 * 침실 ― 죽음의 세계, 영원한 안식처, 모든 이상이 담긴 도피처 뉘우침과 두려움의 결단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외나무다리 저편의 꿈과 부활의 동굴. 절망적인 상황으로 인해 피폐해진 정신에 안식과 활력을 주는 재생의 장소 ◆ 주제 ⇒ 아름답고 영원한 안식처에 대한 갈망 [ 시상의 흐름(짜임) ] ◆ 1연 : 마돈나와의 만남 갈구 ◆ 2연 : 밤이 가기 전 마돈나와의 만남을 갈구 ◆ 3연 : 불안 속에서의 기다림 ◆ 4연 : 안식처로의 지향과 환청 ◆ 5연 : 초조하고 연약해진 마음 ◆ 6연 : 고조되는 불안 속에서의 기다림 ◆ 7연 : 초조하고 급박한 상황 제시 ◆ 8연 : 안식처에 들어가기 위한 애타는 기다림 ◆ 9연 : 기다림에 지친 정신과 육체 ◆ 10연 : 부활의 동굴로서의 침실 ◆ 11연 : 아름답고 영원한 침실로의 지향 ◆ 12연 : 마지막으로 갈구하는 구원의 대상 [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 이 시는 1923년에 발표된 작품으로, 시인의 초기 시경향(퇴폐적이고 감상적인 낭만주의)에 잘 어울리는 대표작이다. 사랑과 죽음, 곧 에로스(eros)와 타나토스(thanatos)가 하나로 어울려 주제를 이룬 작품이다. 죽음을 계기로 한 사랑의 재생을 노래하고 있어, 결국 사랑과 죽음과 재생의 세 관념이 엇갈려 이루는 높은 긴장도에서 이 작품의 극적 상황이 마련된다. 어둠, 피안에 까지 삶을 넓혀 체험하려는 곳에서 낭만파 초기의 성향을 엿볼 수 있다. 마돈나는 분명치는 않으나, 3·1운동 직후 피폐했던 시대상황 속에서의 지식인들의 절망, 좌절과 연관지어 볼 때, '정신적으로 피폐해진 자기 구원의 대상'임에 틀림이 없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긴장과 불안, 안타까움은 고조되고, 끝내 마돈나는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이 시를 감상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가 바로 시적자아가 간절히 가기를 원했던 '침실'이라는 공간이 지닌 의미이다. 침실에 대해 본문에서는 '오랜 나라', '뉘우침과 두려움의 외나무 다리 건너에 있는 곳', '언젠들 안 갈 수 없는 곳' , '부활의 동굴' , '아름답고 오랜 거기'로 표현해 주고 있다. 그곳은 한마디로 죽음의 세계, 영원한 안식의 세계이다. 하지만 시인이 노래한 죽음은 생명의 종말로서의 단순한 죽음은 아니었다. 오히려 죽음을 한없이 아름답고 자유로우며 영원한 삶이라고 생각하였다. 이렇게 생각한 것은 그들이 당시의 상황에서 자신들의 젊은 정열과 현실의 암담함 사이에 놓인 큰 거리감을 절망적으로느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죽음의 예찬은 곧 추악하고 괴로운 현실을 부정하려는 의식의 산물이며, 순수하고 자유로우며 아름다운 삶의 세계를 향한 간절한 염원의 역설적 표현으로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그러나 그의 간절한 부름에도 마돈나는 오지 못하며, 죽음은 실제로 이루어 질 수 없다. 그것은 마돈나는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이상의 여인이고, 죽음은 현실적으로 삶의 종말이자 모든 문제의 포기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