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선의 문학서재






오늘:
0
어제:
0
전체:
10,614

이달의 작가

겨울 나무로 부터 봄 나무에로/황지우

2008.03.28 00:52

정문선 조회 수:153 추천:19

겨울 나무로부터 봄 나무에로 - 황지우 - 나무는 자기 몸으로 나무이다. 자기 온몸으로 나무는 나무가 된다. 자기 온몸으로 헐벗고 영하 십삼 도 영하 이십 도 지상에 온몸을 뿌리박고 대가리 쳐들고 무방비의 나목(裸木)으로 서서 두 손 올리고 벌 받는 자세로 서서 아 벌 받은 몸으로, 벌 받는 목숨으로 기립하여, 그러나 이게 아닌데 이게 아닌데 온 혼으로 애타면서 속으로 몸 속으로 불타면서 버티면서 거부하면서 영하에서 영상으로 영상 오 도 영상 십삼 도 지상으로 밀고 간다, 막 밀고 올라간다 온몸이 으스러지도록 으스러지도록 부르터지면서 터지면서 자기의 뜨거운 혀로 싹을 내밀고 천천히, 서서히, 문득, 푸른 잎이 되고 푸르른 사월 하늘 들이받으면서 나무는 자기의 온몸으로 나무가 된다. 아아, 마침내, 끝끝내 꽃피는 나무는 자기 몸으로 꽃피는 나무이다. - <겨울-나무로부터 봄-나무에로>(민음사, 1985) 해 설 [개관 정리] ◆ 특성 : 상징적, 대립적 시어로 시대 현실을 대변함. 계절의 순환이라는 자연 현상을 통해 주제를 형상화함. ◆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나무 → '고난 받는 자'를 상징, 강인한 생명력과 굳은 의지를 가진 존재 상징 * 자기 온몸으로 나무는 나무가 된다. → 자신의 모든 것을 바쳐 자신이 되고자 생명력을 실현함. * 자기 온몸으로 헐벗고 영하 십삼 도 / 영하 이십 도 지상에 → 나무가 처한 겨울이라는 고난과 시련의 냉혹한 현실 상황을 나타냄. * 온몸을 뿌리박고 대가리 쳐들고 → 겨울을 온몸으로 이겨내면서도 무언가를 간절히 바라고 있는 듯한 모습 * 무방비의 나목 → 겨울나무의 은유. 시련을 겪으면서도 아무 것으로부터도 보호받을 수 없는 상태 * 두 손 올리고 벌 받는 자세로 서서 → 시련과 고난을 인내하고 버티는 모습 * 이게 아닌데 이게 아닌데 → 작용에 대한 반작용의 생성 냉혹한 현실에 대한 문제의식의 형성 * 버티면서 거부하면서 영하에서 → 어려움 속에서도 현실과의 대결의지를 지님. * 밀고 간다, 막 밀고 올라간다. → 상승의 이미지로, 상황의 변화를 나타냄. 힘든 현실과 대결하면서 그 결과를 겉으로 표출하려는 모습임. * 온몸이 으스러지도록 / 으스러지도록 부르터지면서 → 변화를 위해 겪는 고통의 강도 * 자기의 뜨거운 혀로 싹을 내밀고 → 마음속의 뜨거운 움직임은 외부를 변화시키게 됨. 강렬한 생명력의 발현 * 아아, 마침내, 끝끝내 → 화자의 감동과 경이로움 * 나무는 나무가 된다 → 자신의 몸이 으스러지고 부르터지면서까지 이루고자 했던 것. * 자기 몸으로 → 자율성, 주체성 * 꽃 피는 나무 → 노력의 결과, 아름답고 향기로운 성과물, 모두가 공감하고 원하는 것 나무가 자신의 모든 걸 바쳐서 투쟁한 이유이자 목적에 해당함. ◆ 화자의 태도 : 겨울에 헐벗은 나무가 겨울의 온갖 고통을 이기고 봄에 꽃을 피우기까지의 과정을 통해 나무의 강인한 생명력을 그리고 있다. 겨울이라는 부정적 현실의 시련을 이기고 봄에 꽃을 피우는 나무의 생명력과 굳은 의지를 노래함으로써, 힘든 현실에 굴복하지 않고 새로운 세계로 나아가고자 하는 강인함을 보인다. ◆ 주제 : 외적 시련을 극복한 나무의 생명력 [시상의 흐름(짜임)] ◆ 1 ~ 3행 : 나무의 자립성, 생명력 ◆ 4 ~ 9행 : 나무가 겪는 고난과 시련의 상황 ◆ 10~17행 : 생명력을 실현하기 위한 나무의 저항 ◆ 18~23행 : 생명력을 실현한 나무로 인한 감동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이 작품에서 '겨울 나무'와 '봄 나무'의 두 상태는 대립적인 두 가지의 상황을 의미한다. '겨울 나무'는 고난과 시련을 겪고 있는 상태이며, '봄 나무'는 이를 극복하고 생명력을 맺고 있는 상태이다. 화자는 '겨울 나무'로부터 '봄 나무'로의 변화를 자기가 속한 상황의 부정을 통한 변화로 파악한다. 그리고 그것을 상승의 이미지와 역동적 이미지를 사용하여 표현하고 있다. 마침내 겨울을 극복하고 봄을 쟁취하는 나무의 모습은 자기 생명력의 확인과 굳은 의지의 산물임을 제시하고 있다. 80년대를 대표하는 황지우 시인의 시세계를 염두에 본다면, 이 시에서의 겨울과 영하의 땅은 현실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겠다. 그것도 아주 고통스럽고 열악한, 모든 생명들을 죽게 만드는 고난의 현실을 상징한다. 나무라는 생명체의 삶을 억압하고 수고하는 현실을 상징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그 억압을 이기고 꽃을 피우는 나무는 역사 속의 민중이나 민중의 생명력을 상징하는 것으로 볼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