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선의 문학서재






오늘:
0
어제:
2
전체:
10,616

이달의 작가

고향/정지용

2008.03.28 03:48

정문선 조회 수:229 추천:17

고 향 - 정지용 - 고향에 고향에 돌아와도 그리던 고향은 아니러뇨. 산꿩이 알을 품고 뻐꾸기 제철에 울건만, 마음은 제고향 지니지 않고 머언 항구로 떠도는 구름 오늘도 메끝에 홀로 오르니 흰점 꽃이 인정스레 웃고, 어린 시절에 불던 풀피리 소리 아니 나고 메마른 입술에 쓰디 쓰다. 고향에 고향에 돌아와도 그리던 하늘만이 높푸르구나 - <정지용시집>(1934) - 해 설 [ 개관정리 ] ◆ 성격 : 회고적, 애상적, 감각적(시각적, 청각적) ◆ 표현 : 1연과 6연의 수미상관적 구조 대구와 반복으로 리듬감 조성 자연과 인간사의 대비 애절함과 안타까움을 느끼게 하는 탄식적 어조 ◆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고향에 고향에 돌아와도 → 반복을 통해 고향을 그리는 간절함을 효과적으로 표현함. * 1연의 이유 → 마음으로부터의 고향 상실감. * 2연 → 변함없는 고향의 이미지, 고향의 자연 * 산꿩, 뻐꾸기 →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환기하는 소재 * 마음은 제 고향 지니지 않고 / 머언 항구로 떠도는 구름 → 고향에 돌아와서도 마음으로 그리워하던 고향을 찾을 수 없어서 안주하지 못하고 방황하는 화자의 내면 심리를 표현하고 있다. 화자의 방황하는 내면의식을 은유적으로('구름') 표현한 구절임. * 머언 항구 → 낯선 타향 * 흰점 꽃이 인정스레 웃고 → 2연과 대응되며, 고향의 자연은 변함없이 아름다움을 뽐내며 화자를 반갑게 맞아주고 있음을 의인화하여 표현함. * 메마른 입술에 쓰디 쓰다 → 예전처럼 정겨운 추억이 떠오르거나 포근함이 느껴지는 게 아니라, 마음의 고향을 찾지 못해 씁쓸한 기분만 더해지는 고향 상실의 비애와 무상감을 미각적으로 표현함. * 그리던 하늘만이 높푸르구나 → 변함없는 자연의 모습은 변화무쌍한 인간사와 대조되어, 화자의 고향 상실감을 강조하는 효과를 나타냄. ◆ 주제 : 그리운 고향을 잃어 버린 자의 상실감과 비애 [ 시상의 전개(짜임) ] ◆ 1연 : 고향에 돌아와 느끼는 고향 상실감 ◆ 2연 : 변함없는 그리운 고향의 모습 ◆ 3연 : 낯설게 느껴지는 고향의 모습 ◆ 4연 : 변함없이 아름다운 고향의 모습 ◆ 5연 : 어린 시절의 고향을 상실한 비애와 무상감 ◆ 6연 : 고향 상실의 허망함. [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 전체가 6연으로 짜여져 있는 이 시는 1연과 6연이 2연에서 5연까지를 품고 있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내용은 고향을 떠나 있던 사람이 세월이 흐른 뒤에 어릴 때의 추억이 깃들어 있는 고향에 돌아왔지만 이미 그 자신의 추억 속에 잠겨있는 그 '고향'은 현실 속에서 찾아볼 수 없어서 서정적인 비애감에 사로잡혀 있다. 어쩌면 고향 자체는 변하지 않았는지도 모른다. 다만 고향의 모습은 그대로인데 시적 화자의 영혼과 정서가 그것을 예전 그대로 수용하지 못할 뿐인지도. 성장과정에서 더 큰 세계에 대한 경험과 역사의 뼈아픈 상처 등이 어린 시절 고향에 대해 가졌던 포근함과 정겨움을 앗아 갔을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자연은 불변적 · 영속적 속성을 지니고 있으며, 사람의 마음은 유동적이며 단절적 속성을 지니고 있다는 판단이 가능한 것이다. 흔히 인생무상의 정서를 제시할 때 쓰는 수법이 무한한 자연과 유한한 인간사를 대조시키는 것인데, 이 시에서도 그러한 방법을 사용하여 고향 상실의 허무감을 강조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시대상황과 연관지어 볼 때, 일제 강점하에서 많은 지식인들이 느꼈던 '고향 상실 의식'과 관련지어 볼 수도 있다. 일제가 짓밟아 버린 조국에서는 모든 것이 낯설게만 느껴지고 시적 화자는 그저 나그네로만 여겨지는 뿌리깊은 비관적 현실인식과 상실의식이 짙게 드러나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