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선의 문학서재






오늘:
0
어제:
2
전체:
10,614

이달의 작가

구두/송찬호

2008.03.28 04:03

정문선 조회 수:218 추천:22

구 두 - 송찬호 - 나는 새장을 하나 샀다. 그것은 가죽으로 만든 것이다. 날뛰는 내 발을 집어넣기 위해 만든 작은 감옥이었던 것. 처음 그것은 발에 너무 컸다. 한동안 덜그럭거리는 감옥을 끌고 다녀야 했으니 감옥은 작아져야 한다. 새가 날 때 구두를 감추듯. 새장에 모자나 구름을 집어넣어 본다. 그러나 그들은 언덕을 잊고 보리 이랑을 세지 않으며 날지 않는다. 새장에는 조그만 먹이통과 구멍이 있다. 그것이 새장을 아름답게 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나는 오늘 새 구두를 샀다. 그것은 구름 위에 올려져 있다. 내 구두는 아직 물에 젖지 않은 한 척의 배. 한때는 속박이었고 또 한때는 제멋대로였던 삶의 한켠에서 나는 가끔씩 늙고 고집 센 내 발을 위로하는 것이다. 오래 쓰다 버린 낡은 목욕통 같은 구두를 벗고 새의 육체 속에 발을 집어넣어 보는 것이다. - <10년 동안의 빈 의자>(1994) - 해 설 [개관 정리] ◆ 성격 : 비유적, 상징적, 주지적 ◆ 표현 : 대조적 이미지를 통해 화자(현대인)의 삶의 태도를 잘 보여줌. 상징적이고 비유적인 시어로 주제를 전달함. 소박한 일상어들을 유사성의 원리에 따라 은유적으로 연결함. 이미지의 자유로운 연상에 의한 시상 전개 ◆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새장, 작은 감옥 → 속박, 구속, 굴레, 억압, 지상의 이미지(현실과 관련) * 모자나 구름 → 자유를 향한 소망과 꿈 * 언덕을 잊고 보리 이랑을 세지 않으며 날지 않는다. → 현실의 구속적인 삶에 안주하며 자유와 이상을 꿈꾸지 않으려는 모습 * 조그만 먹이통과 구멍 → 생계를 유지하는 최소한의 조건으로, 지상에서의 삶을 유혹하는 대상임. 현실의 편안함과 달콤함을 의미함. * 새 구두 = 한 척의 배 → 오늘 산 '새 구두'는 '구름과 배'처럼 자유롭게 어디로든 갈 수 있다는 의미임. * 한때는 속박이었고 또 한때는 제멋대로였던 삶 → 삶의 이중성 = 구두의 이중성 * 늙고 고집 센 내 발 → 낡은 구두를 신은 채 살아온 화자 자신을 가리킴. * 새의 육체 → 새 구두로, 화자의 발을 '새(자유로운 존재)'로 만들어 줌. * 새의 육체 속에 발을 집어넣어 보는 것이다. → 자유와 이상을 향해 비상하고자 하는 꿈과 의지를 나타냄. ◆ 제재 : '구두'의 이중성(낡은 구두 → 새장, 감옥, 낡은 목욕통. 일상의 속박과 구속, 지상의 이미지 새 구두 → 배, 새의 육체. 일상으로부터의 일탈과 자유, 천상의 이미지 ) ◆ 주제 : 구속과 안일함의 삶을 거부하고 자유와 이상을 향해 비상하려는 의지 [시상의 흐름(짜임)] ◆ 1연 : 구두를 삼.(구속, 억압, 속박, 굴레의 이미지) ◆ 2연 : 땅(현실)에서 발을 떼지 못하게 하는 구두 ◆ 3연 : 현실의 삶에 안주하려 모습 ◆ 4연 : 새 구두를 삼.(자유와 일탈의 이미지) ◆ 5연 : 자유를 향해 비상하려는 꿈과 의지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1. 이 시는 가죽 구두를 새장에 비유하여, 자유로운 비상에의 꿈을 노래하고 있는 작품이다. 어떤 의미에서 가죽 구두는 지상적인 삶에 억매여 지내는 현대인의 처지를 상징적으로 보여 준다고도 할 수 있다. 새장에 갇혀 지내는 새의 모습처럼 여러 가지 현실적인 문제 때문에 자유롭게 비상하지 못하고 얽매여 지내는 현대인의 모습을 나타낸다. 그러나 시인은 상상력을 발휘하여 새 구두를 구름 위에 올려 놓는다. 가뿐하게 지상을 벗어나 비상하고 싶은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이 작품은 지상에 놓여 지낼 수 밖에 없는 구두로부터 현대인의 초상을 읽어 내고, 또 자유롭게 비상하고 싶어하는 현대인의 욕망을 나타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한 단어가 가진 의미가 역동적으로 변주되고 있으며, 비유와 상징을 통해 대상의 이미지를 구체화시키고 있다. 또한 소박한 일상어들이 유사성의 원리에 의해 은유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대조적인 이미지를 통해 현실에 얽매인 현대인의 모습을 잘 보여 주고 있다. 현실의 굴레로부터 벗어나려고 몸부림치는 현대인의 모습이 떠오른다. 2. 이 시는 구두를 제재로 하여, 의미의 흐름을 드러내기보다는 자유로운 연상에 의해 이미지의 확산을 보여주고 있다. 지금까지 신은 헌 구두는 '현재까지 살아온 속박된 삶'을 의미하고, 새로 마련한 새 구두는 '미래의 삶에 대한 조그만 희망이자 위로'를 의미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내용이 전개됨에 따라 구두의 이미지가 다양하게 변주되는데, 1연에서의 가죽 구두를 화자는 '새장'에 비유하고 있다. 그리고 그 새장은 이러저러한 삶의 구속과 제약에 구속받고 있는 현대인의 일상을 상징하고 있다. 새가 새장이라는 공간적 한계에 구속받고 있듯이 현대인들은 자유로운 비상이나 현실에서의 탈출을 꿈꾸지 못한 채 지상의 삶이 끌어당기는 중력의 포로가 되고 만 것이다. 그런데 시인은 새로 산 구두를 구름 위에 올려 놓는다. 그리고 이러한 행위는 '새의 육체' 속에 발을 집어 넣고 싶은 욕구를 낳는다. 지상과 대비되는 자유로운 공간으로 비상하려고 한다. 이런 맥락에서 이 작품은 지상에 놓여 지낼 수밖에 없는 '구두'로부터의 현대인의 초상을 읽어내고, 또 자유롭게 비상하고 싶은 현대인의 욕망을 읽어낼 수 있다. ● 송찬호(宋粲鎬, 1959 ~ ) 시인. 충북 보은 출생. 경북대 독문과 졸업. 1987년 「우리 시대의 문학」으로 등단. 시집 『흙은 사각형의 기억을 갖고 있다』(1984), 『10년 동안의 빈 의자』(1994), 『붉은 눈, 동백』(2000) 등 세 권의 시집이 있으며, 2000년에 ‘김수영문학상’과 ‘동서문학상’을 수상하였다. 그의 첫 번째 시집은 시적 구원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삼아 언어를 ‘존재의 집’으로 바라보는 인식이 중심을 이룬다면, 두 번째 시집은 그런 언어의 한계에 대한 구체적인 자각과 도전을 보여 준다. 그에 비해 세 번째 시집 『붉은 눈, 동백』은 ‘존재의 탐구’라는 형이상학적 시론(첫 번째 시집)과 ‘형식주의 미학’(두 번째 시집) 사이의 심도 있는 조화를 꾀했다는 평을 듣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