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선의 문학서재






오늘:
0
어제:
0
전체:
10,612

이달의 작가

국수/백석

2008.03.28 07:53

정문선 조회 수:340 추천:19

국 수 - 백 석 - 눈이 많이 와서 산엣새가 벌로 나려 멕이고 눈구덩이에 토끼가 더러 빠지기도 하면 마을에는 그 무슨 반가운 것이 오는가보다. 한가한 애동들은 어둡도록 꿩 사냥을 하고 가난한 엄매는 밤중에 김치가재미로 가고 마을을 구수한 즐거움에 사서 은근하니 흥성흥성 들뜨게 하며 이것은 오는 것이다. 이것은 어늬 양지귀 혹은 능달쪽 외따른 산 옆 은댕이 예데가리밭에서 하로밤 뽀오얀 흰김 속에 접시귀 소기름불이 뿌우현 부엌에 산멍에 같은 분틀을 타고 오는 것이다. 이것은 아득한 옛날 한가하고 즐겁든 세월로부터 실 같은 봄비 속을 타는 듯한 녀름 속을 지나서 들쿠레한 구시월 갈바람 속을 지나서 대대로 나며 죽으며 죽으며 나며 하는 이 마을 사람들의 으젓한 마음을 지나서 텁텁한 꿈을 지나서 지붕에 마당에 우물 둔덩에 함박눈이 푹푹 쌓이는 여늬 하로밤 아배 앞에 그 어린 아들 앞에 아배 앞에는 왕사발에 아들 앞에는 새끼사발에 그득히 사리워 오는 것이다. 이것은 그 곰의 잔등에 업혀서 길여났다는 먼 옛적 큰마니가 또 그 집등색이에 서서 자채기를 하면 산넘엣 마을까지 들렸다는 먼 옛적 큰아바지가 오는 것같이 오는 것이다. 아, 이 반가운 것은 무엇인가 이 희수무레하고 부드럽고 수수하고 슴슴한 것은 무엇인가 겨울밤 쩡하니 닉은 동티미국을 좋아하고 얼얼한 댕추가루를 좋아하고 싱싱한 산꿩의 고기를 좋아하고 그리고 담배 내음새 탄수 내음새 또 수육을 삶는 육수국 내음새 자욱한 더북한 삿방 쩔쩔 끓는 아르궅을 좋아하는 이것은 무엇인가 이 조용한 마을과 이 마을의 으젓한 사람들과 살틀하니 친한 것은 무엇인가 이 그지없이 고담(枯淡)하고 소박한 것은 무엇인가. - <문장>(1941. 4) - 해 설 [개관 정리] ◆ 성격 : 회고적, 토속적, 서정적, 감각적 ◆ 표현 : 과거지향적 정서(공동체적 삶으로의 회귀에 대한 향수) 눈을 매개체로 하여 풍성한 고향의 옛 모습을 회상함. 농촌 공동체의 옛 모습을 감각적 이미지로 형상화하여 열거함. 평안도 방언을 구사하여 토속적이고 향토적인 정감을 형성함. 지시어와 의문형의 사용(의미의 강조, 다양한 의미 함축) 시상 전개(흥겨운 분위기 → 국수 만드는 과정 → 전통과 문화의 확인) ◆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그 무슨 반가운 것 → 국수 * 김치가재미 → 겨울철 김치를 묻은 다음 얼지 않도록 그 위에 수수깡과 볏짚단으로 나무를 받쳐 튼튼하게 보호해 놓은 움막. 넓은 뜻으로는 김칫독 묻어두는 곳(김치 창고). * 멕이고 → 활발히 움직이고 * 양지귀 → 양지바른 가장자리 * 은댕이 → 언저리 * 예대가리밭 → 산의 맨 꼭대기에 있는 오래된 비탈밭 * 산멍에 → 전설상의 커다란 뱀. '이무기'의 평안도 방언 * 분틀 → 국수 뽑아내는 틀 * 큰마니 → 할머니의 평안도 방언 * 집등색이 → 짚등석. 짚이나 칡덩쿨로 짜서 만든 자리 * 자채기 → 재채기 * 이것은 그 곰의 ~ 큰아바지가 오는 것같이 오는 것이다. → 설화적 분위기로 그려냄. 국수를 만들어먹는 '오랜 전통'을 강조하고자 함. * 희수무레하고 부드럽고 수수하고 슴슴한 것 → 국수의 맛 = 우리 민족성의 맛 * 댕추가루 → 고추가루 * 사리워 → 담겨져서 * 탄수 → 식초 * 삿방 → 삿(갈대를 엮어서 만든 자리)를 깐 방 * 아르궅 → 아랫목 * 고담하고 → 속되지 않고 아취가 있는(화려하지 않으나 고급스러운) ◆ 제재 : 국수(화자가 추구하는 대상으로, 일제에 짓밟히기 전 우리 민족의 본래적인 삶과 민족성) ◆ 주제 : 눈 오는 날 국수를 만들어 먹던 고향 마을의 정겨움에 대한 추억과 회상 [시상의 흐름(짜임)] ◆ 1연 : 농촌 공동체 생활 속에서 국수를 만들어 먹음(흥겨운 분위기 + 전통의 확인) ◆ 2연 : 국수에 곁들여 먹는 음식과 맛 ◆ 3연 : 국수를 함께 만들어 먹는 마을 사람들의 심성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구수한 향토적 정감이 물씬 풍겨나오는 시이다. 눈이 많이 내린 겨울밤에 국수 만드는 일로 들떠 있는 마을 사람들의 정겨움과 서로 돕고 서로 어울리는 공동체적 삶이 따스하게 느껴진다. 특히 국수를 만드는 재료인 메밀이 익어가는 과정을 계절별로 드러낸 부분(실같은 봄비 속을 타는 듯한 ~ 함박눈이 푹푹 쌓이는)도 독특하지만, 국수가 우리의 정서에 맞는 전통 음식임을 드러낸 부분(이것은 아득한 옛날 한가하고 즐겁든 세월로부터, 아베 앞에 그 어린 아들 앞에 ~ 사리워 오는 것이다)도 인상적이다. 이 시에서는 국수를 해 먹는 사람들의 모습을 통해 가난하지만 소박하게 살아가는 우리 민중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백석의 시는 공동체적 삶에의 회귀, 향수와 같은 과거 지향이 주를 이룬다. 그가 평안도 사투리를 질박하게 쓰고, 말투 또한 생활어를 그대로 차용한 것도 이런 과거 지향 의식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낡고 오래된 것들에의 그리움은 자연히 애련한 정서를 불러오고, 온전한 사람에의 복구를 염원하는 사회적 성격도 개입하게 된다. 이른 바 서술시에는 지나친 사회 의식의 발로로 구호 차원의 주제 진술이 두드러진다. 사회 의식적 시를 쓴 동시대의 부류 중 백석과 이용악이 돋보이는 것은, 그런 서정적 힘을 동반한 가운데 주제 의식이 부각되기 때문이다. 백석의 시에는 백여 가지 음식물 이름이 등장하며 그는 특히 음식물이라는 소재에 집착을 보인 시인이라고 할 수 있다. 백석의 시에서 음식물은 단순히 허기를 때우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나름의 특수한 시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그의 시에서 음식물은 민족과 민족성 그 자체를 의미한다. 백석이 전 국토를 유랑하면서 음식물에 그토록 집착한 이유는 바로 이런 데 있다. 국수를 먹으면서 어린 시절 국수와 얽힌 추억들을 통해 우리의 본래적인 삶을 상기하고 그것을 좋아하는 습성이 바로 우리의 민족성이라는 것을 발견하는 시이다. 음식이란 단순히 식욕을 채우는 기능만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민족마다 문화의 독특한 영역을 차지하면서 그 음식물을 먹는 사람들의 체질이나 성격을 결정짓기도 한다. 이 시에서 화자가 국수를 통해 어릴적 토끼 사냥, 꿩 사냥하는 추억, 겨울밤 쩡쩡 얼은 동치미 국물 마시던 추억을 되살려낼 수 있는 것은 음식물이 한 개인 내지 집안, 나아가서는 민족의 동질성을 결정짓기도 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런 점에서 음식물은 경우에 따라 성스러운 것이 될 수도 있다. 이 시에서 화자가 국수를 먹으면서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반복하고 정의를 부여하지 못하고 있는 것도 그 때문이다. 화자는 이 시에서 객지를 유랑하다가 국수를 통해 자기 몸 속에 흐르는 핏줄을 확인하고 현재의 삶과 상실된 과거의 민족적 삶을 대비시켜 역설적으로 식민지 삶을 환기시키고 있다. ■ 맥락읽기 1. 특유의 사투리들이 주는 효과는? 정겹다, 향토적, 토속적 2. 이 시 속에 나타난 계절은? 겨울 3. 마을의 분위기는 어떠한가? 은근히 흥성흥성 들떠 있다. 4. 무엇이 마을의 분위기를 들뜨게 하고 있을까? 시 속에 나오는 '이것'은 무엇일까? 국수 5. 국수를 반갑고 친밀하고 고담하고 소박한 것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그러면 국수의 구체적인 이미지를 보여주는 시어를 한번 찾아보자. 하로밤 뽀오얀 입김 속에서 산멍에 같은 분틀을 타고 온다. 왕사발, 새끼사발에 그득히 사리워 오는 것. 이 히수무레하고 부드럽고 수수하고 슴슴한 것 6. 눈내린 겨울철의 산골 조그만 마을이 뜻밖에도 분주하고 흥성스러운 이유를 알겠다. 뭘 하느라 이리 들떠 있는가? 꿩사냥, 국수 만드는 일, 국수를 만들어 먹는 즐거움 때문에 7. 국수를 만드는 재료인 메밀이 익어가는 과정을 계절별로 나타낸 부분을 찾으면? 실같은 봄비 속을 ~ 갈 바람을 지나서 8. 12행~15행(이것은 아득한 옛날 ~ 텁텁한 꿈을 지나서), 19행~21행(이것은 그 곰의 잔등에 ~ 큰 아버지가 오는 것같이 오는 것이다)에서 느껴지는 분위기는? 설화적 분위기로 이 국수를 만들어 먹는 일이 오랜 전통을 가진 것으로 느껴지고 국수에 대한 친밀감을 더욱 강화시켜 준다. 9. 국수 만들어 먹는 일 하나로 마을 전체가 들떠 있다는 것은, 평소 이 마을 주민들의 삶의 모습이 어떠함을 말해주는가? 서로 돕고 어울리는 공동체적 삶의 모습을 짐작하게 해준다. (아마도 마을 아이들이 낮 동안 잡은 꿩고기를 장만하며 이웃집 부인네들이 부엌에서 함께 국수를 누를 것이고 남정네들은 또 한 방을 차지하고 앉았고 노인네들이 또 한 방을 차지하고 있을 것이다.) 10. 국수와 곁들여 먹는 것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동티미국, 댕추가루, 산꿩고기 11. 긴 겨울밤 밤참으로 먹는 국수의 맛은 어떨까? 참 맛있지! ■ 더 읽을거리 : 백석의 시 연구 -유재천- (1930년대 민족문학의 인식) 백석의 시에는 백여 가지 음식물 이름이 등장하며 그는 특히 음식물이라는 소재에 집착을 보인 시인이라고 할 수 있다. 백석의 시에서 음식물은 단순히 허기를 때우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나름의 특수한 시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그의 시에서 음식물은 민족과 민족성 그 자체를 의미한다. 백석이 전 국토를 유랑하면서 음식물에 그토록 집착한 이유는 바로 이런 데 있다. 아, 이 반가운 것은 무엇인가 이 히수무레하고 부드럽고 수수하고 슴슴한 것은 무엇인가 겨울밤 쩡하니 닉은 동티미국을 좋아하고 얼얼한 댕추가루를 좋아하고 싱싱한 산꿩의 고기를 좋아하고 그리고 담배 내음새 탄수 내음새 수육을 삶는 육수국 내음새 자욱한 더북한 삿방 쩔쩔 끓는 아르궅을 좋아하는 이것은 무엇인가. 이 조용한 마을과 이 마을의 으젓한 사람들과 살틀하니 친한 것은 무엇인가 이 그지없이 고담하고 소박한 것은 무엇인가 <국수 일부> 국수를 먹으면서 어린 시절 국수와 얽힌 추억들을 통해 우리의 본래적인 삶을 상기하고 그것을 좋아하는 습성이 바로 우리의 민족성이라는 것을 발견하는 시이다. 음식이란 단순히 식욕을 채우는 기능만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민족마다 문화의 독특한 영역을 차지하면서 그 음식물을 먹는 사람들의 체질이나 성격을 결정짓기도 한다. 이 시에서 화자가 국수를 통해 어릴 적 토끼 사냥, 꿩 사냥하던 추억, 겨울밤 쩡쩡 얼은 동치미 국물을 마시던 추억을 되살려낼 수 있는 것은 음식물이 한 개인 내지 집안, 나아가서는 민족의 동질성을 결정짓기도 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런 점에서 음식물은 경우에 따라 성스러운 것이 될 수도 있다. 이 시에서 화자가 국수를 먹으면서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반복하고 정의를 부여하지 못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화자는 이 시에서 객지를 유랑하다가 국수를 통해 자기 몸 속에 흐르는 핏줄을 확인하고 현재의 삶과 상실된 과거의 민족적 삶을 대비시켜 역설적으로 식민지 삶을 환기시키고 있다. 명태 창란젓에 고추무거리에 막칼질한 무이를 뷔벼 익힌 것을 이 투박한 북관을 한없이 끼밀고 있노라면 쓸쓸하니 무릎은 꿇어진다. 시큼한 배척한 퀴퀴한 이 내음새 속에 나는 그느슥히 여진의 살내음새를 맡는다. 얼근한 비릿한 구릿한 이 맛 속에선 까마득히 신라백성의 향수도 맛본다. <북관> 북관 지방을 떠돌며 명태 창란젓을 먹으면서 음식 속에서 조상을 느끼고 상실된 조국을 생각하는 시이다. 여기서 음식물은 단순히 허기를 때우는 기능을 넘어 상실된 조국을 상징하는 성스러움을 지니게 된다. 따라서 화자는 창란젓을 입에 넣고 오래 오래 끼밀면서 그 맛을 음미하고 저절로 무릎을 꿇지 않을 수 없다. 음식이란 어머니가 우리에게 물려준 조상의 맛이고 문화이다. 그 속에는 대대로 물려오는 조상의 피가 섞여 있는 것이다. 조국을 상실하고 나라없는 백성으로 떠도는 사람들에게 맛은 바로 바로 조국을 의미하는 것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그는 음식 앞에 저절로 무릎을 꿇고 눈물로 그것을 음미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거리에는 모밀내가 났다. 부처를 위한다는 정갈한 노친네의 내음새 같은 모밀내가 났다. 어쩐지 향산 부처님이 가까웁다는 거린데 국수집에는 농짝같은 도야지를 잡어 걸고 국수를 치는 도야지 고기는 돗바늘 같은 털이 드믄드믄 백였다. 나는 이 털도 안 뽑은 도야지 고기를 물구러미 바라보며 또 털도 안 뽑은 고기를 시꺼먼 멘모밀국수에 얹어서 한입에 꿀꺽 삼키는 사람들을 바라보며 나는 문득 가슴에 뜨끈한 것을 느끼며 소수림왕을 생각한다 광개토대왕을 생각한다. <북신> 메밀내, 부처를 위하는 노친네의 내음새는 정갈한 성품을 의미하며 털도 안 뽑은 도야지 고기를 꿀꺽 삼키는 모습은 순박하고 야성적인 것을 말한다. 이러한 모습이 바로 우리 민중의 모습이며 <목구>의 호랑이, 곰, 소처럼 꿋꿋하지만 어질고 정 많은 우리 민족의 성품이다. 화자가 돼지고기 먹는 것을 보고 뜨끈한 것을 느끼는 이유는 겉으로 보기에 착하고 어질기만 할 것 같은 사람들의 피 속에 꿋꿋한 기질이 숨쉬고 있음을 발견하고 그것이 바로 광개토대왕이나 소수림왕 같은 지도자를 만났을 때 역경과 시련을 극복하고 외세의 침입으로부터 나라를 지켜내고 경계를 확장할 수 있었던 힘이 아닌가 생각하기 때문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4 이 사진 앞에서/ 이승하 정문선 2008.04.02 574
143 대숲아래서/나태주 정문선 2008.03.31 501
142 고고 /김종길 정문선 2008.03.28 496
141 성에꽃/ 최두석 정문선 2008.04.03 474
140 멸치/김기택 정문선 2008.03.31 453
139 우리 동네 구자명 씨/ 고정희 정문선 2008.04.02 452
138 봄/ 이성부 정문선 2008.03.31 430
137 강강수월래/김준태 정문선 2008.03.27 377
136 월명/ 박제천 정문선 2008.04.02 369
» 국수/백석 정문선 2008.03.28 340
134 월훈/ 박용래 정문선 2008.04.02 334
133 귀고/유치환 정문선 2008.03.28 323
132 손 무덤/ 박노해 정문선 2008.04.02 320
131 꽃 피는 시절/이성복 정문선 2008.03.30 318
130 압해도 8/ 노향림 정문선 2008.04.02 316
129 새/ 김지하 정문선 2008.04.03 315
128 작은 부엌 노래/ 문정희 정문선 2008.04.02 311
127 샘물이 혼자서/ 주요한 정문선 2008.04.03 308
126 우리가 눈발이라면/ 안도현 정문선 2008.04.02 298
125 도다리를 먹으며/김광규 정문선 2008.03.31 2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