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선의 문학서재






오늘:
0
어제:
0
전체:
10,612

이달의 작가

새/ 김지하

2008.04.03 00:52

정문선 조회 수:315 추천:57

새 - 김지하 - 저 청청한 하늘 저 흰 구름 저 눈부신 산맥 왜 날 울리나 날으는 새여 묶인 이 가슴 밤새워 물어 뜯어도 닿지 앟는 밑바닥 마지막 살의 그리움이여. 피만이 흐르네 더운 여름날의 썩은 피 땅을 기는 육신이 너를 우러러 낮이면 낮 그여 한번은 울 줄 아는 이 서러운 눈도 아예 시뻘건 몸뚱어리 몸부림 함께 함께 답새라. 아 끝없이 새하얀 사슬 소리여 새여 죽어 너 되는 날의 길고 아득함이여. 낮이 밝을수록 침침해가는 넋 속의 저 짧은 여위어가는 저 짧은 볕발을 스쳐 떠나가는 새 청청한 하늘 끝 푸르른 저 산맥 너머 떠나가는 새 왜 날 울리나 덧없는 가없는 저 구름 아아 묶인 이 가슴 - <>- 해 설 [개관 정리] ◆ 성격 : 서정적, 참여적, 영탄적 ◆ 표현 : 1연과 5연의 수미상관식 구성 선명한 이미지의 대조를 통한 주제의 강조[푸름(자유,생명) ↔ 붉음(억압,고통,죽음)] ◆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청청한 하늘, 흰 구름, 눈부신 산맥 → 화자의 처지와 대조되는 자연의 이미지 * 왜 날 울리나 → 자연과는 달리 자유롭지 못한 자신의 처지에 대한 슬픔의 탄식 * 날으는 새, 묶인 이 가슴 → 새와 화자의 대조적 상황(자유의 새와 구속된 '나') * 밤새워 물어 뜯어도 → 자유를 갈망하는 행위 * 닿지 않는 밑바닥 마지막 살의 그리움 → 얻을 수 없는 '자유'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 * 피만이 흐르네 → 자유를 갈망하는 열정만 가득함. * 썩은 피 → 자유를 쟁취하지 못하는 무기력한 열정과 갈망 * 땅을 기는 육신 → 화자 자신 * 너 → 새, 의인화 * 울 줄 아는 이 서러운 눈 → 아직은 자유로운 것을 동경할 수 있는 눈 * 시뻘건 몸뚱어리 몸부림 → 속박당한 화자의 몸 * 함께 답새라. → (새와 함께) 하고 싶구나. (새처럼 함께) 자유로워지고 싶구나. (함께) 두들겨 없애 버리고 싶구나. (참고. 북한말) : 눈을 없애 버리고 싶은 이유는 자유로운 새를 볼 수 있는 눈으로 인해 더욱 고통스럽기 때문일 것이다. * 아 끝없이 새하얀 사슬 소리여 → 억압과 속박을 상징하는 쇠사슬 소리(고통을 야기하는 소리) * 죽어 너 되는 날의 길고 아득함이여 → 죽어서라도 새처럼 자유롭게 되기가 쉽지 않음을 탄식하는 말 * 낮이 밝을수록 침침해가는 → 낮임에도 의식은 점점 희미해져가는 상태 * 여위어가는 저 짧은 볕발을 스쳐 → 의식이 희미해짐에 따라 햇빛 또한 가물가물해지는 모습 * 볕발 → 창살 사이로 쏟아져 들어오는 햇살 * 떠나가는 새 → 화자의 의식 속에서(시야 속에서) 멀어져가는 새의 모습 * 청청한 하늘 끝, 푸르른 저 산맥 → 화자가 꿈꾸는 자유로운 세상의 이미지 ◆ 제재 : 새 ◆ 주제 : 억압적 현실에의 절망과 자유에의 갈망 [시상의 흐름(짜임)] ◆ 1연 : 자유로운 세상을 갈망하는 억압당한 화자의 모습 ◆ 2연 : 자유에 대한 그리움과 화자의 무기력함. ◆ 3연 : 억압적 현실 상황에 대한 절망 ◆ 4연 : 화자의 의식 속에서 멀어져가는 새의 모습 ◆ 5연 : 멀리 떠나가는 새를 보며 절망하는 화자의 모습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이 작품은 김지하 시인이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수감되었을 때 쓴 시다. 이 시에서는 살이 푹푹 썩어가는 더운 여름날, 감옥 창살 밖 푸른 하늘 흰 구름 사이로 날아가는 새를 부러운 눈으로 바라보며 시인이 느껴야했던 육체적 괴로움과 암울한 심리가 가슴 아프게 잘 드러나고 있다. 1연에서 화자는 청청한 하늘, 하얀 구름, 햇빛을 받아 눈부시게 빛나는 산맥 너머로 날아가는 새를 발견한다. 그리곤 억압당한 화자 자신의 모습과 달리 너무나 자유로이 날아가는 새에게 '왜 날 울리나'며 절규한다. 2연에서 화자는 낮에 본 새의 자유로움을 너무나 갈망한 나머지 밤을 새워 자유로움을 꿈꾸어 보지만 현실적으로 그것은 불가능한 일임을 인식한다. 단지 화자는 자유로움을 갈망하는 자신의 뜨거운 피만 느낄 수 있을 뿐이다. 3연에서 화자는 눈물 젖은 눈으로 날아가는 새를 보면서 (새와 함께 하고 싶은 / 새처럼 자유롭고 싶은 / 시뻘건 몸뚱아리와 함께 눈을 없애 버리고 싶은) 마음이다. 하지만 고통의 쇠사슬 소리만 들으며 자유로운 새가 될 날은 너무나 멀고 아득한 현실 앞에 절규한다. 4연에서 화자는 햇빛을 받으며 아스라이 사라져 가는 새를 눈물어린 눈으로 희미하게 쳐다만 볼 뿐이다. 5연에서 화자는 자유로이 날아가는 새를 보며 '아아 묶인 이 가슴'이라는 절망적 탄식으로 시를 끝내고 있다. 이 부분은 1연의 변형적 반복(수미상관)으로 억압된 상황 아래에서 시적 화자가 겪는 고통과 절망을 독자에게 강렬하게 각인시키고 있다. 한편 이 시가 의미하는 바를 시인의 시집 <황토>의 후기에서 밝힌 다음 말에서도 어느 정도 짐작해 볼 수 있다. "우리들의 의식은 가위눌려 있다. 반은 잠들고 반은 깨인 채, 외치려 하나 외쳐지지 않고, 결정적으로 깨어나고자 몸부림치나 결정적으로 깨어나지질 않는다. 죽도록 몸부림치지만 그것은 작은 몸짓에 지나지 않고, 필사적으로 아우성치지만 그것은 작은 신음소리밖에는 발음되지 않는다. 그 작은 신음, 그 작은 몸짓, 제동당한 격동의 필사적인 자기표현으로서의 어떤 짧은 부르짖음. 나는 나의 시가 그러한 것으로 되길 원해 왔다. 악몽의 시로." ■ 김지하(1941 ~ ) 전남 목포 출생. 시인. 1970년대 반체제 문인들 가운데 대표적인 인물로, 본명은 영일, '지하'는 필명이다. 원주 중학교와 중동 고등학교를 거쳐 1966년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했다. 대학 다닐 때 4 · 19혁명, 6 · 3 사태 등을 겪으면서 학생운동에 깊이 관여했고, 졸업 후에도 박정희 정권의 독재 정치에 반대하는 민주화 운동의 선두에서 활동했다. 그가 세계적인 명성을 얻게 된 1970년대의 문학 작품들은 바로 이러한 정치 활동과 깊이 연과되어 있다. 1964년에는 한일회담을 반대한 학생시위에 적극 가담했다가 체포 · 투옥되어 4개월 동안 옥살이를 했으며, 1970년 담시(譚詩) <오적(五賊)>을 발표하여 반공법 위반으로 체포 · 투옥되었다. 1974년에는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민청학련) 사건으로 체포되어 긴급조치 4호 위반혐의로 사형을 선고받았다. 그후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다가 다음해 2월 형집행정지로 석방되었으나, '인혁당 사건'의 진상을 밝혔다가 석방된 다음달에 다시 체포되었다. 전세계의 주목 속에 오랜 재판 과정을 거쳐, 앞선 무기징역에 다시 징역 7년형을 추가로 선고받았다. 6년간의 옥살이 끝에 정권이 바뀌자 1980년 12월 형집행정지로 석방되었다. 그 뒤로는 정치적 발언을 삼가면서, 그리스도교사상 · 미륵사상 · 화엄사상 · 선불교 · 기(氣)철학 등의 여러 사상들을 재해석하여 자신의 독특한 생명사상을 펼치거나, 그에 따른 생명운동을 벌이는 데 힘쓰고 있다. 시에서도 정치적 경향의 시보다는 주로 생명사상을 바탕으로 한 담시와 서정시를 쓰고 있다. 1963년 3월 [목포문학] 제2호에 시 <저녁 이야기>를 발표한 뒤, 1969년 11월 김현의 소개로 [시인]에 <황톳길> 외에 시 4편을 발표하여 문단에 나왔다. 1970년 [사상계] 5월호에 당시 특권층의 부패상을 판소리 가락을 통해 매섭게 비파난 담시 <오적>을 발표하여 일약 주목을 받았다. 그의 시세계를 크게 네 영역으로 나누어보면, 첫째 초기 서정시로, 현실에 대한 강렬한 부정과 민주주의 정신에 따른 1960~70년대의 메마른 현실을 반역적 가무성으로 노래한 시집 <황토(1970)>와 <타는 목마름으로(1982)>가 이에 소간다. 둘째 담시의 세계로, 우리의 전통적 민중문학 양식을 탁월하게 계승하면서 이를 통해 1970년대의 정치 현실을 날카롭게 풍자 · 비판한 시집 <오적> · <비어(蜚語)> 등이 이에 속한다. 셋째 서사시의 세계로, 1980년대의 생명사상에 따른 후천개벽의 필요성을 역사적 상상력으로 담아 대설(大雪)이라 이름붙인 시집 <남(南), 1982>과 <이 가문 날의 비구름(1988)> 등이 이에 해당된다. 넷째 최근의 서정시 세계로, 초기 서정시의 직설적인 표현과는 달리 달관의 자세로 구도자적 정서를 담은 시집 <애린 1 · 2(1987)> · <별밭을 우러르며(1989)>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1975년 일본 · 미국 · 유럽 등의 지식인과 작가들에 의해 노벨 문학상과 노벨 평화상 후보로 추천되었고, 같은해 아시아-아프리카 작가회의가 주는 제3세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로터스상' 특별상을 받았으먀, 1981년 세계시인대회에서 주는 '위대한 시인상'과 같은해 브루노 크라이스키 인권상위원화에서 주는'크라이스키 인권상'을 받았다. 산문집으로 <밥(1984)> · <남녘땅 뱃노래(1985)> · <살림(1987)> 등이 있다. 정치적 탄압으로 1970년대에 한국에서 펴내지 못했던 그의 많은 작품들이 일본에서 출판되기도 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4 이 사진 앞에서/ 이승하 정문선 2008.04.02 574
143 대숲아래서/나태주 정문선 2008.03.31 501
142 고고 /김종길 정문선 2008.03.28 496
141 성에꽃/ 최두석 정문선 2008.04.03 474
140 멸치/김기택 정문선 2008.03.31 453
139 우리 동네 구자명 씨/ 고정희 정문선 2008.04.02 452
138 봄/ 이성부 정문선 2008.03.31 430
137 강강수월래/김준태 정문선 2008.03.27 377
136 월명/ 박제천 정문선 2008.04.02 369
135 국수/백석 정문선 2008.03.28 340
134 월훈/ 박용래 정문선 2008.04.02 334
133 귀고/유치환 정문선 2008.03.28 323
132 손 무덤/ 박노해 정문선 2008.04.02 320
131 꽃 피는 시절/이성복 정문선 2008.03.30 318
130 압해도 8/ 노향림 정문선 2008.04.02 316
» 새/ 김지하 정문선 2008.04.03 315
128 작은 부엌 노래/ 문정희 정문선 2008.04.02 311
127 샘물이 혼자서/ 주요한 정문선 2008.04.03 308
126 우리가 눈발이라면/ 안도현 정문선 2008.04.02 298
125 도다리를 먹으며/김광규 정문선 2008.03.31 2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