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우의 노래-서정주-

2013.02.22 12:25

박영숙영 조회 수:515 추천:55

견우의 노래
                                                                              -서정주-                                                

  

우리들의 사랑을 위하여서는

이별이, 이별이 있어야 하네.


높았다 낮았다 출렁이는 물살과

물살 몰아갔다 오는 바람만이 있어야 하네.


오! 우리들의 그리움을 위하여서는

푸른 은핫물이 있어야 하네.


돌아서는 갈 수 없는 오롯한 이 자리에

불타는 홀몸만이 있어야 하네.


직녀여, 여기 번쩍이는 모래밭에

돋아나는 풀싹을 나는 세이고 ….


허이연 허이연 구름 속에서

그대는 베틀에 북을 놀리게.


눈썹 같은 반달이 중천에 걸리는

칠월 칠석이 돌아오기까지는,


검은 암소를 나는 먹이고,

직녀여, 그대는 비단을 짜세.
  

해설

[개관 정리]

◆ 성격 : 서정적, 낭만적, 의미적, 전통적, 설화적

◆ 표현 : 영탄적 어조, 역설적 표현


◆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우리들의 사랑을 위하여서는 / 이별이 있어야 하네.

   → 역설적 표현, 참되고 성숙한 사랑에는 이별의 고통을 감내하는 과정이 있어야한다는 것을 뜻하며, 화자는 이러한 고통을 오히려 긍정하는 태도를 보임.

* 출렁이는 물살과 바람 → 이별의 고통을 형상화한 객관적 상관물.

* 오! → 영탄적 어조, 새로운 인식에 이르렀음을 토로한 것으로, 새로운 깨달음을 강화하는 효과를 줌.

* 푸른 은핫물

   → 일차적으로는 견우와 직녀를 단절시키는 사물로, 이별의 상황을 보여주는 상관물임.

       단절을 딱딱한 벽이 아니라 부드럽고 젖은 '물'의 이미지로 나타냄으로써, 물리적으로는 단절이지만 정신적으로는 결국 합일하게 하는 대상물이 됨.

     '성숙하고 완전한 사랑'을 전제로 한 일시적인 이별과 단절을 상징함.

* 불타는 홀몸 → 고독 속에서 지펴지는 사랑의 불길과 인고의 시간

* 번쩍이는 모래밭

   → '별밭'을 두고 한 말로, '풀싹'과 관련되면서 모래밭으로 형상화됨.

       모래밭에서는 풀이 잘 자랄 수 없고, 견우가 먹일 풀이 많지 않기에, 이것은 견우 앞에 놓인 고난과 역경을 상징함.

* 돋아나는 풀싹을 나는 세이고 → 만남의 기쁨을 위한 마음의 정성스러운 준비

* 허어연 구름 → 직녀가 처한 고난과 역경

* 베틀에 북을 놀리게 → 베틀에서 베를 짜듯 직녀도 사랑을 조금씩 조금씩 짜 올라가는 정성스런 마음.

* 칠월 칠석 → 아름답고 황홀한 만남의 시간

* 검은 암소 → 화자의 실체(견우)를 직접적으로 드러낸 말

* 검은 암소를 나는 먹이고 / 직녀여 그대는 비단을 짜세

   → 생활에 충실하면서 그리움을 키워가는 정성

       각자의 직분에 충실하면서 긴 이별의 시간을 만남의 기약으로 이겨내자는 의미임.



◆ 제재 : '견우와 직녀'의 전설

◆ 주제 : 이별은 사랑을 위한 한 과정

           시련을 극복하며 더 성숙해지는 사랑

           참된 사랑에는 이별과 고통을 이겨내는 성숙해가는 과정이 필요하다.

[시상의 흐름(짜임)]

◆ 1∼2연 : 사랑의 참된 의미(이별과 고통)

◆ 3∼4연 : 사랑의 참된 의미(단절과 고독)

◆ 5∼6연 : 사랑을 준비하고 기다리는 정성스런 모습

◆ 7∼8연 : 사랑을 준비하고 기다리는 정성스런 모습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이 작품은 '견우와 직녀'의 이야기를 소재로 하여, 이별과 재회의 기약을 노래한 작품으로, 이별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는 화자의 태도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화자는 견우이며, 견우의 말을 통해 사랑의 참다운 의미가 구체화되고 있다. 1, 2연에서는 사랑의 참된 의미를 규정한다. 이별의 과정이 먼저 주어질 때 더 큰 사랑이 이루어진다고 한다. 이별의 고통을 감내하는 그 기나긴 인고의 역정이 사랑을 더 진중하게 한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오랜 기다림이라는 한국적 정한의 전통이 스며있기도 하다. 그 한의 세계는 고통과 아픔을 뜻하지 않는다. 그것을 받아들이는 성숙한 자세가 한의 높은 차원이다. 한이 체념과 허무의 패배주의적 속성을 지니기보다는 드높은 세계로 고양되는 정신주의와 연관된다는 점이 한국인의 심성에 오랫동안 뿌리를 드리운 근거가 될 것이다.

'물살'과 '바람'은 이별의 고통을 구체화한 상관물이다. 그것만이 있어야 한다는 진술에서 보듯이 사랑에는 고통이 필수 요건임을 알 수 있다. 고통은 수반되는 것이 아니고, 사랑 자체의 속성이며 본질이라고 할 수 있다. 화자는 그것을 긍정한다.

'은핫물'은 견우와 직녀를 단절케 하는 사물이며, 위에서 말한 이별의 상황을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상관물이다. 그러나 둘 사이에 가로놓인 것이 벽이 아니고 물이라는 점에서 정신적으로는 단절되지 않았음을 알려준다. 물의 부드럽고 젖은 이미지는 사랑을 갈라놓으면서 이어주는 정감적 사물임을 부각시킨다. 물리적으로는 단절이지만 정신적으로는 합일되어 있는 상황이다. 사랑은 단절과 고독이 또 그 본질이다.

5, 6연은 은하수의 이편과 저편. '번쩍이는 모래밭'은 결국 '별밭'을 두고 한 말이지만, 풀싹과 관련되면서 모래밭으로 형상화된다. 풀을 헤아리는 행위 이전에 씨 뿌리는 행위가 있을 것이며, 그것은 사랑을 뿌리는 일이 된다. 그 돋아나는 사랑을 하나씩 헤아리며 사랑을 내면에 쌓아 간다.

사랑은 이렇게 점진적으로 키워 가는 것이다. 만남의 기쁨을 위한 마음의 정성스런 준비, 그것은 또한 사랑의 본질이다. 화자처럼 직녀 또한 구름처럼 보이는 은하수 저편에서 베를 짠다. 베틀에서 베를 짜듯 사랑도 올올이 짜 올린다.

7, 8연에서는 5, 6연의 반복이다. 칠석날이면 기다리는 만남의 순간이 온다. 나는 검은 암소를 먹이고, 직녀는 비단을 짠다. 생활에 충실하며 그리움을 키워 가는 정성이 보인다. 결국 이 시는 이별을 아픔으로 보지 않고 더 큰 사랑을 위한 성숙한 자세로 보는 태도가 감동의 요인이 된다.



[견우와 직녀 이야기]

  옛날, 하늘 나라에 직녀라는 하늘 나라 임금님의 딸이 있었습니다.  직녀는 마음씨가 비단결같을 뿐 아니라 얼굴도 아주 예쁘게 생겼습니다.  "찰그락, 찰그락" 직녀의 베 짜는 솜씨는 따를 사람이 없었습니다.  해가 지는 줄도 모르고 날마다 열심히 베를 짰습니다.  너무 베를 잘 싸서 사람들은 직녀라고 불렀습니다.  또한 베만 잘 짜는 것이 아니고, 음식 솜씨도 뛰어나 하늘 나라 궁궐에서 보석처럼 빛나는 공주님이었습니다.  어느 봄날이었습니다.

  그날도 베를 짜던 직녀는 향기로운 봄빛 향내에 취하여 베틀에서 일어섰습니다.  

"참 좋은 날씨로구나.  나와 함께 나들이를 하지 않겠느냐?" "예, 공주님." 직녀는 선녀들과 궁궐 밖으로 나왔습니다.  어디선가 봄빛 향기가 코를 찌르고 새들은 아름답게 지저귀고 있었습니다. 넓은 들판에 이르렀을 때, 소를 몰고 나온 한 청년과 마주쳤습니다.  몸집이 당당하고, 아주 잘생긴 젊은이었습니다.  '저토록 멋진 남자는 처음 보았다.  도대체 어디 사는 누구일까?' 직녀는 이렇게 감탄하며 가던 길을 멈추고 젊은이를 바라보았습니다.

  그 젊은이는 바로 견우였습니다.  견우란 이름은 소를 모는 사람이란 뜻입니다.

  견우도 또한 직녀의 아름다운 모습을 보고 가슴이 두근거렸습니다.  두 젊은이는 서로 한눈에 반해서 사랑하는 사이가 되었습니다.  그 뒤, 견우와 직녀는 남몰래 만나서 이야기의 꽃을 피우며 시간 가는 줄을 몰랐습니다.  드디어 결혼까지 약속하게 되었습니다.  이 소문이 하늘 나라 임금님의 귀에까지 들어가게 되자, 임금님은 펄쩍 뛰며 버럭 화를 냈습니다.

  "뭐라구, 하늘 나라 공주가 소몰이와 결혼을 해! 하필이면 천한 사내와 그런 약속을 하다니, 안 된다." 직녀는 무릎을 꿇고 앉아 눈물만 하염없이 흘리고 있었습니다.

  "너는 이 나라의 귀한 공주란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만일 끝내 내 말을 거역하려면 차라리 이 궁궐을 떠나거라. 꼴도 보기 싫다." 하고 임금님은 한바탕 호통을 쳤습니다.

  그 뒤, 임금님은 직녀를 불러 여러 번 타일렀지만 소용이 없었습니다.  날이 갈수록 직녀의 가슴에는 견우의 생각으로 꽉 차 있었습니다.  베 짜는 일도 그만두고  하루종일 방안에만 틀어박혀 있었습니다.  그러자 하늘 나라 궁궐 안은 먹구름이 낀 듯 우울한 나날이 계속되었습니다.  "여봐라. 당장 견우를 잡아오너라.  직접 만나서 담판을 지으리라."

  얼마 뒤에 신하들은 견우를 임금님 앞에 꿇어 앉혔습니다.  "너처럼 천한 몸이 어떻게 공주를사랑하느냐? 마음을 바꾸도록 하여라!" 임금님은 매우 노한 목소리로 다그쳤습니다.  그러나 견우는 뜨거운 눈물만 흘릴 뿐 입을 열지 않았습니다.

  "에잇! 고얀지고……." 화가 난 임금님은 대뜸 이렇게 명령을 내렸습니다.

  "여봐라, 견우와 직녀를 멀리 귀양을 보내어라. 견우는 동쪽으로 9만리, 직녀는 서쪽으로 9만리떨어진 곳으로 각각 떠나게 하라!"  임금님은 두 사람이 영원히 만날 수 없게 할 속셈이었습니다.

  이윽고 마지막 이별을 하는 날이 되었습니다.  견우는 눈물을 글썽거리며 직녀의 손을 잡고 맹세를 했습니다.  "직녀! 우리가 다시 못 만나게 되어도 직녀에 대한 나의 사랑은 변함이 없을 것이오." "저도요." 직녀도 흐느껴 울며 대답했습니다.

  견우는 소를 몰고 서쪽을 향해 9만 리 길을 떠났습니다.  직녀도 정든 하늘 나라 궁궐을 떠나 외로운 발걸음을 떼어 놓았습니다.  점점 멀어져 가는 두 사람의 가슴은 찢어질 둣이 아팠습니다. 그리하여 두 사람은 은하수라는 깊고 깊은 강을 사이에 두고 떨어져 살게 되었습니다.

  어느 날 견우는 강가에 나와 사랑하는 직녀의 이름을 목이 터져라고 불렀습니다.

  "직녀……."  견우의 애타는 목소리는 강 건너 직녀의 귀에까지 가늘게 들려왔습니다.

  "아! 견우님이다."  직녀는 미친 듯이 강가로 달려갔습니다.

  너무 멀어서 견우의 모습은 보이지 않았지만, 견우가 직녀를 부르는 소리는 계속 이어졌습니다.

  "견우님……." 직녀도 목이 터져라 견우를 부르다 그만 울음을 터뜨렸습니다.

  이날이 7월 7일, 그러니까 칠월 칠석날 밤이었습니다. 날이 새면 또 각기 동쪽과 서쪽으로 헤어져야 하는 슬픈 운명이었습니다.

  해마다, 이때 흘린 견우와 직녀의 눈물은 엄청나게 많아 땅 나라에서는 홍수가 났습니다.

  그러면 집과 곡식들이 떠내려가고 동물들도 먹이가 없어서 굶어 죽어 갔습니다.

  하루는 온 동물들이 모여 회의를 열었습니다.  

  "해마다 홍수를 겪으니 괴로워서 못살겠소. 무슨 대책을 세웁시다." "견우님과 직녀님을 만나도록 해 줍시다.  그러면 문제가 해결될 것이오." 이 때, 까치가 날개를 퍼득거리며 의견을 내놓았습니다.  "이렇게 하면 어떨까요? 우리 까치와 까마귀가 날갯짓을 하며 줄지어 있는 동안, 견우님과 직녀님이 우리들 머리 위를 걸어가게 해서 만나게 합시다."

  "훌륭한 생각이오!" 모든 동물들은 대찬성을 하였습니다.  이윽고 칠석날이 다가왔습니다.

땅 나라의 까치와 까마귀들이 은하수 강가로 날아들었습니다.  서로 날개를 맞대어 길고 튼튼한 다리를 만들었습니다.  일 년 동안 애타게 그리워하던 견우와 직녀는 까치와 까마귀가 만들어 놓은 다리를 건너 얼싸안았습니다.  "직녀!" "견우님!" 두 사람의 눈에 기쁨의 눈물이 맺혀 반짝였습니다.  그 동안 밀린 이야기를 나누며 시간이 가는 줄을 몰랐습니다.

  먼동이 떠 오르기 시작했습니다.  두 사람은 곧 헤어져야 했습니다.  "직녀. 일 년이 지나야 또 만나겠구려.  이대로 함께 살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소." "견우님, 까치와 까마귀들의 도움으로 해마다 한 번씩 만나는 것도 다행한 일이어요." "그렇소." 견우와 직녀는 까치와 까마귀들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거듭하였습니다.  "자, 부디 몸조심하시오." "그럼, 안녕히 가셔요."  견우와 직녀는 아쉬운 듯 이별을 하였습니다.  서로 등을 돌리고 무거운 발걸음을 옮겼습니다. 두 사람은 자꾸 뒤를 돌아보며 눈물을 흘렸습니다.

  이런 일이 있은 뒤부터, 칠석날에는 홍수가 나지 않고 이슬비가 부슬부슬 내리게 되었습니다.   해마다 칠석날이 지나면 까치와 까마귀들의 머리털이 빠지곤 합니다.  이것은 견우와 직녀가 머리를 밟고 지나갔기 때문이라고 전해지고 있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유튜브 박영숙영 영상'시모음' 박영숙영 2020.01.10 100
공지 우리나라 국경일 박영숙영 2015.07.06 341
공지 우리나라에는 1년 중 몇 개의 국경일이 있을까요? 박영숙영 2015.07.06 1619
공지 무궁화/ 단재 신채호 박영숙영 2015.06.16 274
공지 무궁화, 나라꽃의 유래 박영숙영 2015.06.16 708
공지 ★피묻은 肉親(육친)의 옷을 씻으면서★ 박영숙영 2014.10.19 442
공지 [펌]박정희 대통령의 눈물과 박근혜의 눈물 박영숙영 2014.06.14 413
공지 박정희 대통령의 눈물 / 머리카락도 짤라 팔았다 박영숙영 2014.05.28 376
공지 어느 독일인이 쓴 한국인과 일본인 ** 박영숙영 2011.08.02 500
공지 저작권 문제 있음 연락주시면 곧 지우겠습니다. 박영숙영 2014.02.08 211
115 [펌]돌아가는 길/문정희 시모음l 박영숙영 2013.05.20 1475
114 [펌]대한민국 뽀빠이 박영숙영 2013.05.14 253
113 어떤 생일 축하 / 법정 박영숙영 2013.05.11 299
112 술 지게미 마당귀 맴맴 /이혜선 박영숙영 2013.12.19 816
111 신용은 재산이다 박영숙영 2013.04.29 184
110 한계령을 위한 연가 / 문정희 박영숙영 2013.03.18 280
109 바람의 아내 / 문정희 시 모음 박영숙영 2013.03.18 2414
108 곡비(哭婢) / 문정희 박영숙영 2014.02.08 1707
» 견우의 노래-서정주- 박영숙영 2013.02.22 515
106 이 세상의 장미 - 예이츠 박영숙영 2013.02.22 244
105 방랑자 잉거스의 노래 /예이츠 박영숙영 2013.02.22 280
104 호수위의 섬 이니스프리 -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박영숙영 2013.02.22 553
103 낙엽 / 예이츠 박영숙영 2013.02.22 301
102 노천명 /사슴 박영숙영 2013.02.22 191
101 한용운 /님의침묵 박영숙영 2013.02.22 234
100 이상화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박영숙영 2013.02.22 224
99 미라보 다리 아래 세느강은 흐르고 박영숙영 2013.02.15 768
98 잊혀진 여자 / 로랑 생 박영숙영 2013.02.15 458
97 화살과 노래 / H.W 롱펠로 박영숙영 2012.08.22 219
96 희망찬 새 해 맞으시길 정국희 2011.12.31 277
95 하늘의 기쁨을 함께 나눠요 노기제 2011.12.25 279
94 Merry Christmas~! 이기윤 2011.12.20 481
93 시집을 받고 조옥동 2011.09.11 284
92 신 우솝 우화 (춤추는 개미 박영숙영 2011.07.07 618
91 [스크랩]ㅡ할미꽃 박영숙영 2011.07.06 328
90 [스크랩]- 사자와 누 이야기 - 박영숙영 2011.06.10 374
89 화접 /김종제 박영숙영 2012.03.22 271
88 [스크랩] 어느 부부의 슬픈 이야기 박영숙영 2011.04.24 411
87 [스크랩]인간의 교양과 성품(9) 박영숙영 2011.04.19 603
86 ** 웃음과 건강** 박영숙영 2011.04.16 384
85 [스크랩] 위장이 튼튼해지는 최고 음식 4가지 박영숙영 2011.03.16 939
84 4월 愛.. 은방울꽃 2011.04.12 477
83 [스크랩 ]自足長樂 자족장락/유심조 박영숙영 2011.04.04 490
82 시집 잘 접수했습니다 김영교 2011.03.06 360
81 [스크랩]웃음과 건강 이야기.... 박영숙영 2011.04.16 458
80 [스크랩]ㅡ탈무드/유대인의 3 대 명언 박영숙영 2011.04.16 458
79 [스크랩] 얼굴이란 박영숙영 2011.02.28 410
78 씨뿌리는 법칙 남정 2011.02.24 464
77 스크랩 ㅡ마음을...... 박영숙영 2011.02.28 382
76 스크랩 ㅡ내가 머문 자리는 아름답게 박영숙영 2011.02.20 316
75 소경의 등불 / 탈무드 박영숙영 2012.03.22 404
74 2011년의 나의 좌우명 박영숙영 2010.12.28 396
73 聖誕과 新年을 祝福 祈願~!!! 종파 2010.12.22 294
72 실존적 공허 /빅터 프랭클 지음 /이시형 옮김 박영숙영 2010.12.13 563
71 [스크랩] ㅡ7 학년 8 반. 조야.. /유심조 박영숙영 2010.12.13 386
70 생각의 힘 박영숙영 2010.12.10 322
69 예배의 참뜻/법정 박영숙영 2010.12.10 385
68 [스크랩]ㅡ고통이 주는 의미를 깨달아라 박영숙영 2010.12.10 350
67 [스크랩]인생의 스승은 시간이다 박영숙영 2010.12.10 305
66 [그크랩]ㅡ죽음의 모래시계 박영숙영 2010.12.09 276
65 어떤결심 /이해인 박영숙영 2010.12.09 423
64 스승님에게 최상고 2010.10.28 287
63 경상도 할머니 한분이 /유심조 박영숙영 2010.09.18 379
62 매운고추와 서리맞은 고추/유심조 박영숙영 2010.09.18 680
61 스크랩 ㅡ행복 ? 박영숙영 2011.02.28 398
60 감사합니다. 오연희 2010.01.06 494
59 믿음, 소망, 사랑.. 은방울꽃 2010.01.18 432
58 성탄절의 축복 장태숙 2009.12.24 445
57 새 술은 새 부대에/ 방문 감사 애천 2009.12.24 438

회원:
2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66
어제:
71
전체:
884,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