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상옥 평, 문인귀시인 시집 '낮달'에 대하여

2010.04.16 14:56

문인귀 조회 수:946 추천:83

<참고>: 이 글은 고 송상옥회장님께서 지난 해에 있었던 나의 시집 출판기념회에 오셔서 말씀해 주신 것을 같은 해 10월 어느 날 이메일로 나에게 보내주셨다.
따라서 이글이 고인께서 문학에 관해 남기신 마지막 글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어 같이 나누고 싶어 올린다.   -문인귀



          문인귀 시인 칠순 기념 시집
                            ‘낮달 출판에 붙여

                                                      송 상 옥

  올해 칠순을 맞은 문인귀 시인의 새 시집 ‘낮 달’ 출간을 축하하는 자리에 함께 하게 된 것을 기쁘게 여깁니다.
  작고한 원로 시인께서 6년쯤 전 미주 시인들의 시에 대한 말씀 중에 “시는 문 시인의 시가 괜찮지”라고 하신 적이 있었습니다. 이번 시집을 읽으며 그 분의 그 말씀이 문득 떠올랐습니다.
  그 분은 문 시인의 시에서 여러 면을, 또 여러 면에서 보셨겠지만, 저는 ‘순수성’을 보았습니다. 시에서의 순수성은 새삼스러운 것이 아니고, 당연한 요소라 하겠으나, 그렇지 못 한 시들이 범람하고, 또 그 당연한 것을 담는 데에는 고도의 기량이 요구되고, 또한 차근차근 쌓은 연륜이 필요한 것입니다. 문 시인의 시를 갖고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건 전문가의 영역에 속하는 것이므로, 제가 여기서 말하기는 부적절해서 생략하고, 다만 한 걸음만 나아가 한마디로 바꾸어 말하면, 문 시인은 ‘시의 생명’이 어디 있는지 아는 시인이라는 것을 느꼈습니다.  
  시를 쓴다고 시의 생명이 어디 있는지, 생명을 불어넣을 수 있는지 다 아는 건 아닙니다. 누가 가르쳐서도, 어느 책에서도 알려주지 않습니다. 시인 스스로 깨우쳐야지요. 그러니까 문 시인은 이미 그 경지에, 흔히 말하는 원숙한 경지에 도달한 건 아닐까, 엿보이는 부분입니다.
  시의 순수성, 시의 생명, 그것은 곧 시심이기도 합니다. 시를 생각하는 마음, 시를 사랑하는 마음, 시를 읽는 마음, 시를 짓는 마음, 시를 갈구하는 마음, 시를 캐내는 마음.... 이런 것들이 다 시심입니다. 시심을 키운다는 건 사실 어려운 일입니다. 갈수록 복잡하고 오염 투성이의 세상에서, 세속을 도외시할 수도 없기 때문에, 그 와중에서 진정 시심을 지니고 가꾸는 그 자체가 어려운 것입니다. 시뿐만 아니고 소설도 마찬가지이나, 문학 장르의 형식상 시에서 그 중요성이 더한 것입니다.    
  문 시인의 이번 시집에서는 달이 많이 등장하고, 그 속에 보석인양 새하얀 박, 박꽃이 몇 군데 눈에 뜨입니다. 6년 전의 두 번째 시집 ‘떠도는 섬’에서는 볼 수 없었던 것이지요.

          그 새하얀 박꽃에 내리는 이슬마다
          촘촘히 들어앉는 이유에 대하여
          웃는 사람보다
          울고 있는 사람의 눈물을 찾아가는 이유에 대하여
                                              - ‘달의 침묵’ 일부
            
           칠흑 밤 그 어둠 속에서도
           돌아서서 내외하셨을 어머니의 숨결과
           소리 없이 다가서시던 아버지의 하얀 웃음이
           희고 보드란 새하얀 박속에
                                               -‘비밀스런 일’ 일부    

           밤이 깊어서야
           아내 손잡고 밖으로 나가본
           훤한 보름달, 거기로
           훌쩍 옮겨 앉으시는 두 분의 뒷모습
           여태
           저희 지붕 위에 내려 계셨던가봐요.
           어머님,
           아버님,
                                               -‘한가위 밤에’ 전문

문 시인의 시력, 연륜을 말해주는 구절들입니다.
‘시는 절대로 죽지 않는다’는 시에서 문 시인은 ‘한 장 한 장 뜯기어 쏘시개로 타버리는 시집 때문에, 시가 죽었다고 생각하는 사람아.“하고 시를 낮춰보거나 부정하는 사람들과 풍조에 호통을 치고 있습니다.
이번 시집에서 눈길을 끄는 게 하나 더 있습니다. 단 두 줄의 ‘작가의 말’입니다.
“시 한 편 완성할 때마다 당신에게 먼저 읽어주던 마음으로 이 시집도 당신한테 먼저 드립니다.”  
  ‘당신’은 일생의 반려인 아내일 수도 있고, 자식들일 수도 있고, 시인의 마음속 스승일 수도 있고, 시집을 대할 많은 사람, 즉 우리 모두일 수도 있습니다. 또 이 글에는 자신의 분신인 또 한 권의 시집을 내게 된 기쁨, 자신이 쓴 시작품들에 대한 자랑스러움, 시인으로서의 겸손과 오만까지도 담겨 있습니다. 이처럼 짧으면서도 많은 걸 담고 있는 ‘작가의 말이 또 있겠습니까.
  시집 표지 안 쪽 날개에 나와 있는 시인 소개 글에서도 지적하고 있듯이 문 시인은 다 아시는 대로 ‘시와 사람들’ 동인회를 만들어 뜻을 같이 하는 시인들과 함께 시심 개발과 시 나눔 운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말하자면 시 전도사 역할을 꾸준히,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당 나라  시인 두보는 ‘인생칠십고래희’라고 했습니다. 고래로 일흔까지 사는 건 드문 일이라는 뜻이지요. 그건 그 시절에나 해당되던 말입니다만, 시를 쓰며 여기에 이른 것 또한  축하할 일입니다.
  문 시인께서 앞으로도 시 창작과 시 전도사로서의 일을 더욱 정력적으로 해나가시기 바랍니다.
                                     - 2009년  월  일

                      .........................................................................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2 혼돈 문인귀 2016.12.06 109
121 윤석훈 시인의 부음을 듣고 문인귀 2015.05.19 377
120 하루살이 노래 문인귀 2013.02.26 439
119 '시의 존재감에 충실한 삶에의 추구' 배송이 시집 '그 나무'에 대하여 문인귀 2011.08.16 783
118 「맨살나무 숲에서」띄우는 울음의 미학 - 정국희 시집 「맨살나무 숲에서」 문인귀 2011.03.05 822
117 "혼돈混沌속의 존재, 그 인식과 시적미학詩的美學" 정어빙 시집 <이름 없는 강> 문인귀 2011.02.24 832
» 송상옥 평, 문인귀시인 시집 '낮달'에 대하여 문인귀 2010.04.16 946
115 시공(時空)을 섭력(涉歷)해 온 존재, 그 ‘길’에 대하여 -오연히 시집 '호흡하는 것들은 모두 빛이다' 문인귀 2010.02.11 935
114 감도는 기쁨을 정착시키기 위한 노력과 결실 문인귀 2007.12.03 992
113 아픔으로 표출되는 회귀(回歸)에의 미학 -정문선시집 '불타는 기도' 문인귀 2007.11.30 1018
112 존재적 가치와 ‘알맞게 떠 있음’의 미학<강학희 시집 '오늘도 나는 알맞게 떠있다'> 문인귀 2007.11.13 965
111 하늘에 계신 우리 어머니 문인귀 2007.08.27 741
110 한가위 밤에 문인귀 2007.07.24 604
109 깊은 밤에 문인귀 2007.07.24 639
108 달의 침묵 문인귀 2007.07.23 695
107 달아달아, 지금은 어디에 문인귀 2007.07.23 676
106 문인이라는 이름의 전차 문인귀 2006.08.19 598
105 새로운 천년에는 새로운 미주문학을 문인귀 2006.08.19 571
104 '가난한 마음의 형상화를 위한 겸허의 미학' 조영철 시집 「시애틀 별곡」 문인귀 2008.12.05 1248
103 하늘 길 문인귀 2008.12.01 852

회원:
2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0
어제:
0
전체:
45,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