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은진의 '틈'을 읽고

2010.07.28 07:40

백남규 조회 수:748 추천:94

추은진의 ‘틈’을 읽고



야자수 어깨에서
얼었던 어둠 몇 점
투두둑, 떨어진다.
밤과 기나긴 정사를 끝낸
저 흰 가로등
뿌연 담배 연기 내 뿜으며
길가에 기대어 서 있고
돌산에 떠오른 빛 한 다발
사뿐히 어둠이 떨어진
나무 어깨에 앉았다.
틈이 낳은
새 침묵이다.    <계간 미주문학,2010년 봄호>

  사물과 사물, 사람과 사람사이에는 틈이 있다. 이 ‘사이’나 ‘틈’은 존재의 개별성을 특징짓는 가장 뚜렷한 것이다. 사이나 틈이 없으면 그 존재는 같은 존재물이다. 모든 존재는 개별성.독립성을 원하지만 동시에 너와 나의 틈이 메워지기를 꿈꾼다. 홀로 선 모든 존재는 같이 섬을 바란다. 이런 꿈꾸기가 생기는 까닭은 몇 가지 있다. 우선 외로움 때문이다. 인간의 외로움은 홀로 선이의 당당함이나 도도한 인품을 때로 망가뜨릴 수 있을 정도이다. 홀로 섬의 기쁨과 똑같이  하나됨의 즐거움을 원하는 존재가 인간이다. 청춘남녀가 아니라도 다정한 연인이나 부부를 바라보는 외톨이의 시선에는 분명 부러움이 묻어있다. 너와 내가 하나가 되는 길에는 즐거움,쾌락이라는 감정이 개입한다.

위 시는 세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3행은 시간의 흐름을 보여준다. 밤이 끝나고 새벽이 오는 시간이다. 본문에 해당하는 둘째부분의 핵심어는 ‘기나긴 정사’이다. 인간의 생식본능은 홀로섬에서 하나됨의 길로 내모는 중요한 원인이다. 나와 너는 늘 하나됨을 바라는 욕구에 시달린다. 밤과 가로등은 외로움과 생식본능 때문에 기나긴 정사를 나눈다. 그러나 아무리 길어도 영원에 비하면 순식간이 아니겠는가. 실제로는 짧고 덧없는 결합을 끝내고 개별적인 존재로 환원됨을 의미한다. 담배연기는 허망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사람들 사이의 틈의 근원은 무엇일까?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다. 종족,성(性), 빈부차이, 교육수준이나 지적 수준, 종교의 차이등이 사람들 사이를 벌어지게한다. 특히 현대로 접어들면서 물질적 재산을 가진 사람들과 그렇지 못한 사람 사이의 관계거리는 상상을 초월한다. 오늘날 이 가치를 넘어서는 힘을 발휘하는 가치가 희미해 지고 있다는 우울한 소식이다.

위 시에서 틈의 원인은 직접 나타나  있지 않다. 다만 틈이 새로운 침묵을 낳았을뿐이다. 틈은 소통을 멀게하고 인간을 점점 외롭고 불행하게 할 것임을 암시하고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 무제 백남규 2012.11.17 237
27 마광수의 시 <나는 야한 여자가 좋다> 해설 [1] 백남규 2017.09.21 235
26 그 순간만은 진실이었어 백남규 2017.08.07 227
25 교육 백남규 2014.03.19 226
24 예술가의 한 유형-non conformist 백남규 2012.11.17 209
23 존재의 울림 [2] 백남규 2016.08.21 202
22 위험한 여자 [1] 백남규 2016.07.18 179
21 선과 악 [2] 백남규 2016.08.22 171
20 사람이 원하는 것 [1] 백남규 2016.07.18 165
19 배정웅의 시 [2] file 백남규 2020.09.03 138
18 오늘 [1] 백남규 2017.07.25 123
17 계급에 대하여 [2] 백남규 2017.07.23 118
16 영화'기생충'에 대하여 [1] 백남규 2020.02.08 115
15 행복 백남규 2014.10.11 113
14 마광수를 추모하며 [1] 백남규 2017.09.13 109
13 고요해서 눈부신 식물적 상상력의 시 백남규 2018.01.07 96
12 삼경시론 [1] 백남규 2019.07.14 76
11 살다보면 백남규 2021.11.07 60
10 무제 백남규 2019.04.13 59
9 연애의 시대-1920년대 백남규 2017.12.10 53

회원:
0
새 글:
0
등록일:
2015.06.19

오늘:
0
어제:
0
전체:
17,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