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애용론

by 김우영 posted Apr 20, 20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전체기사 | 종합 | 사회 | 정치 | 노동NGO | 경제 | 문화 | 교육 | 지역 | 스포츠 | 포토뉴스   최종편집 : 4.20 수 22:17      




홈 > 뉴스 > 기획연재 | 김우영의 에세이  
            


우리말의 애용론  
김우영의 에세이-우리말 나들이

2011년 04월 20일 (수)  김우영 <소설가>  webmaster@cctimes.kr  


    
  
    
  
김우영 <소설가>

월드컵 같은 국제적 스포츠 행사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대중매체인 매스 미디어의 역할은 중요하다.

'포스트 월드컵', '시너지 효과', '인프라', '세리머니' 같은 단어들은 우리말로 옮겨 보려는 고민을 거칠 겨를도 없이 어느새 일상 생활 속에 파고 들고 있다.

에어로빅, 디스코텍, 패션 쇼 등과 같이 마땅하게 사용할 언어가 없어 외국어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는 차치하더라도 그러나 아직 정착하지 않은 외래어는 순수한 우리말로 바로 사용하는 것이 한국다운 주체성을 갖는 일이다.

예를 들면, A매치→국가 간 경기, 골 세리머니→득점 뒤풀이, 글로벌 스탠다드→국제 표준, 내셔널 트러스트→국민 신탁, 노블레스 오블리주→지도층의 의무, 멀티플렉스 극장→복합상영관, 모럴 헤저드→도덕적 해이, 서포터스→응원단 또는 후원자, 패널→토론자 등과 같이 우리말로 바꿔 써야 한다.

또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를 경영하는 기관, 단체에서도 예를 들면, '해태', '이유', '각하'같은 일본식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법조계는 이런 말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래야만 권위가 더 서는 것일까?

이러한 폐단을 간파한 정부는 2005년 말부터 다행스럽게도 전국의 각 지방자치단체에 '국어책임관' 제도를 운영해 아직도 덜 순화된 행정용어들을 바른 국어로 안내하고 있다.

국어책임관실에서는 각종 공문서 작성시 덜 순화된 외래어를 비롯하여 어색한 글이나 말 등 딱딱한 문자들을 순화하여 사용하도록 산하 관계기관, 단체에 알리고 있다.

각종 지면에 '우리말 산책' 글이 나가자 여러 사람들한테서 연락이 온다. 대부분 격려의 말과 잘못된 부분을 친절하게 알려 주어 우리말 공부에 도움이 되곤한다.

나의 우리말 공부는 대략 1-3마당에 걸쳐 이루어진다.

첫 번째 마당은 1980년대 스무살 긴 머리칼 청바지 문학청년시절 서울에 살 때 이숭녕 국문학자를 몇 년 가까이 모시고 활동하면서 해박한 고담준론(高談峻論)과 쉬운 우리말 뜻풀이 마당에 반하였다.

두 번째 마당은 고향 충청권에 살면서 최충식 선생님의 천의무봉(天衣無縫)과 말글 펼침에 옴팍 물이 들었다.

세 번째 마당은 첫째와 둘째의 멍석 위에서 스스로 우리말과 글의 굴레에 씌워 이젠 우리말의 풀물든 영창(映窓)이 되었다.

한글전용론자가 아닌 애용론자로서 이 기회에 일깨워주신 앞선님들께 감사드린다.

나의 아호는 '나은', '길벗' 이며 가시버시(아내)는 '구루터기'이다.

큰딸은 김바램이요, 둘째는 김나아 이다.

따라서 함께하는 모임의 직책 중에 고문은 살핌이, 회장은 촌장, 총무는 살림이, 홍보는 알림이, 서기는 기록이, 회계는 돈셈이 등이다.

어떤 한글학자는 앞으로 수백 년 후에는 우리말과 글이 지구상에서 사라질지 모른다고 예단하고 있다.

우리가 먹는 밥, 가정, 농촌에서 경작하는 농산물, 조상의 산소, 어릴 적 뛰놀던 뒷동산, 시냇물, 갯고랑, 아지랑이, 논과 밭, 소, 강아지, 돼지 등이 외래어로만 불린다면

아, 생각만 해도 삭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