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여쁜 문학서재: 3. 장태숙 시인

2006.11.30 01:45

고대진 조회 수:876 추천:144

장태숙시인의 서재는 조용히 혼자 앉아서 시를 감상하기 좋은 곳이다. 우선 서재의 창작마당에 들어가면 85편의 시들이 기다리고 있다. 늘 뒤돌아보고, 주춤거리고, 꿈꾸고, 떨고, 야위고, 버티고, 쓰다듬고, 다림질하면서 치열한 시 정신을 갈고 닦는 다는 김동찬 시인의 평에 어울리게 꾸준히 올라오는 시인의 시를 읽으면 찡-하고 가슴이 아려오거나 눈물이 핑 돈다. 그렇게 슬픈 일을 많이 경험한 일이 없어 보이는데 장시인의 시를 읽으면 ‘슬픈 것은 아름다운 것이다…’라는 모짜르트의 말이 생각난다. 창작마당에선 오랜 시부터 읽는 것이 좋다. 제 2번 작품 ‘길’에서 시인은 /나의 길은/가늘고,/ 가볍고,/ 쓸쓸하네/…라고 노래하지만 시인의 많은 시들은 결코 가볍거나 가늘지 않고 오히려 묵직한 감동을 가슴에 안겨준다. /이 가을,/ 말라 떨어지는 것이 어디 낙엽뿐이겠습니까?/ 라고 시작되는 ‘가을 나팔꽃 2 (여자)’ 이라던가 /도무지 이 손, 놓을 곳이 없습니다/…라고 끝나는 ‘가을 나팔꽃 (손)’ 의 이미지나 ‘나 또한 그러했네’ 에서 풀잎을 뜯어 날리는 화자의 모습은 잊혀지지 않는다. 허지만 그의 시를 읽고 ‘가슴을 데인 통증’을 느꼈으니 치료비를 달라고 하면 그는 ‘미안하게도 나는 처방을 모르네…’ 라고 시침을 뚝 땔 것 같다. ‘어머니는 화투를 치신다’ 와 수필 ‘그리움은 단풍처럼 붉어지고’ 또한 빼놓을 수 없는 작품들. 이를 감상할 때 클리넥스를 준비해야 할 것이다. 눈물이 찔끔 찔끔 날 테니까. 다른 시들이 너무 무거우면 ‘자목련’ 이나‘거리’를 읽을 수도 있다. /여린 가슴 열다/ 봄 햇살에 화다닥 데인/ 통증/…이나 , /바다 밑 깊숙이 숨은 발 더듬어/ 발로 간지럽혀 보는/ 독도의 두 섬/…을 읽다 보면 절로 미소가 떠오른다. 더 우울한 날은 /도로 위,/반쪽 집이 실려간다/ 달팽이처럼 느릿느릿 천천히/ 하얀 날개 접은 커다란 나비 같다/…라는 ‘생애 단 한 번의 여행’을 읽으면 우울이 사라질 것이다. ‘컴뮤니티’에 있는 ‘몽당연필’ 또한 잊지 말고 방문해야 할 곳. 장태숙시인의 시론이나 그의 시에 대한 평론 등 여러 가지 읽을 거리가 숨겨져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8 고래의 노래 2 고대진 2006.05.14 838
77 공무도하가 (公無渡河歌*) 고대진 2005.05.23 833
76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말 고대진 2006.03.20 825
75 주류사회 고대진 2005.11.28 824
74 DNA 2: 유전자 전쟁 고대진 2005.11.11 817
73 독도 9: 초승달 2004.03.15 815
72 애국 법... 매국 법 고대진 2009.04.18 805
71 내 만일... 2003.11.20 805
70 독도와 조선족 고대진 2009.04.18 803
69 초롱이와 삼순이 고대진 2006.09.20 796
68 누드를 그리면서 고대진 2009.04.18 795
67 고래와 함께 고대진 2009.04.18 792
66 여자들은 알까? 2004.03.11 792
65 독도 10: 이웃에게 2004.03.15 791
64 소냐를 생각하면서 고대진 2006.11.06 783
63 우리 아버지를 대통령으로 고대진 2006.03.20 783
62 아버지와 꽃밭 고대진 2009.04.18 782
61 독도 11: 거울 2004.03.15 774
60 복권 즐기기 고대진 2009.04.18 773
59 이별 2003.11.17 772

회원:
1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0
어제:
2
전체:
37,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