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에는 눈만큼만

2009.04.18 00:49

고대진 조회 수:656 추천:115

 성경에 나오는 ‘눈에는 눈, 이에는 이…’ 라는 보복의 법칙은 고대사회부터 있었다. BC 1750년경 쓰여져 얼마 전까지 가장 오래된 성문법으로 알려졌던 ‘함무라비 법전’에 따르면 이 법은 ‘탈리오의 법칙’이라고 불렸다. BC 2050년경 제정돼 가장 오래된 성문법으로 최근 판명된 ‘우르남무의 법전’에도 ‘생명에는 생명’ 이란 법이 있다. 우리나라 고조선의 ‘팔조금법’중 남아있는 세 조항이 우르남무의 법전과 비슷한 것을 보면 사람의 생각은 동서를 막론하고 비슷했던 모양이다.

 탈리오법의 근본정신은 항간에서 인용하듯 보복을 위한 장치가 아니라 과도한 보복이나 보복의 악순환을 막는 데 있었다고 한다. 즉 눈에는 눈만큼만 이에는 이만큼만 복수를 하지 더 이상의 복수를 하지 말아야 한다는 ‘복수의 악순환에서 벗어날 수 있는 지혜’라는 것이다.

 이런 탈리오의 법칙을 지혜롭게 적용하지 못하는 이유는 복수의 정도를 가늠할 숫자가 없었기 때문이 아닐까? 누구나 ‘나의 눈’의 가치와 ‘너의 눈’의 가치가 동등하지 않다고 생각할테니까 말이다. 싸우다가 나의 눈 하나가 멍들었을 때 상대의 눈 두 개를 멍들게 하고 싶고, 가만있는 내 아이가 누구에게 맞아 이빨이라도 하나 부러졌다면 난 때린 녀석에게 달려가 흠씬 두들겨주고 이빨을 서넛 뽑고 싶은 생각이 안 날까? 그 녀석의 편을 드는 사람까지 몇 대 갈겨주면 더 시원할 것이고. 그러나 그렇게 당한 사람들은 처음 일은 잊어버리고 이를 갈며 복수를 생각할 것이고 그러다 보면 ‘복수의 악순환의 고리’를 벗어날 수 없게 되는 것이리라. 네 눈 하나에 상대방 눈 하나라는 말이 없으니 말이다. 그래서 예수님은 탈리오의 법을 넘어서라고 가르쳤나보다.

 국가끼리도 마찬가지인 것 같다. 항상 폭력을 휘두르는 국가는 그 전에 다른 국가에게 당했다고 생각하고 거기에 대한 적절한 보복을 가한다고 말한다. 시간이 흐르면서 누가 먼저 시작했는지 가리기는 더욱 어려워진다. 국가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아직도 4000년 전의 탈리오 법칙에서조차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아직까지 ‘네 이웃 국가를 네 나라같이 사랑하라’거나 ‘네 원수의 나라를 사랑하라’라고 말하는 기독교 국가를 본 일도 들은 일도 없으니까 말이다. 즉 ‘국가’란 단위에서 보면 원수조차 사랑하라는 예수 님의 말씀이 적용되기는커녕 ‘이것으로 충분해’라며 멈추는 일도 거의 없는 것 같다. 혹시 국가가 ‘사람들의 모임’이라는 것을 잊고 있는 것이 아닐까?

 최근 부시 대통령이 북한을 이란, 이라크와 함께 ‘악마의 축’으로 지목하면서 선제 공격을 할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믿고 싶지 않지만 우리의 의지와 상관없이 평양이나 원산에 눈 달린 폭탄(smart bomb)이 떨어질지 모르겠다. 북한에 있는 우리 동포들은 어떻게 될까, 또 그 보복의 대상이 될 본국의 형제들은, 확대된 전쟁에서 죽어가야할 수 많은 사람들은…. ‘얼마나 많은 사람이 더 죽어야 너무 많은 사람이 죽었다는 것을 알게 되나?’라고 묻던 밥 딜런의 노래가 생각난다. 우린 언제 ‘이거면 충분해’라고 할 수 있을 것인가? ‘이젠 감싸고 사랑할 때라고, 시작보다 끝이 더 중요하다’라는 소리가 바람을 타고 들려오는 것 같다.



<미주 중앙일보 2002년 2월 14일>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8 고래의 노래 2 고대진 2006.05.14 838
77 공무도하가 (公無渡河歌*) 고대진 2005.05.23 833
76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말 고대진 2006.03.20 825
75 주류사회 고대진 2005.11.28 824
74 DNA 2: 유전자 전쟁 고대진 2005.11.11 817
73 독도 9: 초승달 2004.03.15 815
72 애국 법... 매국 법 고대진 2009.04.18 805
71 내 만일... 2003.11.20 805
70 독도와 조선족 고대진 2009.04.18 803
69 초롱이와 삼순이 고대진 2006.09.20 796
68 누드를 그리면서 고대진 2009.04.18 795
67 고래와 함께 고대진 2009.04.18 792
66 여자들은 알까? 2004.03.11 792
65 독도 10: 이웃에게 2004.03.15 791
64 소냐를 생각하면서 고대진 2006.11.06 783
63 우리 아버지를 대통령으로 고대진 2006.03.20 783
62 아버지와 꽃밭 고대진 2009.04.18 782
61 독도 11: 거울 2004.03.15 774
60 복권 즐기기 고대진 2009.04.18 773
59 이별 2003.11.17 772

회원:
1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12
어제:
0
전체:
37,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