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그 몹쓸 놈

2021.01.13 18:20

안선숙 조회 수:216


img76.gif

치매, 그 몹쓸 놈

한성덕







11월의 어느 날, 두 자녀가 어머니와 함께 우리 요양원을 방문했다. 사회복지사와 상담을 마치고 이방 저 방을 돌아보았다. 으레 풍길 줄 알았던 노인성 냄새가 없자 ‘냄새가 안 난다.’며 퍽 좋아했다. 그리고 12월 첫 날, 다시 와서는 아버지를 맡기고 무거운 발걸음으로 요양원을 나섰다. 미남형에 큰 키인 1950년생 중증 치매환자다. 요즘 같으면 청년의 나이가 아닌가?

몇 번이나 부인은 남편의 얼굴을 쓰다듬었다. 옷을 매만지고, 손을 만지작거리며, 양 볼에 뽀뽀하는 마지막 스킨십에 가슴이 뭉클했다. 남편은, 그 어떤 대꾸나 반응도 없이 그저 덤덤했다. 목석처럼 느껴져 한없이 애처로워 보였다. 내키지 않는 걸음으로 자녀들은 자꾸 아빠를 쳐다 보았다. 부인은, ‘40년 이상을 살면서 5남매를 키워 시집장가 다 보내고 살만한데 이 무슨 짓이냐’고, 이 말 저 말을 주절거리며 울먹였다. 남편의 어깨를 두드리며, ‘여보 미안해요.’ 하고 돌아서는 이별은 차마 눈뜨고는 볼 수 없는 장면이었다. ‘부인이 그토록 울더라.’는 복지사의 말에, 내 가슴이 먹먹하고 눈시울이 붉어지니 웬일일까?

만약, 내가 그 지경이라면? 그래서 열렬히 사랑하는 우리 부부사이를 치매가 갈라놓는다면, 친구나 자녀는커녕 아내도 몰라본다면, 숟가락질도 잊어서 밥을 떠 먹여준다면, 자신의 존재감이 사라져 사는 것 자체가 부질없다면, 그 어떤 사물도 몰라보는 처지라면, 자나 깨나 ‘고향으로 보내 달라’고 보챈다면, 대소변을 손으로 가리켜 타인이 화장실로 안내한다면, 그토록 즐겨 쓰는 수필은 고사하고 글조차 읽을 수 없다면, 누군가의 도움이 절대적이라면, 그 인생이 사는 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하기야, 그런 것조차 치매가 전부 앗아갔으니 무엇을 알랴? 그저 백지상태로 남은생애를 사는 거겠지. 생각만으로도 가슴이 조여 들었다. 자신은 알 수 없으니 그렇다 치더라도, 자녀들과 아내는 얼마나 속상할까? 그 좁은 공간에서 고향을 가겠다며 문이란 문을 죄다 찾고 난리다. 요양보호사가 특별 관리하는 요주의 치매환자다.

어느 날, 아버지의 서류문제로 큰딸이 요양원에 왔었다. 가족을 보면 어쩔까싶어서 충분히 설명하고 면회를 금지시켰다. 일을 마친 딸이 거실 문을 살며시 열고서는 적이 놀랐다. 늘 서성거리며 밖에만 나가려던 아빠의 모습이 전혀 아닌 것에 감탄했나? 안심한 딸이, 나지막한 목소리로 ‘아빠 사랑해’ 하고 돌아서는 뒷모습이 그토록 쓸쓸해 보여서 울컥했다.

그 환자가 치과 병원에 갈 일이 있었다. 병원에서 부인과 한 달 만에 만났다. 놀라기는커녕 반가운 기색도, 안아줄 마음도, 안부를 물을 생각도 전혀 없었다. 무덤덤하다는 말이 실감났다. 부인이, ‘관광버스 기사로 참 재밌는 사람이었다.’고 귀뜸했다. 우리 요양원에서 보는 중증치매환자의 실제 이야기다.

이 소설 같은 현실 속에서 요양원에 근무한 지 5개월째다. 이런저런 일이 왜 없었을까마는, 치매환자의 일상을 늘 보고 있어서 가슴이 저며 온다. 도대체 그 놈의 치매는 인정도, 사정도, 눈치도, 부끄러움도 없는 불한당이다. 40년이 아니라 그 이상을 살았다고 해도 사람을 몰라보니 어쩔 것인가?

노인들이 제일 두려워하는 질병은 암이 아니라 치매라고 한다. 이는, 모든 사람들이 가장 싫어하는 병 중 단연코 1위다. 아프면 약을 먹거나 수술을 하면 되지만, 치매는 어디 그런가? 실제적 경험에서 난 뼈저리게 느끼고 있다.

“치매는, 정상적으로 활동하던 사람이 후천적인 외상이나 질병 등 외인에 의해서 기질적으로 손상된 것을 말한다. 전반적으로 기억력, 언어능력, 시공간능력, 전두엽기능 등의 인지기능과 이상행동증상이 동반되는 복합적인 질환이다.” (양영순 저 ‘치매,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 )

저자는 그의 책에서, ‘최근에는 치매와 관련된 많은 약물들이 개발되었다. 진단 역시 훌륭한 검사를 통해서 정확하게 내려진다. 그래서 조기에 치료를 받으면 진행을 늦추거나, 치매를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다’고도 썼다.

나도 점점 익어가면서 치매에 신경을 쓴다. 할아버지나 아버지의 전력을 보면 전혀 아니라고 우겨댈 바도 아니다. ‘치매, 그 몹쓸 놈’이 우리의 땅에서 얼씬 못하도록 기도할 것이며, 온전한 치료제가 개발되기를 또한 기도한다.

(2021. 1. 5. 새해 첫 작품) 




댓글 0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파일 첨부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크기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27 계단 김세명 2021.01.14 188
2226 어머니와 솥뚜껑 구연식 2021.01.14 207
2225 합평회 유감 전용창 2021.01.14 226
» 치매, 그 몹쓸 놈 안선숙 2021.01.13 216
2223 녹슨 주전자 안선숙 2021.01.13 223
2222 긍정적인 삶 김길남 2021.01.12 208
2221 산타의 선물 이우철 2021.01.12 178
2220 희수 유감 김세명 2021.01.12 208
2219 내가 이런 사람이었으면 좋겠습니다 이인철 2021.01.12 210
2218 구연식 수필집 발문 김학 2021.01.12 122
2217 제 눈의 들보부터 살펴라 두루미 2021.01.11 44
2216 2020년 우리 집 10대 뉴스 하광호 2021.01.11 35
2215 한국말을한국말답게 고도원 2021.01.11 44
2214 아빠의 일생 전용창 2021.01.11 76
2213 나무난로 앞에서 윤근택 2021.01.11 74
2212 백두산온천 그리고 한하운의 금강산 온천 서호련 2021.01.10 54
2211 노래가 시대를 바꾸고 치유한다 고도원 2021.01.10 74
2210 겨울 나들이 이진숙 2021.01.09 111
2209 꿈을 꾼 후에 윤근택 2021.01.09 84
2208 코로나19 속에 맞는 성탄절 전용창 2021.01.09 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