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선호의 문학서재






오늘:
0
어제:
2
전체:
281,122

이달의 작가

시편정해 시편 140편

2016.12.02 14:12

최선호 조회 수:9

 

 

                 시편 140편

 

 

다윗이 자기를 저주하는 원수들로부터 구원받기를 호소하는 동시에 원수들에게 당한 대로 원수들을 저주하고 공의로우신 하나님의 심판을 기다리며 하나님께 감사를 드리면서 하나님과 함께 거하기를 소망하고 있다. 


주제: 구원받아 주 앞에 거하기를 원함.

소재: 악인의 계책과 악인들에 대한 저주.

배경: 다윗이 사울의 핍박으로부터 피하여 있을 때로 추정.

수사: 호격, 반복, 직유, 은유(사은유), 인용, 대유. 

경향: 탄원(개인적). 저주. 140~143편은 내용과 형식, 셀라의 쓰임까지도 공통점을 갖고 있다.  

구성: 3 단. 기(1~7절), 서(8~11절), 결(12~13절).

작자: 다윗(시, 영장으로 한 노래).

핵심어: 구원.

특수어: 셀라(Selah)- 3편 특수어 해설 참조.

 

기(起): 악인에게서 구원받기를 원함


 1 여호와여

    악인에게서 나를 건지시며

    강포한 자에게서 나를 보전하소서

 2 저희가 중심에 해하기를 꾀하고

    싸우기 위하여 매일 모이오며

 3 뱀같이 그 혀를 날카롭게 하니

    그 입술 아래는 독사의 독이 있나이다(셀라)

 4 여호와여

    나를 지키사

    악인의 손에 빠지지 않게 하시며

    나를 보전하사

    강포한 자에게서 벗어나게 하소서

    저희는 나의 걸음을 밀치려 하나이다

 5 교만한 자가 나를 해하려고 올무와 줄을 놓으며

    길 곁에 그물을 치며 함정을 두었나이다(셀라)

 6 내가 여호와께 말하기를 주는 나의 하나님이시니

    여호와여

    나의 간구하는 소리에 귀를 기울이소서

    하였나이다

 7 내 구원의 능력이신 주 여호와여

    전쟁의 날에 주께서 내 머리를 가리우셨나이다

 

1절: “여호와여” 호격(呼格)을 앞세운 동의대구 문장으로 구원받기를 호소하고 있다. “악인에게서”와 “강포한 자에게서”는 동의, 반복이다. “나를 건지시며”와 “나를 보전하소서”도 동의, 반복이다.

 

2절: 모의와 분쟁(잠15:18)을 통해 악인들의 속성을 묘사하면서 다윗을 모함하려는 악인들의 행위를 아뢰고 있다.

 

3절: “뱀같이”는 직유법의 표현이다. 원관념은 악하고 간사함을 나타낸다. “그 혀를 날카롭게 하니 그 입술 아래는 독사의 독이 있나이다”(롬3:13,14)는 은유된 보조관념으로써 원관념은 ‘원수들이 내뱉는 악한 말’이다.

 

4절: 방해자들로부터 구원받기를 여호와께 호소하고 있다. “나를 지키사”, “빠지지 않게 하시며”, “나를 보전하사”, “벗어나게 하소서” 등은 동의, 반복, 강조이다. “악인의 손에 빠지지 않게”는 “악인의 손에 잡히지 않게”로 감상함이 좋다. 영혼의 대적(시71:10)으로부터 하나님의 보호를 간구한다. “저희는 나의 걸음을 밀치려 하나이다”의 나의 걸음은 ‘성도의 경건한 삶’을 방해한다는 은유적 표현이다.

 

5절: 사은유(死隱喩)된 보조관념들(“올무, 줄, 그물, 함정”)이 열거되어 교만한 자(원수)들의 음모를 강조하고 있다. 이것들은 보조관념으로써 원관념화 되어 있기 때문에 상징적 은유로써의 구실에서 벗어나 있으므로 사은유가 되어 있다.

 

6절: “주는 나의 하나님이시니 여호와여 나의 간구하는 소리에 귀를 기울이소서”는 열심 있는 기도(시5:3)를 강조하는 인용법의 표현이다.   

 

7절: 하나님에 대한 다윗의 신뢰가 나타나 있다. “내 머리를 가리우셨나이다”는 하나님의 보호하심을 묘사한 표현인데 “머리”는 내 목숨과 몸 전체를 대유(代喩)하고 있다. 전쟁 중에 경험한 하나님의 보호하심에 대한 다윗의 회고이다. 하나님의 은혜를 잊지 않고 있다.

 

서(敍): 자신이 받은 획책대로 원수를 저주함


 8 여호와여

    악인의 소원을 허락지 마시며

    그 악한 꾀를 이루지 못하게 하소서

    저희가 자고할까 하나이다(셀라)

 9 나를 에우는 자가 그 머리를 들 때에

    저희 입술의 해가 저희를 덮게 하소서

10 뜨거운 숯불이 저희에게 떨어지게 하시며

     불 가운데와 깊은 웅덩이에 저희로 빠져

     다시 일어나지 못하게 하소서

11 악담하는 자는 세상에서 굳게 서지 못하며

     강포한 자에게는 재앙이 따라서 패망케 하리이다


8절: 악인이 자고(自高: 교만하여 잘난 체함)하지 못하도록 “악인의 소원을 허락하지 말 것”과 “그 악한 꾀를 이루지 못하게” 여호와께 호소(기도)하고 있다.

 

9절: 다윗을 저주한 자(악인)들을 오히려 다윗이 저주하고 있다. “나를 에우는(삥 둘러싸는) 자”는 악인이다. “그 머리를 들 때에 저의 입술의 해(害)가 저희를 덮게 하소서”의 “머리”와 “입술”은 악인을 대유(代喩)하는 표현이다. 악인들로 하여금 자업자득(自業自得) 되게 하라는 저주의 간구이다. 범죄하기 쉬운 부분이 입술이다. 그러나 입술이 범죄한다기보다는 그 마음이 이미 죄를 범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범죄한 인간을 대신한 표현이 입술이다. “혀는 곧 불이요 불의의 세계라 혀는 우리의 지체 중에서 온 몸을 더럽히고 생의 바퀴를 불사르나니 그 사르는 것이 지옥 불에서 나느니라”(약3:6).

 

10절: “뜨거운 숯불”은 하나님께서 악인에게 내리는 형벌의 보조관념이다. 다윗은 악인들의 멸망을 바라고 있다. “불 가운데와 깊은 웅덩이”의 “웅덩이”는 사은유로서의 보조관념인데 “음부(스올)”를 원관념으로 한 듯하다. 즉 그 “웅덩이”는 악인의 올무(욥18:8)를 뜻한다. “여호와께서 하늘 곧 여호와에게로서 유황과 불을 비같이 소돔과 고모라에 내리사”(창19:24).

 

11절: 죄의 파괴성(잠8:36)과 악인의 불완전성(잠11:5)이 반복, 강조되어 있다. 악인의 결과이다. 

 

결(結): 공의로우신 하나님께 감사와 함께 거하기를 원함


12 내가 알거니와 여호와는 고난 당하는 자를 신원하시며

     궁핍한 자에게 공의를 베푸시리이다

13 진실로 의인이 주의 이름에 감사하며

     정직한 자가 주의 앞에 거하리이다


12절: “고난 당한 자”와 “궁핍한 자”- 동의어로 ‘약자’를 의미한다. 이런 자를 위하여 신원(伸寃: 억울한 죄를 씻음)하시는 공의의 하나님의 속성을 묘사하고 있다. 그러므로 하나님은 환난 중에 도움을 주시는 분임을 알 수 있다.

 

13절: 의인에 대한 약속(시11:4)에 따른 하나님을 향한 경건한 삶을 소망하고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8 시편 150편 paulchoi 2016.12.02 52
157 시편 149편 paulchoi 2016.12.02 15
156 시편 148편 paulchoi 2016.12.02 18
155 시편 147편 paulchoi 2016.12.02 66
154 시편 146편 최선호 2016.12.02 20
153 시편 145편 최선호 2016.12.02 48
152 시편 144편 최선호 2016.12.02 27
151 시편 143편 최선호 2016.12.02 40
150 시편 142편 paulchoi 2016.12.02 15
149 시편 141편 paulchoi 2016.12.02 31
» 시편 140편 최선호 2016.12.02 9
147 시편 139편 paulchoi 2016.12.02 39
146 시편 138편 최선호 2016.12.02 23
145 시편 137편 최선호 2016.12.02 21
144 시편 136편 최선호 2016.12.02 66
143 시편 135편 paulchoi 2016.12.02 20
142 시편 134편 최선호 2016.12.02 7
141 시편 133편 최선호 2016.12.02 13
140 시편 132편 최선호 2016.12.02 7
139 시편 131편 최선호 2016.12.0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