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선호의 문학서재






오늘:
0
어제:
3
전체:
281,125

이달의 작가

 

 

기독교 예술의 가치관 확립


할렐루야(기독교예술의 가치관 확립)




    오늘의 문명의 이기가 토해내는 문화적 산물은 불철주야 홍수사태를 면치 못하고 있다. 가령, 예술분야의 종합예술인 영화나 연극은 물론, 단일예술의  문학, 음악 미술, 무용, 조각, 공예, 건축 등, 전반에 걸쳐 이들의 영향으로 인류는 흥건히 젖고 있다. 그에 따른 주제는 거의가 "사랑"이다. 시, 소설, 희곡, 평론, 수필 등은 말할 것도 없고 음악이나 미술 등에서도 사랑을 표방하고 있다. 라디오, TV. 각종 출판물에 실리는 내용까지도 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마치 언제 그칠지 모르는 장마로 인해 일방적으로 당하기만 하는 홍수사태와 다를 바가 없다. 소나기를 동반한 장대비가 쏟아져 내를 이루고 강을 이루어 바다로 흘러간다. 이는 마치 문명의 이기로 폭발되는 사랑사태와 같다. 이와 같이 사랑을 표방한 문화적 산물은 많으나 그 속에서 진정한 사랑을 찾기란 홍수 속에서 마실 물을 찾는 상황과 다를 바 없다.

    참사랑은 기독교정신에서 우러난다. 그러므로 세상에는 사랑의 사태가 폭포를 이루지만 정작 참사랑을 만나보기가 매우 어렵다.

    진정한 사랑이 후미져있는 현실의 비탈길에서 과연 인류는 진정한 사랑을 어떻게 만날 수 있을 것인가? 이토록 시급한 상황인데도 기독교예술은 일반예술에 비해 다양하지도 않고 심오하지도 못하다는 그릇된 가치관이 오늘을 병들게 하고 있는 원인이라고 지적할 수 있다. 그러나 기독교예술은 일반예술의 뒷자리에 처져서는 안 된다. 오히려 기독교예술은 일반예술보다 우위에서 끊임없이 인간을 감동시켜 은혜의 세계로 안내하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자면 한 두 가지가 아니겠지만 헨델의 메시야 중 〈할렐루야〉가 울려 퍼질 때 청중들이 왜 자리에서 일어서는가? 이것은 기독교적 존귀성, 위대성, 거룩성과 장엄함이 사람들을 일으켜 세우는 것이다. 〈할렐루야〉 말고 다른 일반예술 그 어느 예술이 언제 누구를 어느 자리에서 일으켜 세웠던가? 〈할렐루야〉가 지니고 있는 문학성과 음악성은 일반예술이 따르기 어려운 고귀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것만으로 보더라도 기독교예술은 일반예술이 따르지 못하는 신비, 오묘, 장엄, 거룩을 수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진정한 은혜와 사랑에 인간을 감동시켜 주기 때문이다. 기독교예술이야말로 무한의 감동세계로 인간을 안내하는 위대하고 장엄한 힘을 가지고 있다.(2003. 10. LA 기윤실 호루루기, 미주 한국일보 게재)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 김주경 시인론-제2시집을 읽고 - 최선호 최선호 2016.12.09 201
29 (촌평) 곽상희 시집 “고통이여 너를 안는다”를 읽고 - 최선호 최선호 2016.12.09 203
28 시인과 문학-목회와 시 사이-조옥동 시인, 문학평론가 [4] paulchoi 2017.02.20 207
27 <시평> 고영준 시인의 "따뜻한 마음에 담은 인생의 노래"-최선호 최선호 2016.12.09 211
26 <축사> 정정인 시인 시집발간에 즈음하여-최선호 최선호 2016.12.08 223
25 조국에 바란다 [6] paulchoi 2017.06.17 231
24 <축사> 하나님 안에서 인생과 자연을 사유하는 방동섭 시인-최선호 최선호 2016.12.10 238
23 □ 평론; 송상옥 문학과 그 주변 - 최선호 최선호 2016.12.09 239
22 現代詩로 보는 韓國人의 抒情(1) (서정 몇 점) 최 선 호(시인, 문학평론가, 미주감신대교수) 최선호 2019.09.23 249
21 現代詩로 보는 韓國人의 抒情(3) 최선호 2019.10.03 255
20 <시평> 이창윤의 <내일은 목련이 지는 날 아닙니까> - 최선호 최선호 2016.12.09 258
19 <시평> 박송희 시집 <사랑의 샘>, 김영교 시집 <흔적>- 최선호 최선호 2016.12.09 273
18 문금숙 시인의 시 감상-최선호 paulchoi 2017.01.16 291
17 보훈의 달을 맞이하여 [3] paulchoi 2017.06.01 326
16 <축사> 김수영 시집 <바람아 구름아 달아>의 향기로움-최선호 [1] 최선호 2016.12.15 357
15 히브리문학에의 접근(II) [1] paulchoi 2017.01.30 363
14 평론: 수필이란 무엇인가 - 최선호 최선호 2016.12.09 382
13 <평론> 본 대로 느낀 대로 - 최선호 최선호 2016.12.09 397
12 <촌평〉 정희성 시인 / 한영옥 시인 - 최선호 최선호 2016.12.10 433
11 <평론> 목회자 최선호 시인의 삶과 문학 - 조옥동 시인, 문학평론가 [1] 최선호 2016.12.09 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