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선호의 문학서재






오늘:
3
어제:
1
전체:
281,118

이달의 작가

<시평>

 

내가 아는 남자


안선혜(安先蕙)

여류시인, 경남 마산 출생, 미주시문학회 회원 〈순수문학〉등단,〈카톨릭 월보〉신인상, 재미시인협회 회원


고향이 해남이랬지

우수영 하얀 파도

가슴이 철석이면

속울음 우는 사람

미국 땅 문턱 높아

삼국으로 돌아서 월장한

간 큰 남자

영주권 없어 부모장례 못 갔고

미아리 처자식 눈에 밟혀

눈물을 기름 삼아

하얗게 밤을 태웠다던 그

이별 곱빼기로 먹고도 허기진 가슴

불심에 잡혀서 뜨겁게 타고 있네

소갈머리 주변머리 베레모로 멋을 내고

문학의 길 법사의 길 새파란 신입생

로뎅의 생각하는 사람도 무색할

고뇌에 찬 이 남자

속은 나도 모르오

                      -안선혜의〈내가 아는 남자〉전문

해설

미주 이민 백주년기념/이민을 주제로 한 詩 모음/재미시인 작품집〈外地〉13호에서 안선혜 시인의 작품을 발췌하였다. 이민 100주년을 맞으면서 이민의 특색이 농후한 작품으로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3연 19행의 현대 자유시(내재율)로 구성된 이 시는 이민자의 아픔과 낭만을 한 눈으로 볼 수 있는 서정시이다. 기(起) 서(敍) 결(結)의 3단 짜임이 원만하다. 쉽게 읽혀지면서도 정감어린 해학까지 곁들여 피로감을 주지 않고 잔잔한 감동으로 번진다. 시어의 선택도 무리 없이 순조로운 편이다. 여기서 우리는 모국인이 모르는 이민자의 또 다른 아픔을 실감한다. 해남을 고향으로 두고 신분 없이 떠도는 방랑자의 모습이 역력하다. 부모 장례까지 참석을 못하는 사람-이런 입장이야말로 이민자의 입장이 아니겠는가. 끝 행의 “속은 나도 모르오”는 누가 누구의 속을 모른다는 표현인가. 일반적으로는 시인이 이민자의 속을 모른다는 뜻으로 보아지지만 다시금 우리의 눈을 끌게 하는 표현이 아닌가? 제목과 대비된 표현이 돋보인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 평론(評論)에 대하여 - 최선호 최선호 2016.12.09 67
» <시평> 안선혜의 "내가 아는 남자" - 최선호 최선호 2016.12.09 66
28 한국인 . 힌국어 paulchoi 2017.10.02 65
27 I감상평설I <외로운 영혼의 비상> 한홍자 시인 최선호 2016.12.09 62
26 시급한 성경적 성 교육 paulchoi 2017.10.07 60
25 성경의 바른 이해- 최선호 최선호 2016.12.08 52
24 서평: 임동선 목사의 <지구촌은 나의 목장이다>- 최선호 최선호 2016.12.08 48
23 <시평> "사도행전" - 송기한 시인 최선호 2016.12.09 47
22 <평전> 이민선교의 선구자 임동선 총장- 최선호 최선호 2016.12.08 45
21 고영준 시인의 시 평설 최선호 2018.06.01 43
20 추천사: 직선으로 하나님을 찾아가는 길 - 최선호 최선호 2016.12.09 42
19 □서문□ 시집 발간에 즈음하여 - 최선호 최선호 2016.12.09 39
18 서평: 곽상희 시인의〈아름다운 상속자〉- 최선호 최선호 2016.12.08 36
17 □미주한인교회 창립 100주년 기념학술대회 참관기□ - 최선호 최선호 2016.12.08 34
16 <평론> 기독교예술의 가치관 확립- 최선호 최선호 2016.12.08 33
15 서평: 泉岩 朴奉培 博士 隱退 紀念 文集 "「信仰과 倫理- 최선호 최선호 2016.12.08 33
14 남북 평화통일의 길 paulchoi 2018.01.21 33
13 7월의 언어 paulchoi 2017.06.30 32
12 이육사(李陸史 1904-1944)의 <광야曠野> paulchoi 2017.08.05 32
11 감사는 처음이요 마지막 선물 paulchoi 2017.10.27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