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필
2015.07.16 13:49

아파트 빨래방의 어느 성자

조회 수 48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아파트 빨래방의 어느 성자 / NaCl


1993년 미국 테네시 낙스빌 워커스프링스 로드(Walker Springs Road)에 위치한 아파트가 우리 가족의 첫 보금자리였다. 세탁기를 설치 할 수 없는 대신에 단지 중앙에 동전 빨래방이 있었다. 밀린 빨래를 건조기에 넣고 한 시간 후에 온 다는 것이 깜박하여 시간이 좀 넘었다. 큰 바구니를 들고 갔더니 테이블 위에 우리 빨래가 잘 개어 있는 것이다. 어떤 사람이 빨래를 하러 왔다가 비어 있는 건조기가 없자 다 돌아간 기계 안의 우리 빨래를 꺼내어 일일이 다 개어 놓은 것이다.

미안하기도 하고 누군지 모르지만 참 성격 좋다는 생각이 들었다. 살다보면 자기 입장만 생각하는 사람도 있지만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그 사람이 자기 입장만 생각하여 시간을 잘 맞추지 못한 우리만을 탓하고 빨래를 그냥 수북이 쌓아 놓았다면 기분이 좀 안 좋았을 것이다. 하지만 그 사람은 누구든 깜박할 수 있지 하고 자기의 수고를 아까워 하지 않은 것이다. 상대방의 입장을 헤아린다는 것은 곧 성경에서 말하는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계명을 실천하는 것이 아닐까. 그 계명은 보통 실천하기 어렵다고만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빨래를 개어 놓은 그 사람과 같이 상대를 배려하는 것이 곧 그 계명을 지키는 것이다.

불교에는 불이(不二)라고 하여 나와 남이 다르지 않다고 한다. 내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사랑하기 위해선 나와 남이 둘이 아닌 하나임을 깨닫는게 중요하다. 남의 마음을 헤아리는 것 자체가 상대의 마음에 나의 마음을 포개는 하나됨이다. 도마복음의 메시지도 둘로 나누지 말고 하나라는 것을 강조한다. 대부분의 사람은 본능적으로 나를 먼저 생각한다. 내 입장이 우선이다. 모든 문제는 아마도 그런 자기 중심적 사고에서 기인하는 것이 아닐까. 우리 민족은 옛부터 나보다는 우리라는 말을 많이 썼다. 내 엄마, 내 아빠, 내 선생님이 아닌 우리 엄마, 우리 아빠, 우리 선생님이다. 더 나아가 "나는 이런거 좋아해." 라고 하기 보다는 "우리는 이런거 좋아해." 와 같이 나 개인의 느낌과 생각도 그 주체를 나에게만 국한하지 않고 우리로 확장시켜 버린다.

나에 대한 인식을 나 개인으로 한정시키면 죽음의 문제에 직면했을 때 모든 것이 끝장이라고 여기지만 나라고 하는 인식을 넓혀 우리라는 우주로 확장했을 때 죽음은 끝이 아니다. 거의 모든 종교가 남을 사랑하라고 하는 것은 결국 우리는 하나라고 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각 개체로 분할 되어 있을 때 무수한 사건과 에피소드가 생겨 나지만 처음과 끝은 결국 하나로 출발하여 하나로 끝이 나지 않을까 한다. 그래서 우리는 하나님이라 부르는 궁극의 존재 또는 도를 삶 가운데 모시는 것이다. 그러나 실재로 인간 세상에서는 그 하나님도 나뉘어 종교전쟁을 하는 것은 아직 우리가 분열의 시대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빨래방에서 우리 빨래를 일일이 개어 놓은 그 이름 모를 사람은 그 작은 실천을 통해 이미 불이를 실현했고 신의 계명을 실천한 것이다. 그 계명을 실천하는 것은 일상의 사소한 일에서 시작되며 그 사소한 실천이 모아지고 퍼져 나갈 때 세상은 변화되지 않을까. 불쌍히 여기는 마음도 우리는 하나라는 인식에서 출발하며 성경의 기적 이야기도 그 바탕에는 긍휼한 마음이 있다. 그 마음은 가치의 이동을 만들어 낸다. 즉 거지에게 적선하는 것과 같이. 물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듯 그 하나됨의 마음은 물과 같아서 넘쳐나는 곳에서 모자라는 곳으로 그 가치의 이동이 이루어 질 것이다. 그 이동이 곧 생명이고 무궁(for good)이 아닐까.

2015. 7. 16 [17:02]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 수필 김우영의 "세상 이야기" (1)생즉사 사즉생( 生卽死 死卽生) 김우영 2015.01.12 426
37 수필 김우영의 한국어 이야기- 7 김우영 2014.05.11 405
36 수필 나무 file 작은나무 2019.03.24 119
35 수필 나의 뫼(山) 사랑 김우영 2014.04.27 651
34 수필 나의 문장 작법론/정용진 시인 정용진 2015.12.24 359
33 수필 나의 수필 창작론/정용진 시인 정용진 2015.12.24 379
32 수필 늦은 변명 김학 2020.12.18 121
31 수필 레이니어 산에 가는 길 풍광 savinakim 2016.07.06 512
30 수필 메아리 file 작은나무 2019.02.21 190
29 수필 명상의 시간-최용완 미주문협관리자 2016.07.31 348
28 수필 믿음, 소망, 그리고 사랑.... file 작은나무 2019.02.27 156
27 수필 바람찍기 file 작은나무 2019.02.28 216
26 수필 봄날의 기억-성민희 오연희 2016.02.01 162
25 수필 빗속을 울리던 북소리-지희선 오연희 2016.06.01 297
24 수필 삶은, 눈뜨고 꿈꾸는 꿈의 여행이다 / 수필 박영숙영 2017.09.05 302
23 수필 새삼 옛날 군생활얘기, 작은글의 향수 강창오 2016.07.05 316
22 수필 선물 채영선 2016.11.13 386
21 수필 세계 한글작가대회ㅡ언어와 문자의 중요성ㅡ 박영숙영 2015.10.31 229
20 수필 세상의 반(半)이 ‘수그리’고 산다? son,yongsang 2016.02.14 277
19 수필 속살을 보여준 여자-고대진 미주문협 2017.01.30 49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