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7.27 22:03

고사목(告祀木), 당산나무

조회 수 27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고사목(告祀木), 당산나무 / 성백군

 

 

마을 입구 고사(告祀)를 지내던 당산나무는

가지가 많다

먼 산 같은 덩치로 숲을 이루고

몇백 년을 견디며 마을을 지켜온 저 힘은

어디서 나온 것일까

 

바람 불면 몸 추스르고

눈 내리면 허리를 굽신거리다가도

비 오면 고개 들고 햇빛 들면 손 벌리듯 반기는

큰 가지 작은 가지

낮은 자리에 있는 가지, 높은 자리에 있는 가지

 

빼곡하지만 참 잘 자랐다.

얽히지도 설키지도 부딪히지도 않으며

제 자리 지키는 나무 속 가지들

저들 세상에도

이쪽저쪽, 아래위는 있지만

사람처럼 싸우지는 않는다. 비바람에 상한 곳은 있지만

저희끼리 치고받은 흔적은 없다

 

이제는, 마을 수호신도 아니지만

그 자리 내어 주고 노인네들의 사랑방이 되었지만

언제 대접 못 받는다고 주저앉은 적 있던가

잠시라도, 지친 나그네 쉼터 되어주면 족하다는 듯

그늘 밑에

노숙자 몇 자리를 깔고 누워있다

 

   683 - 06202015

 

 

 

 

 

 

 

 

 


  1. 알로에의 보은

  2. 뿌리 / 성백군

  3. 한계령을 위한 연가/문정희

  4. 고사목(告祀木), 당산나무

  5. 꽃 학교, 시 창작반

  6. 비와 외로움

  7. 탄탈로스 산닭

  8. 8.15 해방 70년을 생각한다

  9. 계몽 군주와 테스 형 / 성백군

  10. 내다심은 행운목

  11. 저 하늘이 수상하다

  12. 정독, 인생길 / 성백군

  13. 단풍 한 잎, 한 잎

  14. 창살 없는 감옥이다

  15. 지는 꽃잎들이

  16. 별은 구름을 싫어한다

  17. 새들은 의리가 있다

  18. 나뭇잎 자서전

  19. 이국의 추석 달

  20. 언덕 위에 두 나무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50 Next
/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