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필
2014.11.23 09:52

우리가 문학을 하는 이유

조회 수 34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우리가 문학을 하는 이유

김우영 작가·대전중구문학회 사무국장
기사입력 : 2014-11-23 13:59       지면 게재일자 : 2014-11-24     면번호 : 18면        
        

          
QR코드 스캔하여
스마트폰으로
현재 기사와
뉴스 더보기 >>>

joongdo.kr/s?699867  





▲김우영 작가·대전중구문학회 사무국장

강원도 춘천에서 화천으로 이사 간 소설가 '이외수 선생님'을 만난 것은 청바지와 스카프, 장발의 스무살 문학시절(文靑)이었다. 처음 그의 첫 마디가 이랬다. “난 가난해서 글을 썼어요. 작가는 한 자루의 붓과 종이만 있으면 가능하지만 음악가나 화가는 돈이 많아야 배우는 예술분야이지요?” 나도 가난한 농민의 아들로 태어나 붓 한 자루와 종이쪽지 하나만 있으면 창작이 가능한 일이어서 글을 쓰기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새벽녘 눈이 부시시 떠 일어나 컴퓨터 앞에 앉았다. 그간 밀린 숙제(원고쓰기)를 위해서다. 작품해설 청탁과 독후감 원고를 쌓아놓고 한 편, 한 편 정성스럽게 읽어 내려갔다. 신선감과 해맑은 원고의 내음에서 힘찬 에너지를 맛본다. 그리고 늘 버릇처럼 전국과 세계 각지에서 날아오는 이메일(2000여명 관리)과 문학카페와 홈 페이지를 살펴보고는 출근했다.



몇 시간 원고작업을 경제적 환산가치로 따져보면 큰 돈은 아니다. 그러나 중학교 시절 무심코 시작한 습작의 세월이 오늘날 중견작가가 되었고 이 일이 이렇게나마 약간의 돈이 될 줄은 몰랐다. 물론 일반적인 경제활동 하는 것에 비하며 아주 적은 금액이지만 내가 새벽잠에 깨어나 노력하여 번 돈 치고는 삼겹살에 막걸리 한 잔은 족히 마실법한 실실한 금액이다.

아내와 주변으로부터 돈에 대한 짜증 어린 소리를 들을 때마다 이렇게 자조적인 말을 종종 한다. “에이 괜시리 작가를 했네. 차라리 사업이나 할 것을…?” 그러나 이런 창작을 하면서 약간의 돈이 들어오면 보람스런 작가가 되길 잘 했구나. 하고 생각을 하곤 한다.

우리나라는 프랑스나 영국처럼 문인들이 글만 쓰면서 먹고 살기 어렵다. 그래서 많은 작가들이 글을 쓰면서 별도의 직업을 가지고 있다. 한국문인협회 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 5000만명 인구중에 문인은 약 3만여명 정도라고 한다. 이 가운데에 절반은 한국문협이나 국제펜클럽 같은 협회에 등록된 이른바 '호적에 올린 문인'이고, 반은 문학동인회나 일반 문인들에 속한다.

전국 3만여명의 문인중에 글만 쓰는 전업문인은 1%인 300여명 정도 되는데 이 중에 글만 써서 먹고 살 수 있는 사람은 100여명 안쪽으로 보고 있다. 이른바 유명작가나 베스트셀러 작가들이 이들이다. 전체문인 3만여명 중에 현재 가지고 있는 직업을 내놓으면 먹고 살기가 힘들고, 글만 쓰자니 먹고 살기가 힘든 작가가 약 1000여명 안팍인데 내가 이 중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또 5000여명은 직업을 가지고 있으며 어쩌다 한 편씩 쓰고 문협 세미나나 모임에 가끔 얼굴을 내미는 정도이다. 스스로 시인이나 작가임을 자족하는 부류이다. 그리고 1만5000여명 정도는 가뭄에 콩 나듯 어쩌다가 글을 쓰거나 말거나 하는 정도이다. 그리고 나머지 1만5000여명 정도는 문단에 등단만했지만 시인이나 작가활동은 거의 없거나 이름만 올려놓고 있는 부류다.

쥐가 천장을 갉아먹는 처절한 고독과 얼음 같은 찬 서리의 외로움을 모르고 무슨 글을 쓰랴? 머리로 글을 쓰는 문인 이전에 가슴 따스한 마음으로 글을 쓰는 참된 작가의 길을 걸어가야겠다. 그래서 난 늘 고독한 실존적 에고이스트(egoist)라고 생각한다.

우리가 문학을 왜 할까? 돈이 생기는 것도 아니고, 명예가 되는 것도 아니요, 누가 알아주는 것도 않는 외롭고 힘든 고행(苦行)의 길이다. 애오라지 거칠고 험한 이 세상을 한 자루 등불처럼 어둠을 밝히며 아름답고 살만한 사회로 가꾸어 가는데 그 씨앗이 되자고 하는 것 아닌가?

참된 예술은 손 끝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고른 마음속에서 나오는 것이다. 태양은 도덕적하지도, 부도덕하지도 않다. 그는 있는 그대로 존재하는 것이다. 그는 어둠을 정복한다. 문학도 그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이래서 나는 '외길문학'을 하는 것이다. 오늘도 그 잘난 글, 그 못난 글을 위해서 말이다. 오, 참으로 고약한 애물단지 나의 문학(文學)이여!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수필 우리가 문학을 하는 이유 김우영 2014.11.23 348
929 엉뚱한 가족 강민경 2014.11.16 247
928 어둠 속 날선 빛 성백군 2014.11.14 208
927 얼룩의 소리 강민경 2014.11.10 321
926 수필 김우영 작가의 (문화산책]물길 막는 낙엽은 되지 말아야 김우영 2014.11.09 615
925 10월의 제단(祭檀) 성백군 2014.11.07 216
924 숙면(熟眠) 강민경 2014.11.04 202
923 가을비 성백군 2014.10.24 202
922 군밤에서 싹이 났다고 강민경 2014.10.17 333
921 내가 세상의 문이다 강민경 2014.10.12 201
920 가을 밤송이 성백군 2014.10.10 347
919 그늘의 탈출 강민경 2014.10.04 246
918 비굴이라 말하지 말라 성백군 2014.10.01 193
917 바람의 독도법 강민경 2014.09.27 173
916 종신(終身) 성백군 2014.09.22 263
915 시간은 내 연인 강민경 2014.09.14 222
914 얼룩의 초상(肖像) 성백군 2014.09.11 217
913 끝없는 사랑 강민경 2014.09.01 335
912 유쾌한 웃음 성백군 2014.08.31 177
911 한낮의 정사 성백군 2014.08.24 381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115 Next
/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