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88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김우영 작가의 한국어 이야기 ] 글 고치기와 띄어쓰기



                                                                           김 우 영 (작가. 한국해외문화교류회)

siin7004@hanmail.net
    
승인 2014.05.21  07:44:34        







                                                                             2014.5.21(수)

  [서울=동북아신문]



돈과 문장은 깎을 수 록 좋다. 스커트는 짧을수록 보기좋고, 주례사는 간결할 수 록 듣기 좋다. 글 고치기는 대략 3가지로 나뉜다. 글 쪼갬질은 긴 단락을 자르고, 깎음질은 군살깎기, 쪼크림질은 뒤치기이다. 아래의 예문을 보자.



① 강도짓을 하는 나쁜 사람들이 그 피해자에게 손실을 가해자에게 처벌을 해주어야 한다.

  → 강도짓을 하는 가해자는 그 정도에 따라 처벌하라.



② 인명을 살상하는 전쟁에 참여하고 이를 찬성 사람은 훗날 역사가 심판하리라.

→ 인명을 살상케하는 전쟁에 참여한 사람은 훗날 전범으로 평가된다.



③ 우리나라가 정치적 경제적으로 사대주의에 편승하는 것은 좋지못한 약소국의 사례이다.

   → 사대주의에 편승하는 건 약소국의 수치이다.



예전에 영국인들이 ‘인도는 내놓아도 셰익스피어는 못내논다’ 고 했다. 세계적인 문장가인 셰익스피어는 말을 빼고는 글 고치기에 무척 힘들어 했다. 헤밍웨이의 <무기여 안녕> 끝장은 17번, 프랑스의 자연주의 문학가 졸라의 습작 원고는 자신의 키를 넘었다.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도 30년간이나 수정했다고 한다. 약초 1,882종의 분류로 이름난 명나라 명의 ‘이시진’은 홀로 산야에 뒹굴며 독초를 캐 먹으며 약초의 독약 유무(有無)를 확인하다가 그 독에 묻어 숨졌다.



이래서 옛 선비들은 문장의 퇴고(推敲)와 추고(追考)를 살을 에이고 뼈를 깍는 겨울 빙판에 비유했다. 오늘날의 교정(校正)과 교열(校閱)을 살을 피울음의 고름같은 고통으로 표현하였다. 글을 쓰기도 힘들지만 깍고 다듬는 것도 그 이상으로 힘들다. 오호라, 우리말 우리글 몇 줄 고치기가 이렇게 힘들 줄이야?



우리말 우리글이 어렵다고 한다. 전문적으로 글을 쓰는 우리들도 글을 쓸 때 마다 어렵다고 한다. 특히 띄어쓰기의 구분과 범례이다. 예를 들어 ‘그런 만큼’이냐, ‘그런 만큼’이냐. 지금까지의 말글 규정이나 국어사전에는 ‘그런 만큼’으로 띄어 적었다. ‘만큼’은 ‘그만큼, 너만큼, 사람만큼, 하느님만큼’들에서는 붙여 쓴다.



이 ‘만큼’은 앞말과 비슷한 정도나 한도를 보인다. 그러나 ‘-(느)ㄴ, -(으)ㄴ, -(으)ㄹ, -던’ 다음에서는 띄어 쓴다. ‘걷는 만큼, 한 만큼, 먹은 만큼, 참을 만큼, 살 만큼, 했던 만큼’ 들은 띄어 쓰는 것이다. 이 경우의 ‘만큼’은 그 앞말의 내용에 걸맞은 수량을 나타낸다. 그런데 ‘-(느)ㄴ, -(으)ㄴ, -(이)ㄴ’들이 ‘-느니, -니, -으니, -이니’들의 준 꼴인 경우에는 그 다음에 오는 ‘만큼’을 붙여 쓴다.



과거 1964년 당시 문교부 <교정 편람>에는 ‘-이니 만큼(-인만큼)’을 언급하였다. ‘만큼’이 “가느니 만큼, 하니 만큼, 먹으니 만큼, 보물이니 만큼”들에서는 붙어 쓰인다. “가느니보다는 안 가는 것이 낫겠다”고 할 때 ‘가느니보다’의 ‘보다’를 붙여 쓴다. ‘니’의 ‘ㅣ’가 줄고 ‘ㄴ’만 남아서 윗말에 붙어 쓰이면 “가는 만큼, 한만큼, 먹음만큼, 보물인만큼” 들처럼 붙여 써야 한다.



이 경우 ‘만큼’은 ‘가므로, 하므로, 먹으므로, 보물이므로’들의 ‘므로’와 같이 ‘그런 만큼’은 ‘그렇게 한 만큼’이다. 오, 한글이여! 도대체 어디서 붙여야 하며, 어디서 띄란 말 인고오?





    
  김우영 작가는 우리말 달인으로 화제가 되어 중도일보에 소개되기도 했다.







스메타나의  나의 조국



  1. 할머니의 행복

    Date2010.03.09 By김사빈 Views901
    Read More
  2. 깡패시인 이월란

    Date2010.03.01 By황숙진 Views895
    Read More
  3. 새해 새 아침의 작은 선물

    Date2006.12.31 By이승하 Views894
    Read More
  4. 모닥불도 처음엔

    Date2010.06.15 By강민경 Views890
    Read More
  5. 티끌만 한 내안의 말씀

    Date2010.09.01 By강민경 Views889
    Read More
  6. 바다로 떠난 여인들

    Date2010.10.03 By황숙진 Views887
    Read More
  7. 눈 안에 든 별

    Date2009.07.31 By성백군 Views883
    Read More
  8. 김우영 작가의 한국어 이야기 ] 글 고치기와 띄어쓰기

    Date2014.06.01 Category기타 By김우영 Views883
    Read More
  9. 김학송 수필집 작품해설(200자 원고지 22매)

    Date2011.02.12 By김우영 Views882
    Read More
  10. 시인의 가슴

    Date2010.06.12 By유성룡 Views881
    Read More
  11. 고대 시학(詩學)을 통해서 본 시의 근원적 이해

    Date2006.12.28 By박영호 Views879
    Read More
  12. 가슴이 빈 북처럼

    Date2010.03.09 By강민경 Views871
    Read More
  13. 과거와 현재를 잇는 메타포의 세월, 그 정체 -최석봉 시집 <하얀 강>

    Date2004.10.08 By문인귀 Views864
    Read More
  14. 김우영]한국어, 세계에 수출하자

    Date2014.03.23 Category기타 By김우영 Views862
    Read More
  15. 곽상희7월서신-잎새 하나

    Date2019.07.16 Category기타 By미주문협 Views861
    Read More
  16. 김신웅 시인의 시세계(문예운동) / 박영호

    Date2004.07.24 By관리자 Views859
    Read More
  17. 세월 & 풍객일기

    Date2010.03.07 Byson,yongsang Views853
    Read More
  18. 공수표로 온것 아니다

    Date2010.07.31 By강민경 Views853
    Read More
  19. 비듬나물에 대한 추억

    Date2007.08.11 By황숙진 Views843
    Read More
  20. 생선가시 잇몸에 아프게

    Date2005.02.03 By서 량 Views84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4 Next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