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80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N 선생과 성추행과 노벨문학상


근간 유명 문인 EN 씨와 여타 문화 교육 법조 정치인 등 사회 전반 끗발인사들의 성추행 사건과 관련한, 이른바 미투운동으로 세상이 여간 시끄럽지 않다. 그들은 그야말로 뿌리 조심안하다가 순식간에 얼굴에 오지게 오물을 덮어쓰고 전전긍긍이다. 한 연예인은 팔려 스스로 목도 매달았다.

 

허나, 딴 물건들이야 그렇다 치더라도 그중 EN 선생은 필자와도 제법 인연이 있었던 양반이라 마음이 착잡하다. 왜냐면 젊었던 시절, 주변의 모모하던 사람들과 어울려 청진동 골목에서 그 양반과 얼려 가끔 술자리도 같이 했었기에, 그리고 그의 기행(?)이 가끔 도를 넘는 일을 실제로 보았기 때문이다. 그때는 주로 입담으로 19금의 Y담이 주제였기에 솔직히 그 자리에 참석한 남녀 누구도 그것이 성희롱이라고 생각한 적이 없었다. 미안치만, 그냥 함께 킬킬거렸다. 그러나 좀 걸걸한 원로 C여사 같은 분은 패설(悖說)이 도를 넘으면 , 땡초(그이의 승명이 일초였다), 입 못 닫아? 확 찢어버릴라하며 야단을 치곤했다. 그러면 사람들은 문단 원로인 그분의 한 마디에 찔끔해서 웃음을 멈추곤 했었다. 말하자면 자리에 어른이 있었기에 더 이상의 말썽이 없지 않았을까 싶다.

 

헌데, 그 후 EN선생 자신이 어른(?)이 되고, 특히 문학보다는 정치꾼으로 앞장서 나대기 시작하고부터는 일탈(逸脫)이 좀 더 심해지지 않았었나 싶다. 더구나 소위 노벨상에 입맛을 다시며 나름대로 노력을 했는데도 잘 풀리진 않았고, 또한 당초 본인의 심성과는 거리가 멀면서도, 속물적 출세를 위해 뛰어든 정치판 이념 갈등에 대한 심리적인 스트레스도 심했을 것이다. 그래서 술을 마시면 엉뚱하게 애매한 문단 여 제자들에게 전가되지 않았나 싶기도 하다. 마치 교수직에 있는 학자들이 편한 친구들끼리 술을 마시면 가끔 개 막나니짓을 마다하지 않듯이...그에게 문단은 친정이니까. 하지만 이번엔 아무도 편들어주지 읺았다. 노벨 문학상? 금번에 누군가가 염병하네. 그거 뭐 자위문학상이여? 문학이 무슨 성추행 뒷물인가하고 통렬하게 비꼬았다.

 

언젠가 소설가 김영하는 한 방송 토크쇼에서 노벨문학상에 대한 감상을 점잖게 이렇게 정리했다. “우리나라에는 왜 노벨 문학상 수상자가 없는가. 이제 그런 말 그만할 때도 됐는데...우리나라가 경제적으로 어느 정도 발전하다 보니 지적으로도 세계의 시선을 끌었으면 좋겠는데...그게 뭘까 생각다보니 가장 만만하게 뵈는 게 노벨문학상인거에요. 한국 작가들이 올림픽 금메달 따는 것처럼 따오면 좋을 텐데 하는 거죠. 그런데 문학은 무대 위의 유희나 스포츠 경쟁의 도구가 아니거든요. 메달을 따기 위해 글을 쓰는 작가는 없어요했다.

 

솔직히 한글 독자를 우리 글로 감동시키는 것도 어려운 일이다. 정서란 언어에서 시작되는데, 이 언어는 인간이 세계와 마주하는 창문이기 때문이다. 하물며 유럽 중심의 언어관을 가진 세계인을 겨냥해 한국어 시 몇 줄로 로 감동시키는 일은 어렵다. 그들의 보편적 가치란 것은 한국의 정서와 다르기 때문이다. 창문의 모양과 색이 다르면 보이는 풍경이 달라지기 마련이 아닌가.

 

김영하의 말이 이어진다. 매년 노벨 문학상 후보에 오르내리는 고은의 시 번역을 보면 그 괴리가 두드러진다. 고은의 어느 전기란 시를 소개한다.


밤은 나의 조국이었다 / 그런 밤에 금지된 모국어가 / 아무도 몰래 잠든 몸속에서 두런거렸다 / 해방이 왔다 / 모국어가 찬란했다를 영어로 다음과 같이 번역했다.

“night was my fatherland / In those nights my forbidden mother tongue/ murmured, unnoticed by any, inside my sleeping body / Liberation came/ My mother tongue was splendid.”

 

그는 "글쎄...형편없는 수준까지는 아니지만, 고은의 문장에서 여운처럼 남는 힘이 번역본에서는 실종됐다"고 말했다.

 

번역도 하나의 창작이다. 한국어의 문장 세계가 다른 언어의 시스템 안에서 바뀌는 과정에서 하나의 새로운 작품이 탄생한다. 김영하는 이제 우리나라가 이 정도 성장했으면 해외 문학상에 연연하지 말고 문학 자체를 즐겼으면 한다고 말했다. 그렇다. 이제는 문학상을 위한 문학이 아니라 그냥 문학을 즐기자. 그리고 우선 더 많은 책을 읽자. 찾아보면 정말 좋은 작가와 작품이 많다. 더하여 꾸준히 쓰자. 좋은 작가의 작품은 하나의 멋진 소우주다. 개별적인 소우주가 한데 모이면 나의 세계가 넓어진다. 내 세계가 넓어지면 문학상은 자연히 따라온다. *

  • ?
    오연희 2018.03.15 03:17

    글이 마음에 와 닿네요.
    특히 '좋은 작가의 작품은 하나의 멋진 소우주다.' 공감합니다.^^

  • ?
    하늘호수 2018.03.15 13:29
    "좋은 작가의 작품은 하나의 멋진 소우주다
    개별적인 소우주가 한데 모이면......."
    편안하시지요? 공감입니다. 잘 보았습니다
  • ?
    son,yongsang 2018.03.16 08:02
    오연희 님, 성선생님 다들 건녕하시지요? 요즘 세상이 何 愁傷해 속이 부글거리다 그냥 객쩍은 소리 한마디 했습니다. 이뿌게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늘 건강 빕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90 물웅덩이에 동전이 강민경 2018.04.19 285
1289 봄 편지 / 성백군 하늘호수 2018.04.17 219
1288 노숙자의 봄 바다 강민경 2018.04.11 257
1287 몸살 앓는 봄 / 성백군 하늘호수 2018.04.09 128
1286 비와의 대화 강민경 2018.04.08 166
1285 바람의 말씀 / 성백군 2 하늘호수 2018.04.02 280
1284 옷을 빨다가 강민경 2018.03.27 279
1283 시작(始作 혹은 詩作) / 성백군 하늘호수 2018.03.27 182
1282 살만한 세상 강민경 2018.03.22 149
1281 봄 그늘 하늘호수 2018.03.21 97
1280 가시나무 우듬지 / 성백군 2 하늘호수 2018.03.15 206
» 기타 ‘EN 선생’과 성추행과 ‘노벨문학상’ 3 son,yongsang 2018.03.14 480
1278 눈 감아라, 가로등 / 성백군 하늘호수 2018.03.11 232
1277 변신을 꿈꾸는 계절에-곽상희 미주문협 2018.03.09 194
1276 탄탈로스 전망대 강민경 2018.03.02 170
1275 닭 울음소리 / 성백군 하늘호수 2018.03.02 232
1274 물구나무서기 / 성백군 하늘호수 2018.02.22 160
1273 모래의 고백(연애편지) 강민경 2018.02.20 170
1272 나의 변론 강민경 2018.02.13 339
1271 겨울바람의 연가 / 성백군 하늘호수 2018.02.12 209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115 Next
/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