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150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무장면 성내리. 초등학교를 찾아보고, 서정주 선생님의  문학관을 찾아 갔다.지금까지 보았던 청포도의 이육사, 메밀꽃 필 무렵 이효석, 둘러보면서 화강 암에 아담한 것을 상상했다. 안내하는 홍 교수님이나 박 선생님이 폐교 된  초등학교를 구입하여 만든 것이라고 말해준다 .
입구에 “미당 문학 제 ”란 글이 반갑게 들어온다. 강당에 선 교수님을 뵙는 것 같다, 문 앞도 들어가서 안을 보아도 너무나 허름하고 초라하다,  안으로 들어서니 선생님부부가 험난한 세월을 지나 왔소, 하는 사진이 걸려 있다. 그 많은 시들을 그냥 진열장에 종이로 놓여 있기도, 촘촘히 걸려 있는 시들, 어찌 정성이 없어 보이고, 진열하기 위하여 전부 모아 놓은 것 같다. 삼층까지 다 보고 나오면서, 가슴에 싸한 바람이 일었다. 우리나라 시인 하면, 서정주 선생님을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 아닌가, 우리나라 시를 논한다면 서정주 선생님을 먼저 이야기 할 것 같은데,
“한 송이 국화꽃을 피우기 위하여” 초등학교만 나온 사람이면, 한 송이 국화꽃을 읊조리 릴 수 있을 것이다. “내 누님 같은 꽃이여,”  외우던 시가 아닌가, 고창이 가난하여 문학관 하나 번듯하게 할 수가 없는가, 생각도 들고, 강바람에 도포자락을 여미는 선생님을 상상 했다. 어찌 이렇게 폐허 같은가, 하고 중얼 중얼 하니, 홍 교수님 곁들여 올 때마다 가슴이 아팠어요, 하신다.
  60년대에 서라벌 예술 대학 문창과에 시 강의 수업시간에, 머리는 박박 깎고, 두루마기를 입고, 강대상 이쪽에서 저쪽을 왔다, 갔다 하시면서, 눈은 천정을 보며, 시를 읊조리듯이 강의를 하시었다. 그 때 쓴 일기를 지금 들여 다 보니, 서정주 선생님은 강의를 잘 못한다고 쓰여 있었다. 그 일기를 보고 웃었지만. 서정주 선생님의 문학관은 바람 부는 강가에 두루마기 자락이 펄럭이는 모습을 연상하게 한다. 곧 떠날  사람, 정착하지 못하는 사람, 언제고 바람이 불면 가야 할 사람 같은, 왜 이런 생각을 하는지 모르겠다. 많은 작품 중에 친일에 바치는 시도, 친일을 항의 하는 시도 다 모여 있었다.
하루 종일 언짢은 마음으로 돌아다녔다. 저녁에 홍 교수님이 이 지역 시인님을 초청하여 같이 밥을 먹자고 누굴 불렀다고 한다. 젊은 남자분이 40대 초반 일 것 같은 박 선생님이란 분과 저녁을 같이 하면서 ,서정주 선생님의 초라한 문학관에 대하여, 항의를 했다. 어찌 그렇게 초라한가. 한국을 대표하는 시인인데, 혼 불의 최명희님, 박 재삼님 다 아름다운 집에 잘 정돈되어 있는데, 폐허처럼 그렇게 문학관을 만들었는가, 중얼 거렸다. 그 분이 한참 듣더니, 서정주 선생님은 친일이 아닙니까. 그래서 고창읍에서도 반대하고, 문학계에서도 반대하였습니다. 주로 젊은이 층에서 반대가 심했습니다. 두 파가 합의 하기를 친일 시나, 현대 시나 모든 시를 다 전시 할 것을 전제로, 문학관을 만들기로 합의하에 그렇게나마 만들었습니다. 그래서 선생님도 반대이십니까. 하고 물으니, 실은, 저도 반대입니다 말한다.  
서정주 선생님을 친일 이라고 떠들지만, 누가 그 시대에 친일이 아니었던가 물어 보고 싶다. 내 아버지도 일제 강점기에 초등학교 선생님을 했는데, 박 씨가 기꾸와라 이었다. 살아남기 위한 방편일수 있다고, 한국사의 시대에 아픔이라고 보면 안 될까, 이조선조 때 중국 오랑캐에 끌려간 여인들이 고국으로 돌아와서, 설자리 없어, 비참하게 죽어간 역사를 읽었다. 끌려간 여인들의 잘못이 아니지 않는가, 나라를 지키지 못한 나라가 책임 져야 하지 않는가. 덮어주면 안 되는가. 그리고 일제 강점기 때에 신사 참배를 거부하여 많은 목사님들이 죽었다. 그러나 신사 참배 하여 살아남은 목사님들도 있다. 그리하여 두 갈래로 참배한 목사님들은, 참배하지 않은 목사님들, 경원시 하는 때도 있었다고 한다. 신사 참배 한 목사님은 살아남아서 이 땅에 복음의 불씨를 심었다, 그들이 남한으로 내려와 교회를 세우고, 복음을 열심히 전파하여, 우리나라는 기독교 인구가 제일 많다. 누가 돌을 던질 것인가. 죄 없는 사람이 먼저 돌을 던지라 하는 예수님의 말씀이 생각이 난다. 예수님이라면 무어라고 하실까 하고 생각해 본다,
젊은 시인과 같이 저녁을 먹으면서, 우리나라 사람들은, 흑과 백은 있어도 중간은 왜 없는가 물어 보았다. 역사적으로 남인, 동인, 하던 시대 , 노론, 소론 하던 시대, 어제 신문에 칼럼을 보니. 가장 존경 받는 성군 세종은 자기의 반대파도 적절히 끌어안고 등용하여 정치 리더십 가장 잘한 임금이라고, 쓴 기사를 읽었다. 젊은이들이 순수를 주장하고. 맑음을 주장하고.
강직을 주장하고, 청결을 주장 하는 것 높이 산다, 그러나 정상 참작이란 것은 없나, 왜 그렇게 해야 하였는지, 한번쯤 그 사람의 입장에서 서 보지 않겠는가. 지금은 그래도 선생님의 제자들과 그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아름답게 만들어 주었으면 바람이다.
강바람에 두루마기를 날리며, 곧 떠날 것 같은 방랑의 모습이 아니라, 당당하게 기개 있게, 청송으로 거목으로 서 있는 모습이면 좋겠다.  그렇게 되기를 바란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7 고향고 타향 사이 강민경 2011.01.07 796
656 나이테 한 줄 긋는 일 성백군 2010.12.10 803
655 살아 가면서 박성춘 2010.10.22 847
654 밤하늘의 별이었는가 강민경 2010.10.06 972
653 티끌만 한 내안의 말씀 강민경 2010.09.01 951
652 바다로 떠난 여인들 황숙진 2010.10.03 936
651 맥주 박성춘 2010.10.01 849
650 코메리칸의 뒤안길 / 꽁트 3제 son,yongsang 2010.08.29 1203
649 디베랴 해변 박동수 2010.08.27 967
648 불러봐도 울어봐도 못 오실 어머니 이승하 2010.08.26 1627
647 잊혀지지 않은 사람들 박동수 2010.07.26 1135
646 연이어 터지는 바람 성백군 2010.08.22 1030
645 공수표로 온것 아니다 강민경 2010.07.31 889
644 숙제 박성춘 2010.07.20 893
643 리태근 수필집 작품해설 김우영 2010.07.11 1410
642 땅과 하늘이 마주 보는 비밀을 강민경 2010.07.06 1052
» 미당 문학관을 다녀 오면서 file 김사빈 2010.06.23 1150
640 그 문 (The Gate) 박성춘 2010.06.22 872
639 모닥불도 처음엔 강민경 2010.06.15 941
638 시인의 가슴 유성룡 2010.06.12 953
Board Pagination Prev 1 ...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 115 Next
/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