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보다 진한 돈

2015.08.07 10:17

김학천 조회 수:152

‘이화에 월백하고 은한이 삼경인제/일지 춘심을 자규야 알라마는/다정도 병인 양하여 잠 못 들어 하노라.’고려 말 문신 이조년의 유명한 시조인 ‘다정가’이다. 배꽃이 활짝 핀 달밤에 들려오는 소쩍새 소리를 들으며 봄의 정취에 빠져 있는 정한을 그린 노래다.

  하루는 이조년이 형 이억년과 함께 길을 가다가 우연히 황금덩어리 둘을 발견했다. 둘이는 이를 하나씩 나누어 갖고 배를 타고 가는데 동생이 갑자기 갖고 있던 금 덩어리를 물속에 던져 버리는 게 아닌가? 형이 깜짝 몰라 그 연유를 물었다. 그러자 동생은 “제가 왜 황금의 귀함을 모르겠습니까? 헌데 이 황금덩어리를 갖고 있자니 문득‘형이 없었더라면 내가 그 둘을 다 가질 수 있었을 텐데’ 하는 나쁜 마음이 들지 않겠습니까. 이 황금이 평소에 좋았던 우리 형제의 우애에 금이 가게 한다는 생각이 들어 버렸습니다.”라고 대답했다. 이 말을 들은 형도 갖고 있던 금덩이리를 물속에 버렸다. 이 후 그 곳을‘투금탄(投金灘)’이라 불렀다고 일화가 전해온다. 황금보다는 형제애를 더 귀하게 여긴 이야기다. 그러나 현실은 역시 그렇지 못한 가보다. 돈 앞에선 피도 눈물도 없어서다.
   도스토옙스키의 소설‘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도 돈 때문에 빚어진 이야기다. 방탕한 아버지와 네 아들 그리고 고리대금업자의 첩인 그루셴카의 관계 속에서 이야기는 전개된다. 그리고 돈에 대한 욕망으로 인한 인간의 가장 파괴적인 범죄를 그렸다.
  근자에 롯데기업 형제들의 경영승계 암투를 보면서 두 이야기가 떠올랐다. 가난을 피해 19세에 현해탄을 건너가 껌 하나로 시작해 오늘의 거대 기업을 일구어낸 신격호 회장이 껌 제조사를 창업하며 회사명을 고민하던 중 불현듯 떠오른 이미지가 바로‘롯데’였다. 그는 `롯데'라는 이름이 떠올랐을 때 충격과 희열을 느꼈다고 회고했다.
  그도 그럴 것이 본래 문학 지망생이었던 그가 유난히 애착을 느낀 작품이 바로 괴테의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이었고 그 속의 여주인공‘샤롯데’의 매력에 빠졌기 때문이다. 그래서 회사 이름 뿐 아니라 여러 제품
브랜드와 서비스 명칭들에도‘샤 롯데’의 이름을 아끼지 않고 사용했다. 그리고 임직원들에게는 베르테르의 사랑처럼 일과 삶에 열정을 다하라'고 말하곤 했다 한다. 그 열정의 삶 끝자락에 자식에게서 해임당하는 일 까지 당했다.
  더 귀한 것을 잃지 않기 위해 값진 것이라도 미련 없이 버리는 이조년 형제와 돈을 위해 고령의 부친까지 동원해 치부를 들어내고 있는 형제를 보며 이번 분란이 우연인 것만은 아닌 것 같아 보인다.
‘형제위수족(兄弟爲手足)’이라 하여 형제는 손발과 같아 한 번 잃으면 다시 얻을 수 없으므로 서로 최선을 다해야 한다 했거늘 재벌가 형제들도 투금탄의 형제같이‘옥 같은 형, 금 같은 아우(玉昆金友)’가 될 수는 없는 것일까? 무리한 바람인지도 모르겠다. 그들에겐 아무래도‘형제는 타인의 시작’이라는 속담처럼 물보다 피가 아무리 진하다 해도 그 피보다 더 진한 게 돈과 권력일 테니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7 이브여 그대는.. 김학천 2012.05.26 451
86 아리랑 김학천 2012.06.20 425
85 안경 김학천 2012.06.22 591
84 다윗과 조나단 김학천 2012.08.01 747
83 이 땅에 사는 우리 김학천 2012.08.01 371
82 영곤이 이야기 김학천 2012.08.08 549
81 다르다와 틀리다 김학천 2012.08.08 477
80 우아하게 여행하는 법 김학천 2012.08.11 401
79 커피 김학천 2012.09.26 439
78 천사들의 도시 김학천 2012.09.26 429
77 생전의 장례식 김학천 2013.02.22 347
76 삶과 박자 김학천 2013.05.03 321
75 눈동자 김학천 2013.05.25 320
74 버킷리스트 김학천 2013.07.05 270
73 무명과 유명 김학천 2013.07.26 341
72 어느 라디오 앵커맨의 사모곡 김학천 2013.08.30 304
71 Liberty와 Freedom의 차이 김학천 2013.10.04 1339
70 죄수아버지의 여름캠프 김학천 2013.10.28 287
69 아무도 미워하지 않는자의 죽음 김학천 2013.12.17 419
68 생존을 넘는 삶 김학천 2014.03.11 320

회원:
0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0
어제:
1
전체:
54,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