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님이란 호칭

2016.02.21 07:40

몽키 조회 수:91

image

"뉴스에서 스님들이 족구를 한다는 보도가 나왔는데요. 제 동생이 '스들이 족구를 한다'고 하는 거에요. 이게 맞는 표현인가요."

국립국어원 홈페이지에 올라온 질문이다. 목사님은 목사로, 신부님은 신부로 지칭할 수 있지만 왜 스님은 '스'라고 지칭하지 않을까.

존칭을 사용하지 않는 신문에서도 스님을 '스'라고 표기하지 않는다. 사전에서도 목사님이란 단어는 없지만 스님은 단일어로 나온다. 왜 그런 것일까. 스님의 어원에 대해 알아봤다.

image

◇국립국어원 "스님은 사(師)님이 변한 것"
국립국어원은 스님이 '스승 사(師)'와 의존명사 '님'이 합쳐진 '사님'이 변한 것으로 본다. 현대 국어에서 스님은 승려를 지칭하는 말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론 승려가 자신의 스승을 이를 때 사용하는 말이기도 하다. 국립국어원은 이 용례를 토대로 스님이 사님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했다.

경북 성주군 자광사 허공스님은 이에 자신의 가설을 추가했다. 그의 가설에 따르면 일제강점기 중국으로 이동한 국내 승려들은 현지에서 사(師)의 중국식 발음인 '스'에 익숙해졌다. 이후 해방된 대한민국에 돌아오면서 '스'와 '님'을 붙여쓰기 시작했는데 이것이 널리 퍼져 스님으로 굳어진 것이란 설명이다.

하지만 국립국어원 관계자는 "(이 같은)주장에 대해 가능성은 열려 있으나 실증적인 증언이나 사료들이 충분히 수집된 게 아니기 때문에 확실하지 않다"고 답변했다.

◇'스승+님', '승님' 그 밖의 학설들=
1963년부터 불교 사료를 번역해온 동국역경원 관계자는 스님의 어원에 대해 "정설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다만 이와 관련된 두 학설들을 소개했다.

첫 번째 학설은 스승님이 축약·변형 과정을 거쳐 스님이 됐다는 것이다. 동국역경원 창설 이후 이와 관련된 꾸준히 제기된 설이라고 관계자는 말했다. 조계사도 이 같은 의견을 냈다.

이에 대해 국립국어원은 축약과정에서 'ㅇ'과 'ㄴ'이 만났을 때 'ㅇ'이 탈락하는 현상을 쉽게 설명할 수 없고 '승'이 주로 비구니를 지칭하는데 사용됐기 때문에 가능성이 낮다고 평가했다.

두 번째 학설은 산스크리트어(범어)로 승가를 뜻하는 '상가'(Samgha, संघ)에서 스님이 유래됐다는 주장이다. 상가가 승가(僧伽)로 번역되고 승가에서 승이 떨어져 나온 뒤 '-님'과 붙어 승님이 된 후 스님으로 변형됐다는 것.

하지만 이 주장은 15세기 훈민정음 창제 이후부터 20세기 초까지의 국어사 자료에서 스님이란 단어를 찾을 수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역경원 측도 이를 인정했다.

회원:
2
새 글:
0
등록일:
2015.03.19

오늘:
271
어제:
674
전체:
228,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