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란의 문학서재






오늘:
90
어제:
183
전체:
5,020,531

이달의 작가
제1시집
2016.08.15 06:45

모놀로그 서문/ 황금찬

조회 수 6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제2시집.jpg



[시집 머리에] 황금찬

 

이월란 시인의 발표된 작품들을 열어보면 개성적이고 표현에서 감각적인 세계를 깊이 간직하고 있다. 흔히 말하길 여성시는 여성다워야 하고 남성의 시는 남자다워야 한다는 말이 있다. 나는 그 말이 이치에 맞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남성이 여성 같을 수도 있고 여성이 남성 같을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그럴 때 오는 이질감이 더 큰 효과를 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숨 가쁜 입김으로 언 땅을 헤집고

겨울잠에서 깨어난 찬피동물처럼

-잔풀나기중에서

 

 

이월란 시인은 시의 선이 크고 잠드는 시정이 아니고 눈 뜨고 있는 시의 맥이다. 지금까지, 우리의 여성시맥은 크기한을 잊지 못했다. 노천명이나 아니면 모윤숙 또 그 외의 여성 시인들의 작품이 보이고 있는 시의 맥이 한을 노래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들의 시정을 여기서 고르자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이월란 여류시인이 그 출발의 맥을 달리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다림이 더욱 크고 내일이 더욱 밝게 보인다는 뜻이다.

 

이월란 시인을 오랫동안 지켜봤다. 한국에 오면, 꼭 인사를 하러 먼 길에서 달려오는 그의 정성은 시를 아끼고 사랑하는 문인의 모습을 하고 있었던 것이 생각난다. 시 몇 편으로 한 시인의 미래의 문이 금방 열리지는 못하지만 아치미에 해가 뜨는 것처럼 이월란의 시의 세계는 크게 뜨리라 본다.

이월란 시인의 시집 상재를 마음에 묶어 축하한다. 한 명의 제자가 시원고를 전해 주는 마음에 이 시들이 멀리멀리 독자에세 다가가는 날개가 되리라 본다. 이 땅 위에 새 생명체가 솟아나는 문학이 되리라 본다.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31 포이즌(poison) 이월란 2008.08.30 262
1530 포옹 이월란 2012.02.05 317
1529 포스트들이 실종되는 것은 일상다반사 이월란 2009.01.07 257
1528 폐경 이월란 2014.08.25 175
1527 폐경 이월란 2010.12.26 459
1526 평행선 이월란 2008.05.08 485
1525 평생어치 이월란 2008.05.09 248
1524 평생 이월란 2012.05.19 251
1523 평론의 횟감 이월란 2010.04.13 399
1522 편지 4 이월란 2010.09.06 353
1521 편지 3 이월란 2010.07.19 374
1520 제3시집 편지 2 이월란 2010.06.18 386
1519 편지 1 이월란 2010.06.18 396
1518 수필 편애하는 교사 이월란 2008.05.07 711
1517 페치가의 계절 이월란 2008.05.10 253
1516 제1시집 페인트 칠하는 남자 이월란 2008.05.09 344
1515 제3시집 페르소나(견공시리즈 73) 이월란 2010.06.28 375
1514 제3시집 페르소나 이월란 2009.08.01 449
1513 퍼즐 이월란 2009.04.21 289
1512 패디큐어 (Pedicure) 이월란 2008.05.10 32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83 Next
/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