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선호의 문학서재






오늘:
0
어제:
2
전체:
281,114

이달의 작가

시편정해 시편 16편

2016.12.04 15:23

최선호 조회 수:484

 

 

                                                          시편 16편

 


 

하나님과 다윗과의 관계에서, 다윗으로 하여금 자신의 구원을 확신하는 금언시(金言詩)이다. 다윗은 하나님을 자신의 피난처(1∼4절), 분깃(5∼6절), 상담자(7∼8절)로 묘사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나님을 믿는 굳건한 신앙은 궁극적으로 부활신앙으로 발전한다(9∼11절). 그러므로 장차 사망을 이기시고 부활하실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예언한 메시야 예언시(豫言詩)이다. 이는 베드로 사도가 오순절 설교에서 이 시를 인용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증거한 말씀(행13:35)에서도 증명된다.

 

주제: 기쁨 충만, 영원한 즐거움.
소재: 여호와를 모시는 믿음.
배경: 다윗의 부활신앙.
수사: 과장, 의인, 점층.
경향: 신뢰, 금언, 예언.
구성: 병렬.
작자: 다윗(시, 믹담).
핵심어: 여호와(주).
특수어: 믹담(Michtam)- 16, 56, 57, 58, 59, 60편의 표제에 나오는 말로써 현재까지 분명한 의미는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속죄의 시, 황금의 시"라는 시편의 제목으로 쓰였으리라는 추측이다. "믹담"의 어근(語根)은 '덮다'라는 동사에서 파생한 것 같으나 정확한 뜻은 알 수 없다는 견해도 있다. 아마 그 내용이 원수로부터의 보호(덮음)를 노래한 것이거나 아니면 입술을 다문 채(덮은 채) 허밍(Humming)으로 노래하는 시라는 뜻일 수도 있고, '믹담이란 용어는 개인적으로 하는 사적인 기도나 묵상을 의미하는 말'이라는 견해도 있다. 

 

 1 하나님이여
   나를 보호하소서
   내가 주께 피하나이다
 2 내가 여호와께 아뢰되 주는 나의 주시오니
   주밖에는 나의 복이 없다 하였나이다
 3 땅에 있는 성도는 존귀한 자니
   나의 모든 즐거움이 저희에게 있도다
 4 다른 신에게 예물을 드리는 자는
   괴로움이 더할 것이라
   나는 저희가 드리는 피의 전제를 드리지 아니하며
   내 입술로 그 이름도 부르지 아니하리로다
 5 여호와는 나의 산업과 나의 잔의 소득이시니
   나의 분깃을 지키시나이다
 6 내게 줄로 재어준 구역은 아름다운 곳에 있음이여
   나의 기업이 실로 아름답도다
 7 나를 훈계하신 여호와를 송축할지라
   밤마다 내 심장이 나를 교훈하도다
 8 내가 여호와를 항상 내 앞에 모심이여
   그가 내 우편에 계시므로
   내가 요동치 아니하리로다
 9 이러므로 내 마음이 기쁘고
   내 영광도 즐거워하며
   내 육체도 안전히 거하리니
10 이는 내 영혼을 음부에 버리지 아니하시며
   주의 거룩한 자로 썩지 않게 하실 것임이니이다
11 주께서 생명의 길로 내게 보이시리니
   주의 앞에는 기쁨이 충만하고 주의 우편에는
   영원한 즐거움이 있나이다

 

1절: 하나님을 부르며(호격) "나를 보호하소서" 애원으로 간구하고, "내가 주께 피하나이다"라며 자신에 대한 상황을 아뢰고 있다.
2절: 주와 복의 연관성을 인과관계로 강조하고 있다. 즉 원인은 "주는 나의 주시오니"요, 결과는 "주밖에는 나의 복이 없다"이다. "주는 나의 주시오니 주밖에는 나의 복이 없다"는 다윗 고백의 인용이다.
3절: "성도는 존귀한 자"는 하나님을 복으로 삼는 자(다윗을 포함하여)의 영광을 묘사하고 있다.
4절: 이방종교 자와 내(나: 다윗)가 대조되어 있다. 즉 "나는 저희(이방종교 자)가 드리는 피의 전제를 드리지 아니하며 내 입술로 그 이름을 부르지 아니하리로다"라며 다른 신을 배척하고 있다. "피의 전제"- 이방종교 자들은 제사의식을 행할 때 피를 마시는 습관이 있었다. 이것은 거짓되고 타락한 종교의 행위이다.
5절: "잔"은 은유의 표현이다. 하나님께서는 경건한 자들에게 복과 구원의 잔을 주시고 악인들에게는 진노의 잔을 주신다. "분깃"- 상속의 개념을 나타내는 용어로 하나님과 아들의 관계임을 시사한다.
6절: "줄로 재어 준 구역"은 은유적 표현이다. 시각적인 개념으로 축복의 영역을 가시화 하여 아름다움을 강조하고 있다.
7절: "나를 훈계하신"- '생명에 이르는 길을 나에게 보이신'의 뜻이다. "밤마다 내 심장이 나를 교훈하도다"는 의인화한 강조표현이다. 항상 자기를 돌아보고 반성 회개한다는 의미이다.
8∼10절: 믿음은 주체 따로 객체 따로가 아니라, 주체(여호와)와 객체(나: 다윗)가 일치하는 상황이다. 여호와를 항상 모시어 우편에 계시므로 요동치 않고 마음과 육체가 안전할 뿐만 아니라 썩지 않는다는 영생에의 소망으로 승화되고 있다.
11절: 믿음으로 얻는 생명, 기쁨, 즐거움이 영원하다.

이 시 전체에는 점층적 요소가 흐르고 있다. 1절의 상황에서 11절까지 이르도록 점진적으로 여호와와의 일체감을 이루어 가는 동시에, 결국 영과 육의 안전과 부활과 영생으로 이어지는 감격을 경험하게 되기 때문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35 싯딤나무 최선호 2016.12.05 2
634 통곡의 벽에 기대어 최선호 2016.12.05 3
633 아나니아여 최선호 2016.12.05 3
632 다마스크스 가는 길에 최선호 2016.12.05 3
631 광야, 그 사막을 달리며 최선호 2016.12.05 3
630 Papyrus 상점에서 최선호 2016.12.05 3
629 Pyramid에서 최선호 2016.12.05 3
628 나의 질주 최선호 2016.12.06 3
627 안수 최선호 2016.12.06 3
626 낙엽 최선호 2016.12.06 3
625 가을 강 최선호 2016.12.06 3
624 석상 최선호 2016.12.06 3
623 방황 최선호 2016.12.06 3
622 이 세상 끝에 서서 최선호 2016.12.06 3
621 무화과 최선호 2016.12.07 3
620 하늘 가을에 최선호 2016.12.07 3
619 무심코 펴 든 시집 속에서 최선호 2016.12.07 3
618 실수 최선호 2016.12.07 3
617 계시(幻) 최선호 2016.12.07 3
616 이 세상 다 가고 최선호 2016.12.07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