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선호의 문학서재






오늘:
1
어제:
3
전체:
281,129

이달의 작가

 

 

<시평> 최선호의 시 <사도행전> 송기한 시인

 

 사도행전

 

가다가

쉬지 말고 가다가

바람을 만나거든

별이 되라 일러라

 

바람이 모여

비위가 되든지

바위가 쌓여

바람으로 일더라도

별이 되는 길을 일러 주어라

 

별이 하늘에서 내려와

꽃으로 피더리도

다시 별이 되라 일러라

 

적막한 우주에

혼자서는 못 가는 길이 있어

죽음만이 길일지라도

별이 되라 일러라

 

우리의 상상력에서 지니는 상징성은 매우 뿌리 깊다. ‘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모든 인간의 가장 강렬한 지향점이자 가장 순수한 마음의 표현이 되어 왔다. 문학적인 장에서 뿐만 아니라 우리의 유년시절부터 비롯하여 청년, 장년에 이르기까지의 생활공간에서도 가장 의미있는 대상 가운데 하나로 존재한다.    

우리의 시사에서 특히 윤동주의 너무도 시적이고 아름다운 이미지로 칭조되었음은 너무도 알려져 있다. 그러한 사도행전의 화자도 말하고 있다. 시의 화자에게 절대적이다. ‘ 누구든지, 어떤 존재든지 되어야 하는 존재, 추구해야 하는 지향점이다. 화자는 바람에게도, ‘바위에게도, ‘에게도 되라고, ‘ 되는 길을 가라 말한다. 화자는 어떤 일이 있어도 설사 죽음만이 길일지라도’ ‘별이 되라말한다. 편의 시로 우리는 화자에게 정확하게 어떤 의미를 띠고 구체적으로 어떤 상징성을 지니는지 알지 못한다. ‘ 어느 심급에 놓여 있는지, 어느 관점에서 의미를 발하는지 명확하게 알지 못한다.

  그러나 그것은 절대자와 마찬가지로 인간이 처한 모든 고난과 역경 너머에 존재하는 , 그를 향해서라면 세상의 모든것이 상대적인 것이 되어 극복되고 초월되어야 하는 지점에 놓이는 것임을 있다.

  우리는 화자의 통해, 절대자를 향한 시적 자아의 순결하고 순종적인 자세를 읽게 되는 것이다. 또한 우리는 통해 절대자를 향한 시인의 순수하고 강한 마음을 만나게 되는 것이다.  송기한(시인, 대전대 교수) - 미주시정신 2011년 여름호 pp.162,16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35 낙엽으로 떠나는 길 최선호 2016.12.11 5
534 말씀에 순종하라 최선호 2016.12.11 5
533 성경과 문화 사이에서 최선호 2016.12.11 5
532 구원의 이정표 최선호 2016.12.12 5
531 죽음, 그 뒤에 오는 것 최선호 2016.12.12 5
530 신학교육의 활성화를 바란다 최선호 2016.12.13 5
529 전직 대통령 이야기 최선호 2016.12.13 5
528 바꿀 것을 바꿔야 최선호 2016.12.13 5
527 시편 123편 최선호 2016.12.02 6
526 우물가에서 최선호 2016.12.05 6
525 단풍 최선호 2016.12.05 6
524 제2부 순례기 최선호 2016.12.06 6
523 코스모스 최선호 2016.12.06 6
522 가을풀잎 최선호 2016.12.06 6
521 절규 최선호 2016.12.06 6
520 어떤 하루 최선호 2016.12.06 6
519 반세기만에 만나서 paulchoi 2016.12.06 6
518 귀향 최선호 2016.12.06 6
517 최선호 2016.12.06 6
516 달맞이꽃 최선호 2016.12.06 6